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네트워크 장비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Packet Tracer 프로그램 소개

오늘 처음 이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아마도 네트워크 관련해서 "엔지니어"들은 거의 다 알고 있겠지만 "개발자"들은 생소하신 분이 많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회원 가입이 필요하지만) 다운로드는 아래의 경로에서 가능하고,

Download Cisco Packet Tracer 8.0.0 & GNS3
; https://www.packettracernetwork.com/download/download-packet-tracer.html

아래의 화면은 간단하게 PC 3대와 스위치, 라우터를 연결한 도식을 보여줍니다.

packet_tracer_1.png

이 Packet Tracer가 재미있는 것은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닌, 가상의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각각의 PC에 IP 네트워크 설정을 할 수 있고,

packet_tracer_2.png

라우터에 대해서도 마치 장비의 콘솔에 접속한 것처럼 설정할 수 있습니다.

packet_tracer_3.png

Rounter> enable    // 관리자 모드로 진입
Rounter# config terminal  // 터미널 구성 모드로 진입
d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nter(config)# hostname R1
R1(config)# interface g0/0/0 // 라우터와 스위치가 연결된 인터페이스 선택
R1(config-if)# ip address 192.168.0.1 255.255.255.0  // IP 설정
R1(config-if)# no shutdown // 링크 활성화

R1(config-if)#
%LINK-5-CHANGED: Interface GigabitEthernet0/0/0, changed state to up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GigabitEthernet0/0/0, changed state to up

R1(config-if)# exit
R1(config)# exit
R1# write memory
Building configuration...
[OK]

라우터
 - 사용자 모드 (User EXEC Mode) - 프롬프트: Router>
 - 관리자 모드 (Privileged EXEC Mode) - 프롬프트: Router#
 - 전역 설정 모드 (Global Configuration Mode) - 프롬프트: Router(config)#

명령어
 - enable(en): 사용자 모드 -> 관리자 모드
 - disable(exit): 관리자 모드 -> 사용자 모드
 - configure terminal(conf t): 관리자 모드 -> 전역 설정 모드
 - exit: 전역 설정 모드 -> 관리자 모드

마찬가지로 가상 PC의 "Command Prompt"에 로그인한 것처럼 다른 장비들에 대한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를 내려 설정에 따른 동작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packet_tracer_4.png

Cisco 참 대단합니다. 자사의 제품을 익숙하게 만드는 장점도 있고, 이런 걸로 네트워크 자격증 공부도 하게 만들고... ^^




그나저나 아쉽군요,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책을 읽었던 당시에 이 도구를 알았더라면 좀 더 그 책을 재미있게 읽었을 텐데... ^^

참고로, 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때 회원 가입을 해야 하는데요, 이게 좀 힘들었습니다. ^^; 그냥 느낌적으로 회원 가입을 하려고 링크 타고 들어가 "https://id.cisco.com/"에서 로그인 처리를 했는데 정작 다운로드해야 하는 페이지에서는 이렇게 오류가 발생합니다.

Sorry, we can't find a NetAcad account associated with this Cisco account.

그러니까, 뭔가 id.cisco.com 사이트와 www.netacad.com 사이에 연동이 제대로 안 되는 듯합니다. 검색해 보고 나서 아래의 사이트에서 설명한 대로 했더니 정말 로그인이 되었습니다. ^^;

패킷 트레이서 최신 버전 설치하기 (+회원 가입)
; https://new-ngmon.tistory.com/69

그리고 이미 "Sorry, we can't find a NetAcad account associated with this Cisco account." 오류가 발생한 경우 위의 회원 가입을 해도 쿠키가 남아서인지 안 될 수 있는데 그럴 때는 브라우저의 쿠키 기록을 모두 삭제하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77정성태11/13/201812277오류 유형: 502. Your project does not reference "..." framework. Add a reference to "..." in the "TargetFrameworks" property of your project file and then re-run NuGet restore.
11776정성태11/13/201811617.NET Framework: 802. Windows에 로그인한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정인지, 로컬 계정인지 알아내는 방법
11775정성태11/13/201814080Graphics: 31.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6) - Texturing파일 다운로드1
11774정성태11/8/201811920Graphics: 30.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4), (5) - Shader파일 다운로드1
11773정성태11/7/201811658Graphics: 29.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파일 다운로드1
11772정성태11/6/201813948Graphics: 28.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2) - VAO, VBO파일 다운로드1
11771정성태11/5/201813076사물인터넷: 56.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 두 번째 이야기 [1]
11770정성태11/5/201820231Graphics: 27.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 - OpenGL.Net 라이브러리 [3]파일 다운로드1
11769정성태11/5/201811952오류 유형: 501. 프로젝트 msbuild Publish 후 connectionStrings의 문자열이 $(ReplacableToken_...)로 바뀌는 문제
11768정성태11/2/201811887.NET Framework: 801. SOIL(Simple OpenGL Image Library) - Native DLL 및 .NET DLL 제공
11767정성태11/1/201813364사물인터넷: 55. New NodeMcu v3(ESP8266)의 IR LED (적외선 송신)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66정성태10/31/201814828사물인터넷: 5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
11765정성태10/26/201812359개발 환경 구성: 420. Visual Studio Code - Arduino Board Manager를 이용한 사용자 정의 보드 선택
11764정성태10/26/201816010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2]
11763정성태10/25/201813927사물인터넷: 53.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s 통신
11762정성태10/25/201814721사물인터넷: 52.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61정성태10/25/201814380Graphics: 26. 임의 축을 기반으로 3D 벡터 회전파일 다운로드1
11760정성태10/24/201810814개발 환경 구성: 418. Azure - Runbook 내에서 또 다른 Runbook 스크립트를 실행
11759정성태10/24/201811597개발 환경 구성: 417. Azure - Runbook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서드를 위한 부가 Module 추가
11758정성태10/23/201813658.NET Framework: 800. C# - Azure REST API 사용을 위한 인증 획득 [3]파일 다운로드1
11757정성태10/19/201811103개발 환경 구성: 416. Visual Studio 2017을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및 디버깅)
11756정성태10/19/201813483오류 유형: 500. Visual Studio Code의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시 인텔리센스가 안 된다면?
11755정성태10/19/201815049오류 유형: 499. Visual Studio Code extension for Arduino - #include errors detected. [1]
11754정성태10/19/201811864개발 환경 구성: 415.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 새 프로젝트
11753정성태10/19/201819399개발 환경 구성: 414.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11752정성태10/18/201811653오류 유형: 498. SQL 서버 - Database source is not a supported version of SQL Server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