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741. Failed to find the "go" binary in either GOROOT() or PATH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81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Failed to find the "go" binary in either GOROOT() or PATH

Go 프로젝트와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식의 각종 오류를 만난다면?

Failed to find the "go" binary in either GOROOT() or PATH(C:\Program Files\...[생략]...).Check PATH, or Install Go and reload the window. If PATH isn't what you expected, see https://github.com/golang/vscode-go/issues/971

Failed to run 'd:\go\bin\go.exe env. The config change may not be applied correctly.

Failed to run 'd:\go\bin\go.exe env' (cwd: D:\temp\mywork): Error: Command failed: d:\go\bin\go.exe env -json GOPATH GOROOT GOPROXY GOBIN GOMODCACHE
go: cannot find GOROOT directory: c:\go

c:\temp\gowork> go env
go: cannot find GOROOT directory: c:\go

Failed to run 'd:\go\bin\go.exe env' (cwd: D:\temp\mywork): Error: Command failed: d:\go\bin\go.exe env -json GOPATH GOROOT GOPROXY GOBIN GOMODCACHE
flag provided but not defined: -json
usage: env [var ...]

Env prints Go environment information.

By default env prints information as a shell script
(on Windows, a batch file).  If one or more variable
names is given as arguments,  env prints the value of
each named variable on its own line.

C:\temp> go version
go: cannot find GOROOT directory: c:\go

크게 고민하지 마시고, 새롭게 최신 버전의 go SDK를 다운로드하시면 모두 해결이 됩니다. 그리고 그냥 다음의 글에 따라 Visual Studio Code 환경으로 구성하는 것도 좋겠고.^^

윈도우 환경에서 Visual Studio Code + Go (Zip) 개발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2724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58정성태10/17/200624439오류 유형: 13. WSE 3.0 서비스 관련 WSE101 오류 / Destination Unreachable
357정성태12/1/200626757.NET Framework: 74. WCF 이야기 [4]
378정성태10/28/200631631    답변글 .NET Framework: 74.1. WCF와 WSE 3.0의 활용 [4]파일 다운로드1
379정성태11/3/200630534    답변글 .NET Framework: 74.2. WCF로 구현하는 .NET Remoting [4]파일 다운로드1
380정성태10/28/200629386    답변글 .NET Framework: 74.3. 웹 서비스와 닷넷 리모팅으로써의 WCF 구현파일 다운로드1
381정성태10/28/200631935    답변글 .NET Framework: 74.4. WCF 서비스 참조 추가 메뉴 [2]
382정성태10/28/200637819    답변글 .NET Framework: 74.5. WCF 서비스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383정성태10/28/200632715    답변글 .NET Framework: 74.6. IIS 6.0: 다중 Endpoint 제공파일 다운로드1
384정성태10/28/200629735    답변글 .NET Framework: 74.7. IIS 7.0: 다중 Endpoint 제공
389정성태11/11/200632414    답변글 .NET Framework: 74.8. WCF에 SSL 적용 (1) - Httpcfg.exe 도구를 이용한 SSL 설정
390정성태11/6/200629564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356정성태10/7/200625119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
386light10/30/200620071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
355정성태10/9/200627880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파일 다운로드2
353정성태12/31/200636277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
354정성태10/23/20063835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372정성태12/31/20064069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
373정성태10/24/20063211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74정성태10/25/20062937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391정성태11/7/20063333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617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3088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291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481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748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400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