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VS.NET IDE: 105.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858

VS.NET IDE: 169. 비주얼 스튜디오 - 단위 테스트 선택 시 MSTestv2 외의 xUnit, NUnit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726

.NET Framework: 1078. C# 단위 테스트 - MSTestv2/NUnit의 Assert.Inconclusive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727

.NET Framework: 1079. MSTestv2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어셈블리 수준의 문맥 제공
; https://www.sysnet.pe.kr/2/0/12728

.NET Framework: 1080. xUnit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 수준의 문맥 제공 - Fixture
; https://www.sysnet.pe.kr/2/0/12729

개발 환경 구성: 590. Visual Studio 2017부터 단위 테스트에 DataRow 특성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2749

개발 환경 구성: 593. MSTest - 단위 테스트에 static/instance 유형의 private 멤버 접근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55

.NET Framework: 1084. C# - .NET Core Web API 단위 테스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56




MSTest - 단위 테스트에 static/instance 유형의 private 멤버 접근 방법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식의 코드가 있다고 가정할 때,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namespace ClassLibrary1
{
    public class Class1
    {
        int _waitTime = 5000;
        Stopwatch _st;

        public void Start()
        {
            _st = new Stopwatch();
            _st.Start();
        }

        public bool IsTooSlow()
        {
            long elapsed = _st.ElapsedMilliseconds;
            if (elapsed > _waitTime)
            {
                return true;
            }

            return false;
        }
    }
}

단위 테스트를 이런 식으로 작성하게 될 텐데요,

using ClassLibrary1;
using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UnitTesting;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lassLibrary1.Tests
{
    [TestClass()]
    public class Class1Tests
    {
        Class1 _cl = new Class1();

        [TestMethod()]
        [DataRow(false, 3000)]
        [DataRow(true, 5016)]
        public void IsTooSlowTest(bool expected, int sleepTime)
        {
            _cl.Start();
            Thread.Sleep(sleepTime);
            Assert.AreEqual(expected, _cl.IsTooSlow());
        }
    }
}

그런데, 매번 저걸 테스트할 때마다 8초씩 기다려야 하는 걸까요? 물론, Class1의 _waitTime이 꼭 5000이어야 한다면 할 수 없지만, 단위 테스트에 한해 저 값을 바꿔도 무방한 코드라면 유연함을 발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경우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해당 필드를 internal 접근 유형으로 바꾸고, InternalsVisibleTo를 이용해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등록하면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assembly: InternalsVisibleTo("ClassLibrary1Tests")]

namespace ClassLibrary1
{
    public class Class1
    {
        internal int _waitTime = 5000;
        
        // ...[생략]...
    }
}

그럼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에서 이렇게 internal 필드를 접근할 수 있어,

[TestMethod()]
[DataRow(false, 16)]
[DataRow(true, 46)]
public void IsTooSlowTest(bool expected, int sleepTime)
{
    _cl._waitTime = 30;

    _cl.Start();
    Thread.Sleep(sleepTime);
    Assert.AreEqual(expected, _cl.IsTooSlow());
}

단위 테스트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매번 private 필드를 internal로 바꾸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단위 테스트를 위해 SetWaitTime internal 메서드를 두는 것도 부담스럽다면, 마지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private 필드를 Reflection으로 접근해 보는 것입니다.

사실, .NET Framework 환경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런 경우를 위해 PrivateObject/PrivateType을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위의 예제라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ing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UnitTesting;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lassLibrary1.Tests
{
    [TestClass()]
    public class Class1Tests
    {
        Class1 _cl;        
        PrivateObject _prvObj; // instance private 접근
        PrivateType _prvType; // static private 접근

        [TestInitialize]
        public void TestInitialize()
        {
            _cl = new Class1();
            _prvObj = new PrivateObject(_cl);
            _prvType = new PrivateType(typeof(Class1));
        }

        [TestMethod()]
        [DataRow(false, 16)]
        [DataRow(true, 46)]
        public void IsTooSlowTest(bool expected, int sleepTime)
        {
            _prvObj.SetField("_waitTime", 30);

            // 만약 정적 필드라면,
            // _prvType.SetStaticField("_waitTime", 30);

            _cl.Start();
            Thread.Sleep(sleepTime);
            Assert.AreEqual(expected, _cl.IsTooSlow());
        }
    }
}

아쉽게도 PrivateObject/PrivateType은 .NET Core/5+ 환경의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에서는 더 이상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PrivateObject and PrivateType are not available for a project targeting netcorapp2.0 #366
; https://github.com/Microsoft/testfx/issues/366

어쩔 수 없습니다. 직접 만들든가 해야 하는데, 그래도 위의 덧글을 보면 마이크로소프트 측의 구현 코드 위치와 함께,

testfx/src/TestFramework/Extension.Desktop/
; https://github.com/microsoft/testfx/tree/664ac7c2ac9dbfbee9d2a0ef560cfd72449dfe34/src/TestFramework/Extension.Desktop

아예 zip 파일로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 (첨부 파일의 프로젝트에도 PrivateObjectPrivateType.cs 파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PrivateObjectPrivateType.zip
; https://github.com/microsoft/testfx/files/4132970/PrivateObjectPrivateType.zip

따라서, PrivateObjectPrivateType.cs을 그대로 .NET Core/5+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에 복사해 주고 이전 PrivateObject/PrivateType 사용 코드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다음의 편의성 메서드도 있으니 참고하시고.

[PrivateObject]
    GetArrayElement
    GetField
    GetFieldOrProperty
    GetProperty
    Invoke
    SetArrayElement
    SetField
    SetFieldOrProperty
    SetProperty

[PrivateType]
    GetStaticArrayElement
    GetStaticField
    GetStaticProperty
    InvokeStatic
    SetStaticArrayElement
    SetStaticField
    SetStaticProperty




그 외 자잘한 거 2개 정도 더 정리해 볼까요? ^^

해당 메서드에서 예외가 발생할 수 있다면 이렇게 ExpectedException 특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TestMethod]
[ExpectedException(typeof(FileNotFoundException))]
public void TestException()
{
    File.ReadAllText("test.dat");
}

그럼, FileNotFoundException 예외가 발생해도 기대했던 동작이기 때문에 위의 단위 테스트는 실패로 평가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신만의 메타데이터를 TestProperty를 이용해 설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TestMethod]
[TestProperty("Author", "kevin")]
public void ExampleTest()
{
    // Test logic
}

위와 같은 경우, "Test Explorer" 창에서 "Author [kevin]"이라는 별도의 출력 항목을 "Traits" 칼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testprop_attr_1.png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50정성태10/2/20062063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28392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3610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4073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7030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7314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5064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1849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5607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0509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39587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0489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2757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2704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2979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2892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2639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283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2783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196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3637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3778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462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2730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2633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2780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