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 https://www.sysnet.pe.kr/2/0/1837

디버깅 기술: 123. windbg -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누수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1808

.NET Framework: 807. ClrMD를 이용해 메모리 덤프 파일로부터 특정 인스턴스를 참조하고 있는 소유자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1809

.NET Framework: 944. C# - 인스턴스가 살아 있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341

디버깅 기술: 171. windbg - 인스턴스가 살아 있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342

.NET Framework: 94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패턴
; https://www.sysnet.pe.kr/2/0/12343

VS.NET IDE: 167. Visual Studio 디버깅 중 GC Heap 상태를 보여주는 "Show Diagnostic Tools" 메뉴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699




Visual Studio 디버깅 중 GC Heap 상태를 보여주는 "Show Diagnostic Tools" 메뉴 사용법

비주얼 스튜디오로 디버깅을 시작하면, "Debug" / "Windows" / "Show Diagnostic Tools (Ctrl + Alt + F2)" 메뉴로 다음과 같은 "Diagnostic Tools" 창을 띄울 수 있습니다.

vs_diag_tools_1.png

위의 창에서 "Take Snapshot" 기능이 재미있는데요, 디버깅 중에 저 버튼을 누르면 그때 당시의 힙 메모리 상태를 기록해 둡니다. 누를 때마다 한 번씩 기록하는데, 다음 화면은 3번 눌렀을 때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vs_diag_tools_2.png

화면에 보이는 것처럼, ID 값이 1번인 snapshot이 떠진 이후, 2번 snapshot을 떴을 때까지 힙에 새로 할당된 개체는 없고, 따라서 Heap Size도 변화가 없습니다. 3번까지, 그대로니까 그사이 응용 프로그램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던 것입니다.




자, 그럼 다음과 같이 간단한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Type instance = new MyType();

        Wait(1);
        MyRoot root1 = new MyRoot();
        root1.Ref = instance;

        Wait(2);
        MyRoot root2 = new MyRoot();
        root2.Ref = instance;

        Wait(3);
    }

    private static void Wait(int step)
    {
        Console.Write($"[{step}] Wait...");
        Console.ReadLine();
    }
}

class MyRoot
{
    public object Ref;
}

class MyType
{
}

Wait(n)으로 멈출 때마다 snapshot을 떠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는데요,

vs_diag_tools_3.png

1번과 2번의 snapshot 사이에 root1 인스턴스만 할당이 되었는데 +2라고 나오는 것은 왜일까요? 이를 알아보기 위해 #2번 snapshot의 "+2" 링크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상세 창이 뜹니다.

vs_diag_tools_4.png

화면에 "MyRoot" 하나만 "Count Diff." 칼럼에 "+1"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다른 한 개는 뭘까요? 이를 확인하려면 위의 화면에서 우측 상단에 있는 필터 버튼을 눌러 (기본값으로 선택돼 있는) "Just My Code" 옵션을 해제해야 합니다.

vs_diag_tools_5.png

그럼, 상세 화면은 이제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

vs_diag_tools_6.png

아하, 그러니까 내 코드가 아닌 BCL 내부에서의 코드로 인해 할당된 String 개체가 하나 더 있었던 것입니다. 실제로, 예제 코드에서 Wait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미리 호출해 주면,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Wait(0);
    MyType instance = new MyType();

    Wait(1);
    MyRoot root1 = new MyRoot();
    root1.Ref = instance;

    Wait(2);
    MyRoot root2 = new MyRoot();
    root2.Ref = instance;

    Wait(3);
}

이전의 snapshot과는 달리 +1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관심 있고, 제어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기 위해 다시 "Just My Code" 필터링을 켜고, 보이는 "MyRoot" 인스턴스를 마우스로 선택하면 하단에 다음과 같이 "Paths to Root"가 선택된 패널이 보이며,

vs_diag_tools_7.png

해당 개체를 참조한 목록을 보여줍니다. 위에서는 "[Local Variable]"이라고 나오는데, 이는 코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Wait(1);
MyRoot root1 = new MyRoot();
root1.Ref = instance;

root1 로컬 변수가 참조를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 그렇다면 root1에서 "MyType instance" 변수의 참조를 Ref 변수에 할당했으니, instance의 "Paths to Root" 상황은 어떨까요? 아래는 확인한 결과입니다.

vs_diag_tools_8.png
(참고로, 목록에 개체가 많으므로 위의 화면처럼 우측 상단에서 "MyType"을 필터로 주면 쉽게 개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상하군요, 분명히 MyType 개체는 로컬 변수 "instance"뿐만 아니라 root1에서도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Reference Count"가 2라고 나와야 하는데, 여전히 1입니다. 어허~~~ 갑자기 신뢰감이 확 떨어지는군요. ^^;

반면, 해당 개체가 참고하고 있는 "Referenced Types"를 MyRoot의 개체로 보면 어떨까요?

vs_diag_tools_9.png

오호... 참조하는 입장에서는 정확한 결과가 나옵니다. 일단, 저는 여기까지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혹시 저 결과에 대해 "Paths to Root"에 대한 숨겨진 의미를 알고 계신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3/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7정성태5/8/201231254오류 유형: 152. cmd.exe - The system cannot write to the specified device. [2]
1276정성태4/28/201223113Phone: 5. 모든 Marketplace에 윈폰 앱을 등록하는 방법 [1]
1275정성태4/28/201226982개발 환경 구성: 150. 프로세스 실행으로 잠긴 파일이지만, 이름은 변경가능하다는 사실! 아셨나요? [7]
1274정성태4/17/201221497Phone: 4. "Holiday Calendar" 윈폰 응용 프로그램 등록
1273정성태4/6/201224700Phone: 3. 윈도우 폰을 위한 Holiyday Calendar 앱 개발파일 다운로드1
1272정성태4/5/201226276오류 유형: 151. ASP.NET - EcbGetUnicodeServerVariables 코드에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271정성태4/3/201228950Math: 6.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 [1]
1270정성태3/29/201222910오류 유형: 150. Visual Studio 2010 원격 디버깅 오류 - Kerberos authentication failed
1269정성태3/27/201236735오류 유형: 149. ODP.NET 오류 - The provider is not compatible with the version of Oracle client
1268정성태3/27/201233213오류 유형: 148. WCF svc 호출 시 HTTP Error 404.17 - Not Found [1]
1267정성태3/16/201231184.NET Framework: 314.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6정성태3/14/201234408개발 환경 구성: 149. RAID 1 구성 시 하드 디스크 장애 발생 해결에 대한 경험담
1265정성태3/13/201224704VC++: 61. 아이태니엄(IA64: Itanium) 에서 겪은 C++ 포인터 연산 문제 [2]
1264정성태3/10/201244114.NET Framework: 313. WELL512 난수 발생 알고리즘 - C# [5]파일 다운로드1
1263정성태3/9/201222915개발 환경 구성: 148. tinyget 사용법
1262정성태3/8/201243783개발 환경 구성: 147. .keystore 파일에 저장된 개인키 추출 방법과 인증기관으로부터 온 공개키를 합친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
1261정성태3/7/201224480Phone: 2. 개발자용 윈도우 폰 7 기기 등록하는 방법
1260정성태3/6/201224339Phone: 1. 윈도폰 7 개발자 (회사) 등록하는 방법 [3]
1259정성태3/4/201235835Windows: 57. 새로 추가된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 및 PowerShell 3.0 [1]
1258정성태3/3/201237466개발 환경 구성: 146. SQL Server 2012에 포함된 LocalDB 기능 소개 [3]파일 다운로드1
1257정성태3/3/201225653.NET Framework: 312. Native 스레드와 Managed 스레드 개체의 상태 관계 [1]파일 다운로드1
1256정성태3/3/201229210Math: 5. Euler's totient function - C#파일 다운로드1
1255정성태3/3/201231584Math: 4. 소수 판정 및 소인수 분해 소스 코드 - C# [1]파일 다운로드1
1254정성태3/1/201226551Windows: 56. Windows 8 Consumer Preview를 사용해 보고... [1]
1253정성태3/1/201228026VS.NET IDE: 71. Visual Studio 11 Ultimate 베타 설치 [3]
1252정성태3/1/201225359Windows: 55. 윈도우 8 베타 설치 과정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