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언어의 setjmp/longjmp 기능을 Thread Context를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

이번 글은 그냥 재미로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사실 현업에서 쓸 일은 거의 없습니다. ^^)

C 언어를 공부하신 분은 특이한 (무조건적인) 점프 문이 함수로 구현된 것을 아실 텐데요,

C library function - longjmp()
; https://www.tutorialspoint.com/c_standard_library/c_function_longjmp.htm

위의 글에 실린 예제를,

// https://www.tutorialspoint.com/c_standard_library/c_function_longjmp.htm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setjmp.h>

int main () {
   int val;
   jmp_buf env_buffer;

   /* save calling environment for longjmp */
   val = setjmp( env_buffer );
   
   if( val != 0 ) {
      printf("Returned from a longjmp() with value = %s\n", val);
      exit(0);
   }
   printf("Jump function call\n");
   jmpfunction( env_buffer );
   
   return(0);
}

void jmpfunction(jmp_buf env_buf) {
   longjmp(env_buf, "tutorialspoint.com");
}

/* 실행 출력 결과
Jump function call
Returned from a longjmp() with value = tutorialspoint.com
*/

실행해 보면, setjmp를 호출함으로써 그 시점의 환경을 저장한 다음, longjmp를 호출함으로써 setjmp를 호출했던 시점으로 말 그대로 jump가 됩니다. 이에 대한 구현 방식은 간단하게 Visual Studio의 디버깅 중 Disassembly 창을 이용해 덤프해 볼 수 있습니다.

--- d:\agent\_work\36\s\src\vctools\crt\vcruntime\src\eh\amd64\setjmp.asm ------
00007FFD9727F0F0 48 89 11             mov         qword ptr [rcx],rdx  
00007FFD9727F0F3 48 89 59 08          mov         qword ptr [rcx+8],rbx  
00007FFD9727F0F7 48 89 69 18          mov         qword ptr [rcx+18h],rbp  
00007FFD9727F0FB 48 89 71 20          mov         qword ptr [rcx+20h],rsi  
00007FFD9727F0FF 48 89 79 28          mov         qword ptr [rcx+28h],rdi  
00007FFD9727F103 4C 89 61 30          mov         qword ptr [rcx+30h],r12  
00007FFD9727F107 4C 89 69 38          mov         qword ptr [rcx+38h],r13  
00007FFD9727F10B 4C 89 71 40          mov         qword ptr [rcx+40h],r14  
00007FFD9727F10F 4C 89 79 48          mov         qword ptr [rcx+48h],r15  
00007FFD9727F113 4C 8D 44 24 08       lea         r8,[rsp+8]  
00007FFD9727F118 4C 89 41 10          mov         qword ptr [rcx+10h],r8  
00007FFD9727F11C 4C 8B 04 24          mov         r8,qword ptr [rsp]  
00007FFD9727F120 4C 89 41 50          mov         qword ptr [rcx+50h],r8  
00007FFD9727F124 0F AE 59 58          stmxcsr     dword ptr [rcx+58h]  
00007FFD9727F128 D9 79 5C             fnstcw      word ptr [rcx+5Ch]  
00007FFD9727F12B 66 0F 7F 71 60       movdqa      xmmword ptr [rcx+60h],xmm6  
00007FFD9727F130 66 0F 7F 79 70       movdqa      xmmword ptr [rcx+70h],xmm7  
00007FFD9727F135 66 44 0F 7F 81 8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80h],xmm8  
00007FFD9727F13E 66 44 0F 7F 89 9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90h],xmm9  
00007FFD9727F147 66 44 0F 7F 91 A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A0h],xmm10  
00007FFD9727F150 66 44 0F 7F 99 B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B0h],xmm11  
00007FFD9727F159 66 44 0F 7F A1 C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C0h],xmm12  
00007FFD9727F162 66 44 0F 7F A9 D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D0h],xmm13  
00007FFD9727F16B 66 44 0F 7F B1 E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E0h],xmm14  
00007FFD9727F174 66 44 0F 7F B9 F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F0h],xmm15  
00007FFD9727F17D 33 C0                xor         eax,eax  
00007FFD9727F17F C3                   ret  

대체로 ("CRT(C Runtime)" Library를 비롯한) Visual C++ 관련 소스 코드는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VC\Tools\MSVC\14.29.30037\crt\src" 디렉터리에 공개돼 있지만 아쉽게도 setjmp.asm 파일은 없습니다. 하지만, 어차피 어셈블리 코드라서 위와 같이 역어셈블 코드만 봐도 대충 호출 문맥을 jmp_buf 타입의 구조체에 저장한다는 것을 짐작게 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longjmp는 jmp_buf 구조체에 저장된 문맥을 복원하고, 마찬가지로 setjmp가 호출된 당시의 EIP/RIP 주소로 jmp 하리라는 것을 Disassembly 창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agent\_work\36\s\src\vctools\crt\vcruntime\src\eh\amd64\longjmp.asm -----
00007FFD972AEFF0 48 83 EC 48          sub         rsp,48h  
00007FFD972AEFF4 48 85 D2             test        rdx,rdx  
00007FFD972AEFF7 75 03                jne         LJ10 (07FFD972AEFFCh)  
00007FFD972AEFF9 48 FF C2             inc         rdx  
00007FFD972AEFFC 4D 33 D2             xor         r10,r10  
00007FFD972AEFFF F3 49 0F 1E CA       rdsspq      r10  
00007FFD972AF004 4D 85 D2             test        r10,r10  
00007FFD972AF007 0F 85 91 00 00 00    jne         LJ10+0A2h (07FFD972AF09Eh)  
00007FFD972AF00D 4C 39 11             cmp         qword ptr [rcx],r10  
00007FFD972AF010 0F 85 88 00 00 00    jne         LJ10+0A2h (07FFD972AF09Eh)  
00007FFD972AF016 48 8B C2             mov         rax,rdx  
00007FFD972AF019 48 8B 59 08          mov         rbx,qword ptr [rcx+8]  
00007FFD972AF01D 48 8B 71 20          mov         rsi,qword ptr [rcx+20h]  
00007FFD972AF021 48 8B 79 28          mov         rdi,qword ptr [rcx+28h]  
00007FFD972AF025 4C 8B 61 30          mov         r12,qword ptr [rcx+30h]  
00007FFD972AF029 4C 8B 69 38          mov         r13,qword ptr [rcx+38h]  
00007FFD972AF02D 4C 8B 71 40          mov         r14,qword ptr [rcx+40h]  
00007FFD972AF031 4C 8B 79 48          mov         r15,qword ptr [rcx+48h]  
00007FFD972AF035 0F AE 51 58          ldmxcsr     dword ptr [rcx+58h]  
00007FFD972AF039 DB E2                fnclex  
00007FFD972AF03B D9 69 5C             fldcw       word ptr [rcx+5Ch]  
00007FFD972AF03E 66 0F 6F 71 60       movdqa      xmm6,xmmword ptr [rcx+60h]  
00007FFD972AF043 66 0F 6F 79 70       movdqa      xmm7,xmmword ptr [rcx+70h]  
00007FFD972AF048 66 44 0F 6F 81 80 00 00 00 movdqa      xmm8,xmmword ptr [rcx+80h]  
00007FFD972AF051 66 44 0F 6F 89 90 00 00 00 movdqa      xmm9,xmmword ptr [rcx+90h]  
00007FFD972AF05A 66 44 0F 6F 91 A0 00 00 00 movdqa      xmm10,xmmword ptr [rcx+0A0h]  
00007FFD972AF063 66 44 0F 6F 99 B0 00 00 00 movdqa      xmm11,xmmword ptr [rcx+0B0h]  
00007FFD972AF06C 66 44 0F 6F A1 C0 00 00 00 movdqa      xmm12,xmmword ptr [rcx+0C0h]  
00007FFD972AF075 66 44 0F 6F A9 D0 00 00 00 movdqa      xmm13,xmmword ptr [rcx+0D0h]  
00007FFD972AF07E 66 44 0F 6F B1 E0 00 00 00 movdqa      xmm14,xmmword ptr [rcx+0E0h]  
00007FFD972AF087 66 44 0F 6F B9 F0 00 00 00 movdqa      xmm15,xmmword ptr [rcx+0F0h]  
00007FFD972AF090 48 8B 51 50          mov         rdx,qword ptr [rcx+50h]  
00007FFD972AF094 48 8B 69 18          mov         rbp,qword ptr [rcx+18h]  
00007FFD972AF098 48 8B 61 10          mov         rsp,qword ptr [rcx+10h]  
00007FFD972AF09C FF E2                jmp         rdx  




자, 그럼 이것을 GetThreadContext와 SetThreadContext로 흉내 내 볼까요? ^^

GetThreadContext function (processthreadsapi.h)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getthreadcontext

SetThreadContext function (processthreadsapi.h)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setthreadcontext

문제를 명확하게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Thread를 하나 생성하고, nullptr 참조로 인한 crash가 발생하는 예제를 일부러 작성해 보겠습니다.

#include <windows.h>
#include <stdio.h>

DWORD WINAPI threadFunc1(LPVOID lpThreadParameter)
{
    char *ptr = nullptr;

    printf("Thread1: I'll destroy this process after one second.\n");
    Sleep(1000);

    *ptr = '\0'; // null 참조 비정상 종료
    
    return 0;
}

int main()
{
    ::CreateThread(nullptr, 0, threadFunc1, nullptr, 0, nullptr);

    printf("%s\n", "Press any key to exit..");
    getchar();

    return 0;
}

위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1초 후에 비정상 종료합니다. 이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GetThreadContext/SetThreadContext를 넣어 볼까요? ^^

DWORD WINAPI threadFunc1(LPVOID lpThreadParameter)
{
    CONTEXT ctxThread1 = { 0 };
    ctxThread1.ContextFlags = CONTEXT_ALL;
    // 현재 스레드 실행 문맥을 저장하고,
    ::G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char *ptr = nullptr;

    printf("Thread1: I'll destroy this process after one second.\n");
    Sleep(1000);

    // 이전에 저장해 둔 실행 문맥을 복원
    S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ptr = '\0'; // null 참조 비정상 종료
    
    return 0;
}

그런데, 실제로 저렇게 실행하면 SetThreadContext 함수 호출은 (무시라도 하는 것처럼) 마치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이후의 "*ptr = '\0'" 코드를 실행합니다. 오호~~~ 이유가 뭘까요? ^^

사실, 분명히 SetThreadContext는 GetThreadContext를 수행했던 시기의 EIP/RIP로 정확하게 이동을 합니다. 문제는, GetThreadContext의 호출로 저장된 EIP/RIP의 위치입니다.

00007FFDCBFEEC38 0F 1F 84 00 00 00 00 00 nop         dword ptr [rax+rax]  
00007FFDCBFEEC40 4C 8B D1             mov         r10,rcx  
00007FFDCBFEEC43 B8 F2 00 00 00       mov         eax,0F2h  
00007FFDCBFEEC48 F6 04 25 08 03 FE 7F 01 test        byte ptr [7FFE0308h],1  
00007FFDCBFEEC50 75 03                jne         NtGetContextThread+15h (07FFDCBFEEC55h)  
00007FFDCBFEEC52 0F 05                syscall  
00007FFDCBFEEC54 C3                   ret  

위의 코드에서 NtGetContextThread는 syscall로 User 모드에서 Kernel 모드로의 이전이 이뤄지고 결국 GetThreadContext의 EIP/RIP 값은 바로 그다음에 해당하는 (00007FFDCBFEEC54 주소의) ret 위치를 담게 됩니다.

이후 SetThreadContext가 호출되면 00007FFDCBFEEC54 위치로 실행이 이동하게 되고, 곧이어 ret을 호출하기 때문에 결국 SetThreadContext의 호출이 ret 처리된 것이나 다름없게 되는 효과를 냅니다. 따라서, 우리가 의도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EIP/RIP의 위치 보정이 필요합니다.

DWORD64 g_jmpBase;

void SetJumpPoint()
{
    g_jmpBase = *(DWORD64*)_AddressOfReturnAddress();
}

DWORD WINAPI threadFunc1(LPVOID lpThreadParameter)
{
    CONTEXT ctxThread1 = { 0 };
    ctxThread1.ContextFlags = CONTEXT_ALL;
    ::G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SetJumpPoint();
    ctxThread1.Rip = g_jmpBase;

    char *ptr = nullptr;

    printf("Thread1: I'll destroy this process after one second.\n");
    Sleep(1000);
    printf("Context.Rip: (Dormammu) Thread1, I've Come To Bargain.\n");
            
    S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ptr = '\0';
    
    return 0;
}

이렇게 하고 나서야, 이제 비로소 우리가 의도했던 대로 SetThreadContext로 인한 이전 코드로의 실행 점프가 됩니다. (즉, *ptr = '0' 코드는 수행되지 않고 SetJumpPoint 호출 위치로 무한 반복을 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g_jmpBase를 반환 처리하면 안 됩니다.

DWORD64 GetJumpPoint()
{
    return *(DWORD64*)_AddressOfReturnAddress();
}

DWORD WINAPI threadFunc1(LPVOID lpThreadParameter)
{
    CONTEXT ctxThread1 = { 0 };
    ctxThread1.ContextFlags = CONTEXT_ALL;
    ::G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ctxThread1.Rip = GetJumpPoint();

    char *ptr = nullptr;

    printf("Thread1: I'll destroy this process after one second.\n");
    Sleep(1000);
    printf("Context.Rip: (Dormammu) Thread1, I've Come To Bargain.\n");
            
    S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ptr = '\0';
    
    return 0;
}

위와 같이 하면, 처음 한 번의 SetThreadContext 호출 시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두 번째 호출 시에는 비정상 종료가 됩니다. 이때 만약 Visual Studio IDE 내에서 디버깅 중이라면 아래와 같은 유형의 예외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Exception thrown at 0x0000000000000000 in ConsoleApplication2.exe: 0xC0000005: Access violation executing location 0x0000000000000000.

즉, SetThreadContext에 지정된 ctxThread1.Rip의 주솟값이 0x0000000000000000이었기 때문에 그리로 점프해 (당연히) 비정상 종료를 한 것인데요.

원인은, GetJumpPoint가 반환한 위치는 아래에서 "00007FF60DDE1888"로 rax 값을 변수 ctxThread1.Rip에 대입하는 위치이기 때문입니다.

    27:     ctxThread1.Rip = GetJumpPoint();
00007FF60DDE1883 E8 65 FB FF FF       call        GetJumpPoint (07FF60DDE13EDh)  
00007FF60DDE1888 48 89 85 08 01 00 00 mov         qword ptr [rbp+108h],rax  

따라서 SetThreadContext 호출 시점의 rax가 ctxThread1.Rip에 담기게 되는데, 그때의 rax에 들어 있던 값이 0이어서 저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46정성태1/28/20226025오류 유형: 792. .NET Core - 로컬 개발 중에 docker 호스팅으로 바꾸는 경우 SQL 서버 접근 방법
12945정성태1/28/20226263오류 유형: 791. SQL 서버 로그인 시 localhost는 되고, 127.0.0.1로는 안 되는 문제
12944정성태1/28/20228629.NET Framework: 1143. C# - Entity Framework Core 6 개요
12943정성태1/27/20227540.NET Framework: 1142. .NET 5+로 포팅 시 플랫폼 호환성 경고 메시지(SYSLIB0006, SYSLIB0011, CA1416)파일 다운로드1
12942정성태1/27/20227811.NET Framework: 1141. XmlSerializer와 Dictionary 타입파일 다운로드1
12941정성태1/26/20229216오류 유형: 790. AKS/k8s - pod 상태가 Pending으로 지속되는 경우
12940정성태1/26/20226637오류 유형: 789. AKS에서 hpa에 따른 autoscale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12939정성태1/25/20227314.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2938정성태1/24/20229586개발 환경 구성: 633. Docker Desktop + k8s 환경에서 local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
12937정성태1/24/20227424.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2]파일 다운로드1
12936정성태1/22/20227381.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파일 다운로드1
12935정성태1/22/20227560.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34정성태1/22/20227117오류 유형: 788. Warning C6262 Function uses '65564' bytes of stack: exceeds /analyze:stacksize '16384'. Consider moving some data to heap. [2]
12933정성태1/21/20227666.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32정성태1/20/20228121.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2]파일 다운로드1
12931정성태1/20/20226283개발 환경 구성: 632.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12930정성태1/19/20226889개발 환경 구성: 631. AKS/k8s의 Volume에 파일 복사하는 방법
12929정성태1/19/20226669개발 환경 구성: 630. AKS/k8s의 Pod에 Volume 연결하는 방법
12928정성태1/18/20226818개발 환경 구성: 629. AKS/Kubernetes에서 호스팅 중인 pod에 shell(/bin/bash)로 진입하는 방법
12927정성태1/18/20226556개발 환경 구성: 628.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12926정성태1/17/20227040오류 유형: 787. AKS - pod 배포 시 ErrImagePull/ImagePullBackOff 오류
12925정성태1/17/20227154개발 환경 구성: 627.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
12924정성태1/15/20228625.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2]파일 다운로드1
12923정성태1/15/20227588개발 환경 구성: 626.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을 MPEG1 포맷으로 변경하는 방법
12922정성태1/14/20226638개발 환경 구성: 625.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 생성 및 SLO/SLA 변경 방법
12921정성태1/14/20225626개발 환경 구성: 624. Docker Desktop에서 별도 서버에 설치한 docker registry에 이미지 올리는 방법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