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63.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 https://www.sysnet.pe.kr/2/0/11495

개발 환경 구성: 366. Azure Active Directory(Microsoft Enfra ID)의 사용자 유형 구분 - Guest/Member
; https://www.sysnet.pe.kr/2/0/11498

개발 환경 구성: 570.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ASP.NET Core/5+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2614

.NET Framework: 1081.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예제(Windows Forms)
; https://www.sysnet.pe.kr/2/0/12735

.NET Framework: 1082. Azure Active Directory - Microsoft Graph API 호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41

개발 환경 구성: 585. Azure AD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유형
; https://www.sysnet.pe.kr/2/0/12742

.NET Framework: 1083. Azure Active Directory - 외부 Token Cache 저장소를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43




Azure Active Directory - 외부 Token Cache 저장소를 사용하는 방법

지난 글에서,

Azure Active Directory - Microsoft Graph API 호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41

로그인 후, 서버 프로세스를 종료한 후 다시 시작하면 Access Token을 구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ccess token을 보관하는 저장소를 휘발성 메모리에서 명시적인 저장소로 옮겨야 하는데요, 이에 대해 다음의 글에서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Distributed caching in ASP.NET Co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aspnet/core/performance/caching/distributed

정리하면, 공식적으로는 다음의 3개 방식을 지원합니다.

  • SQL Server (nuget package: Microsoft.Extensions.Caching.SqlServer)
  • Redis (nuget package: Microsoft.Extensions.Caching.StackExchangeRedis)
  • NCache (nuget package: NCache.Microsoft.Extensions.Caching.OpenSource)

참고로, "Distributed Memory Cache (AddDistributedMemoryCache)" 방식도 있지만 사실 이건 AddDistributedTokenCaches를 사용했을 때 기본 적용되는 Inmemory 버전에 불과합니다. 즉, "Distributed"를 사용하지 않는 AddInMemoryTokenCaches와 같습니다.




자, 그럼 이 중에서 간단하게 "SQL Server"로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로컬에 SQL Server를 구성, "DistCache"라는 이름의 DB를 생성한 후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C:\temp> dotnet tool install --global dotnet-sql-cache

C:\temp> dotnet sql-cache create "Data Source=.;Initial Catalog=DistCache;Integrated Security=True;" dbo TestCache

그럼 아래와 같은 형식의 "TestCache" 테이블이 생성됩니다. (달리 말하면, 그냥 기존 DB에도 아래와 같은 규격의 테이블을 직접 생성해도 무방합니다.)

CREATE TABLE [dbo].[TestCache](
    [Id] [nvarchar](449) NOT NULL,
    [Value] [varbinary](max) NOT NULL,
    [ExpiresAtTime] [datetimeoffset](7) NOT NULL,
    [SlidingExpirationInSeconds] [bigint] NULL,
    [AbsoluteExpiration] [datetimeoffset](7) NULL,
    PRIMARY KEY CLUSTERED 
    (
        [Id] ASC
    )WITH (PAD_INDEX = OFF, STATISTICS_NORECOMPUTE = OFF, IGNORE_DUP_KEY = OFF, ALLOW_ROW_LOCKS = ON, ALLOW_PAGE_LOCKS = ON) ON [PRIMARY]
) ON [PRIMARY] TEXTIMAGE_ON [PRIMARY]

마지막으로 ASP.NET 측의 코드 수정은 ConfigureServices에서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 Install-Package Microsoft.Extensions.Caching.SqlServer

public void ConfigureServices(IServiceCollection services)
{
    services.AddAuthentication(OpenIdConnectDefaults.AuthenticationScheme)
            .AddMicrosoftIdentityWebApp(Configuration.GetSection("AzureAd"))
            .EnableTokenAcquisitionToCallDownstreamApi(new string[] { "user.read" })
            .AddMicrosoftGraph(Configuration.GetSection("Graph"))
            .AddDistributedTokenCaches()
            //.AddInMemoryTokenCaches()
            ;

    services.AddDistributedSqlServerCache(options =>
    {
        options.ConnectionString = "Data Source=.;Initial Catalog=DistCache;Integrated Security=True;";
        options.SchemaName = "dbo";
        options.TableName = "TestCache";
    });
    
    // ...[생략]...
}

이제 테스트를 해보면, Microsoft Account로 로그인 시 TestCache 테이블에 Token이 캐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세스를 재시작해도 이후에는 Token Cache를 TestCache 테이블에서 가져오기 때문에 _graphServiceClient.Me.Request().GetAsync(); 호출이 정상적으로 완료가 됩니다.

참고로, 호출 시마다 TestCache 테이블의 ExpiresatTime 토큰 만료 시간은 "SlidingExpirationInSeconds" 필드에 지정된 초만큼 지연이 됩니다. 또한 명시적인 로그아웃을 하면 TestCache의 해당 Token 항목도 삭제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정도면 대충 다른 것들(Redis, NCache)의 사용법도 감각적으로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참고로, 사용 중인 Access Token 값을 구하고 싶다면 ITokenAcquisition 인터페이스를 주입받는 것으로도 가능합니다.

public class IndexModel : PageModel
{
    // ...[생략]...
    ITokenAcquisition _tokenAcquisition;

    public IndexModel(ILogger<IndexModel> logger, GraphServiceClient graphServiceClient
            , ITokenAcquisition tokenAcquisition)
    {
        // ...[생략]...
        _tokenAcquisition = tokenAcquisition;
    }

    public async Task OnGet()
    {
        // ...[생략]...
        string accessToken = await _tokenAcquisition.GetAccessTokenForUserAsync(new string[] { "user.read" });
        ViewData["access_token"] = accessToken;

        var user = await _graphServiceClient.Me.Request().GetAsync();

        ViewData["tel"] = user.MobilePhone;
    }
}

실제로 이렇게 구한 accesToken 문자열을 복사해 "Postman" 같은 도구로 다음과 같이 graph.microsoft.com 측으로 직접 쿼리를 전송해 테스트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aad_access_token_1.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3정성태3/9/201225615개발 환경 구성: 148. tinyget 사용법
1262정성태3/8/201246469개발 환경 구성: 147. .keystore 파일에 저장된 개인키 추출 방법과 인증기관으로부터 온 공개키를 합친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
1261정성태3/7/201226896Phone: 2. 개발자용 윈도우 폰 7 기기 등록하는 방법
1260정성태3/6/201227216Phone: 1. 윈도폰 7 개발자 (회사) 등록하는 방법 [3]
1259정성태3/4/201238723Windows: 57. 새로 추가된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 및 PowerShell 3.0 [1]
1258정성태3/3/201240251개발 환경 구성: 146. SQL Server 2012에 포함된 LocalDB 기능 소개 [3]파일 다운로드1
1257정성태3/3/201228615.NET Framework: 312. Native 스레드와 Managed 스레드 개체의 상태 관계 [1]파일 다운로드1
1256정성태3/3/201231981Math: 5. Euler's totient function - C#파일 다운로드1
1255정성태3/3/201234143Math: 4. 소수 판정 및 소인수 분해 소스 코드 - C# [1]파일 다운로드1
1254정성태3/1/201229606Windows: 56. Windows 8 Consumer Preview를 사용해 보고... [1]
1253정성태3/1/201230996VS.NET IDE: 71. Visual Studio 11 Ultimate 베타 설치 [3]
1252정성태3/1/201228169Windows: 55. 윈도우 8 베타 설치 과정 [1]
1251정성태2/27/201231996VC++: 60. C/C++ Native 스레드 콜 스택 덤프를 얻는 공개 라이브러리 [2]파일 다운로드1
1250정성태2/27/201234470VC++: 59. C/C++ 프로젝트 빌드 속도 개선 - UnityBuild를 아세요? [3]
1249정성태2/26/201234552.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2]파일 다운로드3
1248정성태2/25/201245380.NET Framework: 310. C#의 Shift 비트 연산 정리파일 다운로드1
1247정성태2/25/201228146.NET Framework: 309. .NET 응용 프로그램에 기본 생성되는 스레드들에 대한 탐구 [1]파일 다운로드1
1246정성태2/25/201227507개발 환경 구성: 145. 한영 변환은 되지만, 정작 한글 입력이 안되는 경우
1245정성태2/25/201238560개발 환경 구성: 144. 윈도우에서도 유닉스처럼 명령행으로 원격 접속하는 방법
1244정성태2/24/201235658.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43정성태2/23/201235632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1]
1242정성태2/20/201242212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7]파일 다운로드1
1241정성태2/20/201228706.NET Framework: 30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ILMerge
1240정성태2/19/201235343디버깅 기술: 48. C/C++ JNI DLL을 Visual Studio로 디버깅하는 방법 [2]
1239정성태2/19/201226889.NET Framework: 306. 컴퓨터에 실행된 프로세스 중에 닷넷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는 방법 - C# [1]파일 다운로드1
1238정성태2/19/201231359.NET Framework: 305. GetPrivateProfileSection / WritePrivateProfileSection의 C# 버전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