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이상하군요, MySQL 컨테이너를,

docker - MySQL 컨테이너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2177

다시 latest로 실행시켰더니 그 이후부터 기존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 [닷넷의 경우]

MySQL: MySql.Data.MySqlClient.MySqlException (0x80004005):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at MySql.Data.MySqlClient.Authentication.AuthenticationPluginManager.GetPlugin(String method) 
    at MySql.Data.MySqlClient.Authentication.MySqlAuthenticationPlugin.GetPlugin(String method, NativeDriver driver, Byte[] authData) 
    at MySql.Data.MySqlClient.NativeDriver.Authenticate(String authMethod, Boolean reset) 
    at MySql.Data.MySqlClient.NativeDriver.Open() 
    at MySql.Data.MySqlClient.Driver.Open() 
    at MySql.Data.MySqlClient.Driver.Create(MySqlConnectionStringBuilder settings)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CreateNewPooled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GetPooled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TryToGetDriver()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Get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Connection.Open() 
    at WebSiteTest.postgreSQLTest.MySqlTest()
    at WebSiteTest.postgreSQLTest.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파이썬의 경우]
OperationalError at /testapp/mysqlclient_test
(2059, "Authentication plugin 'caching_sha2_password' cannot be loaded: /usr/lib/x86_64-linux-gnu/mariadb18/plugin/caching_sha2_password.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Request Method: GET
Request URL:    http://127.0.0.1/testapp/mysqlclient_test
Django Version: 1.11.29
Exception Type: OperationalError
Exception Value:    
(2059, "Authentication plugin 'caching_sha2_password' cannot be loaded: /usr/lib/x86_64-linux-gnu/mariadb18/plugin/caching_sha2_password.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Exception Location: /usr/local/lib/python2.7/site-packages/MySQLdb/connections.py in __init__, line 179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이 나오는군요,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0088142/authentication-method-caching-sha2-password-not-supported-by-any-of-the-availa

대처 방법은 2가지입니다. MySQ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측의 응용 프로그램이 .NET Framework 4.5.2 이상의 플랫폼으로 빌드가 된다면 NuGet으로부터 새롭게 MySQL 패키지를 업데이트하면 됩니다.

반면 그 미만의 경우라면 MySQL 서버에서 인증 방식을 Legacy 모드로 바꿔야 합니다. 아래의 공식 문서를 보면,

6.4.1.2 Caching SHA-2 Pluggable Authentication
; https://dev.mysql.com/doc/refman/8.0/en/caching-sha2-pluggable-authentication.html

기존의 방식은 "mysql_native_password"라고 하는군요.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위의 문서에서 여러 가지로 소개하고 있는데 그중에 새로운 user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해결해 보겠습니다.

# /usr/bin/mysql -u root -p

mysql> create user 'nativeuser'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test_password';

// 만약 "ERROR 1410 (42000): You are not allowed to create a user with GRANT" 오류가 발생한다면, 생성한 사용자의 id와 grant 대상이 되는 id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 계정 삭제: drop user nativeuser

물론 저렇게 바꿔주면 기존의 연결 문자열에 "User Id" 값도 변경해야 합니다.

<add key="MySqlConnection" 
        value="Data Source=192.168.100.50;Database=testdb;User Id=nativeuser;Password=test_password" />

그런데, 이렇게만 설정하고 테스트를 하면 권한 오류가 발생할 것입니다.

Authentication to host '192.168.0.8' for user 'nativeuser' using method 'mysql_native_password' failed with message: Access denied for user 'nativeuser'@'%' to database 'testdb'

적절한 권한도 줘야 합니다. ^^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testdb.* to 'nativeuser';
Query OK, 0 rows affected (0.01 sec)




참고로, MySQL 측의 서버 옵션에 기본 인증 방식을 제공하는 것도 있습니다. docker container의 경우라면 해당 파일의 위치는 /etc/mysql/my.cnf에 있을 것이고,

#apt update
#apt install vim

# cat /etc/mysql/my.cnf
...[생략]...

[mysqld]
pid-file        = /var/run/mysqld/mysqld.pid
socket          = /var/run/mysqld/mysqld.sock
datadir         = /var/lib/mysql
secure-file-priv= NULL

# Custom config should go here
!includedir /etc/mysql/conf.d/

위의 mysqld 섹션에 다음의 값을 설정하면 될 듯한데요,

default_authentication_plugin=mysql_native_password

실제로 해보면, 오류는 여전히 발생했습니다. 딱히 해보진 않았지만, 아마도 기존 사용자들은 "caching_sha2_password"가 기본 인증으로 설정되었을 때 생성되었을 것이므로 그것의 영향을 받아 이미 인증 모드 설정이 caching_sha2_password로 되어 있기 때문일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것은 테스트해야 알 수 있겠지만... 오늘은 일단 이 정도 선에서 마무리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3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04정성태7/2/201421637.NET Framework: 447. w3wp.exe AppPool 재생(recycle)하는 방법 정리
1703정성태7/2/201422474.NET Framework: 446. Assembly.Load를 이용해 GAC에 등록된 어셈블리를 로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02정성태6/23/201422205Phone: 11. Xamarin.Forms - 2. XAML을 이용한 페이지 개발파일 다운로드1
1701정성태6/23/201434400개발 환경 구성: 229. .NET Reflector + Reflexil 도구를 이용해 DLL 코드 변경 [4]
1700정성태6/23/201421261VS.NET IDE: 89. Visual Studio에서 기본 제공되는 성능 프로파일 [2]
1699정성태6/22/201424062Phone: 10. Xamarin.Forms - 1. Forms 시작하기 [2]파일 다운로드1
1698정성태6/22/201426060.NET Framework: 445. [부연 설명] 쉬운 C# 코드를 어럽게 이해하기 [2]
1697정성태6/22/201421314VS.NET IDE: 88. Visual Studio에서 직접 컴파일하는 IL 언어 확장 도구 - IL Support
1696정성태6/22/201421148.NET Framework: 444. clojure와 C#을 통해 이해하는 Sequence와 Vector 형식의 차이점 [1]
1695정성태6/21/201420171개발 환경 구성: 228. PowerShell ISE에서 (입력 기능이 있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방법
1694정성태6/21/201421324개발 환경 구성: 227. 닷넷 용 ClojureCLR 개발환경 설정
1693정성태6/20/201421640개발 환경 구성: 226. Clojure 언어의 윈도우 개발환경 설정
1692정성태6/19/201432234오류 유형: 231. Visual Studio 2013 한글 버전 설치 오류 - The form specified for the subject is not one supported or known by the specified trust provider
1691정성태6/18/201427448개발 환경 구성: 225. 유닉스 계열의 tail 명령어가 제공되는 PowerShell [1]
1690정성태6/18/201430237개발 환경 구성: 224. DirectShow 예제 구하는 방법 [3]
1689정성태6/18/201427079오류 유형: 230. C++ 가변 인자 사용시 va_start 파라미터 전달 방법 [2]
1688정성태6/15/201420616오류 유형: 229. 갤럭시 노트 3 환경에서 Xamarin 앱 배포 충돌
1687정성태6/15/201426649개발 환경 구성: 223. PowerShell로 Visual Studio 빌드 스크립트 작성파일 다운로드1
1686정성태6/12/201424327Windows: 96. 윈도우 8 - 그림 암호를 이용해 로그인 시 지연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1]
1685정성태6/10/201431105.NET Framework: 443. 자바 8과 C#의 람다(Lambda) 지원에 대한 비교 [12]
1684정성태6/9/201441271.NET Framework: 442. C# - 시스템의 CPU 사용량 및 프로세스(EXE)의 CPU 사용량 알아내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683정성태6/2/201420817오류 유형: 228. CLR4 보안 - yield 구문 내에서 SecurityCritical 메서드 사용 불가 [2]파일 다운로드1
1682정성태6/1/201426039.NET Framework: 441. .NET CLR4 보안 모델 - 3. CLR4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2
1681정성태6/1/201421899.NET Framework: 440. .NET CLR4 보안 모델 - 2. 샌드박스(Sandbox)을 이용한 보안 [2]파일 다운로드1
1680정성태6/1/201421372.NET Framework: 439. .NET CLR4 보안 모델 - 1. "Security Level 2"란?파일 다운로드1
1679정성태5/31/201420511.NET Framework: 438.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