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084. C# - .NET Core Web API 단위 테스트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84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VS.NET IDE: 105.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858

VS.NET IDE: 169. 비주얼 스튜디오 - 단위 테스트 선택 시 MSTestv2 외의 xUnit, NUnit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726

.NET Framework: 1078. C# 단위 테스트 - MSTestv2/NUnit의 Assert.Inconclusive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727

.NET Framework: 1079. MSTestv2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어셈블리 수준의 문맥 제공
; https://www.sysnet.pe.kr/2/0/12728

.NET Framework: 1080. xUnit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 수준의 문맥 제공 - Fixture
; https://www.sysnet.pe.kr/2/0/12729

개발 환경 구성: 590. Visual Studio 2017부터 단위 테스트에 DataRow 특성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2749

개발 환경 구성: 593. MSTest - 단위 테스트에 static/instance 유형의 private 멤버 접근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55

.NET Framework: 1084. C# - .NET Core Web API 단위 테스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56




C# - .NET Core Web API 단위 테스트 방법

다음과 같은 글이 있군요. ^^

C# Web API: How to call your endpoint through integration tests
; https://dev.to/willianantunes/c-web-api-how-to-call-your-endpoint-through-integration-tests-li1

위의 글은 xUnit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그대로 하면 재미가 없으니 저는 위의 설명을 MSTest로 바꿔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




우선 ASP.NET Core Web API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하고, "C# Web API: How to call your endpoint through integration tests" 글에서 공개한 예제 코드를 다음과 같이 적용해 보겠습니다.

using Microsoft.AspNetCore.Mvc;
using Microsoft.Extensions.Logging;
using System;

namespace WebApplication1.Controllers
{
    [ApiController]
    [Route("api/v1/[controller]")]
    public class MoviesController : ControllerBase
    {
        private readonly IFilmSpecialist _filmSpecialist;
        private readonly ILogger<WeatherForecastController> _logger;

        public MoviesController(ILogger<WeatherForecastController> logger, IFilmSpecialist filmSpecialist)
        {
            _logger = logger;
            _filmSpecialist = filmSpecialist;
        }

        [HttpGet]
        public Movie Get()
        {
            _logger.Log(LogLevel.Information, "Let me ask the film specialist...");
            var movie = _filmSpecialist.SuggestSomeMovie();
            _logger.Log(LogLevel.Information, "Suggested movie: {Movie}", movie);
            return movie;
        }
    }

    public interface IFilmSpecialist
    {
        Movie SuggestSomeMovie();
    }

    public class Movie
    {
        public string Title { get; }
        public string Release { get; }
        public string[] Genres { get; }
        public string Duration { get; }

        public Movie(string title, string release, string[] genres, string duration)
        {
            Title = title;
            Release = release;
            Genres = genres;
            Duration = duration;
        }
    }
}

실제 업무에서는 _filmSpecialist.SuggestSomeMovie()의 호출은 Startup.cs의 ConfigureServices에서 설정한 IFilmSpecialist 구현체가 주입이 될 것이므로 대개의 경우 DB와 같은 storage와 연계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구현이 완료되면 "http://localhost:7732/api/v1/Movies"라는 호출에 대해 영화 추천 결과가 하나 나올 것입니다.




자, 그럼 이제부터 단위 테스트를 작성해 볼까요? 가장 먼저 처리해야 할 것은 "_filmSpecialist.SuggestSomeMovie()" 호출에서 storage를 직접 접근하는 것이 아닌, fake 동작을 수행할 타입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public class FilmSpecialist : IFilmSpecialist
{
    private static readonly Movie[] Films =
    {
        new("RoboCop", "10/08/1987", new[] {"Action", "Thriller", "Science Fiction"}, "1h 42m"),
        new("The Matrix", "05/21/1999", new[] {"Action", "Science Fiction"}, "2h 16m"),
        new("Soul", "12/25/2020", new[] {"Family", "Animation", "Comedy", "Drama", "Music", "Fantasy"}, "1h 41m"),
        new("Space Jam", "12/25/1996", new[] {"Adventure", "Animation", "Comedy", "Family"}, "1h 28m"),
        new("Aladdin", "07/03/1993", new[] {"Animation", "Family", "Adventure", "Fantasy", "Romance"}, "1h 28m"),
        new("The World of Dragon Ball Z", "01/21/2000", new[] {"Action"}, "20m"),
    };

    public Movie SuggestSomeMovie()
    {
        Random random = new();
        var filmIndexThatIWillSuggest = random.Next(0, Films.Length);

        return Films[filmIndexThatIWillSuggest];
    }
}

그리고 이 상태에서 Web API가 아닌, MoviesController.Get 내부의 _filmSpecialist.SuggestSomeMovie(); 메서드를 단위 테스트 하는 것이라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처리하게 될 것입니다.

[TestClass]
public class MoviesControllerTests
{
    private readonly IFilmSpecialist _filmSpecialist = new FilmSpecialist();

    [TestMethod()]
    public void GetTest()
    {
        var suggestedMovie = _filmSpecialist.SuggestSomeMovie();

        var expectedTiles = new[]
        {
            "RoboCop", "The Matrix", "Soul", "Space Jam", "Aladdin", "The World of Dragon Ball Z"
        };

        CollectionAssert.Contains(expectedTiles, suggestedMovie.Title);
    }
}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것은 해당 Web API의 [Route("api/v1/[controller]")] 설정까지 반영된 MoviesController.Get 메서드가 호출되는 것을 단위 테스트 범위로 넣고 싶은 것입니다.

이를 위해 Microsoft는 WebApplicationFactory 타입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방법도 아래의 문서에서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ASP.NET Core MVC 앱 테스트
; https://learn.microsoft.com/ko-kr/dotnet/architecture/modern-web-apps-azure/test-asp-net-core-mvc-apps

Integration tests in ASP.NET Co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aspnet/core/test/integration-tests

해당 타입을 사용하려면 우선 Microsoft.AspNetCore.Mvc.Testing 패키지를 참조 추가하고,

Install-Package Microsoft.AspNetCore.Mvc.Testing

이후, ClassInitialize로 WebApplicationFactory<Startup> 인스턴스를 생성해 테스트 대상인 Web API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한 후,

static WebApplicationFactory<Startup> _factory;
static HttpClient _httpClient;

[ClassInitialize]
public static void TestInitialize(TestContext _)
{
    _factory = new WebApplicationFactory<Startup>();
    _httpClient = _factory.WithWebHostBuilder(builder =>
    {
        builder.ConfigureTestServices(services =>
        {
            services.AddScoped(typeof(IFilmSpecialist), typeof(FilmSpecialist));
        });
    }).CreateClient();
}

다음과 같이 Web API를 HttpClient로 호출하면서 실제 Web Server에서 호스팅 중인 Web API를 접근하는 것처럼 단위 테스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TestMethod()]
public async Task GetTest()
{
    var requestPath = "/api/v1/movies";
    var response = await _httpClient.GetAsync(requestPath);
    Assert.AreEqual(HttpStatusCode.OK, response.StatusCode);

    var movie = await response.Content.ReadFromJsonAsync<Movie>();

    var expectedTiles = new[]
    {
        "RoboCop", "The Matrix", "Soul", "Space Jam", "Aladdin", "The World of Dragon Ball Z"
    };

    CollectionAssert.Contains(expectedTiles, movie.Title);
}




"C# Web API: How to call your endpoint through integration tests" 글을 보면 Mock을 사용해,

Install-Package Moq

class FilmSpecialist 정의까지 없애고 있는데요, 이것 역시 동일하게 MSTest에서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를 반영한 단위 테스트 전체 소스 코드입니다.

using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UnitTesting;
using WebApplication1.Controllers;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Microsoft.AspNetCore.Mvc.Testing;
using Microsoft.AspNetCore.TestHost;
using System.Net.Http;
using Microsoft.Extensions.DependencyInjection;
using System.Net.Http.Json;
using System.Net;
using Moq;
using Microsoft.Extensions.DependencyInjection.Extensions;

namespace WebApplication1.Controllers.Tests
{
    [TestClass]
    public class MoviesControllerTests
    {
        static IFilmSpecialist _filmSpecialist;
        static WebApplicationFactory<Startup> _factory;
        static HttpClient _httpClient;

        [ClassInitialize]
        public static void TestInitialize(TestContext _)
        {
            _filmSpecialist = Mock.Of<IFilmSpecialist>();

            _factory = new WebApplicationFactory<Startup>();
            _httpClient = _factory.WithWebHostBuilder(builder =>
            {
                builder.ConfigureTestServices(services =>
                {
                    services.RemoveAll<IFilmSpecialist>();
                    services.TryAddTransient(_ => _filmSpecialist);
                });
            }).CreateClient();
        }


        [TestMethod()]
        public async Task GetTestWithMock()
        {
            var requestPath = "/api/v1/movies";
            var movieToBeSuggested = new Movie("Schindler's List", "12/31/1993", new[] { "Drama", "History", "War" }, "3h 15m");
            Mock.Get(_filmSpecialist)
                .Setup(f => f.SuggestSomeMovie())
                .Returns(movieToBeSuggested)
                .Verifiable();

            var response = await _httpClient.GetAsync(requestPath);
            Assert.AreEqual(HttpStatusCode.OK, response.StatusCode);

            var movie = await response.Content.ReadFromJsonAsync<Movie>();
            Assert.AreEqual(movieToBeSuggested, movie);
        }
    }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그러니까, 결국 이 글 하나를 쓰려고 했는데 어쩌다가 글 타래가 엮여 다음의 글들까지 써진 것입니다. ^^;

비주얼 스튜디오 - 단위 테스트 선택 시 MSTestv2 외의 xUnit, NUnit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726

MSTestv2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어셈블리 수준의 문맥 제공
; https://www.sysnet.pe.kr/2/0/12728

xUnit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 수준의 문맥 제공 - Fixture
; https://www.sysnet.pe.kr/2/0/12729

C# 단위 테스트 - MSTestv2/NUnit의 Assert.Inconclusive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727

Visual Studio 2017부터 단위 테스트에 DataRow 특성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2749

MSTest - 단위 테스트에 static/instance 유형의 private 멤버 접근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55




참고로, 단위 테스트 메서드를 비동기로 하려는 경우 단순히 async로만 지정하면 안 됩니다.

[TestMethod()]
public async void GetTestWithMock()
{
    // ...[생략]...
}

저렇게 하면 단위 테스트의 Run/Debug 시에 아예 해당 메서드가 실행조차 안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async Task"로 해줘야 합니다. ^^

[TestMethod()]
public async Task GetTestWithMock()
{
    // ...[생략]...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02-16 09시44분
WebApplicationFactory In ASP.NET Core: Practical Tips For C# Developers
; https://dev.to/devleader/webapplicationfactory-in-aspnet-core-practical-tips-for-c-developers-2mo

Supercharge your testing experience with MSTest.Analyzers
; https://devblogs.microsoft.com/dotnet/supercharge-your-testing-experience-with-ms-test-analyzers/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81정성태10/21/201420609디버깅 기술: 64. new/delete의 짝이 맞는 경우에도 메모리 누수가 발생한다면?
1780정성태10/15/201424257오류 유형: 249. The application-specific permission settings do not grant Local Activation permission for the COM Server application with CLSID
1779정성태10/15/201419773오류 유형: 248. Active Directory에서 OU가 지워지지 않는 경우
1778정성태10/10/201418240오류 유형: 247. The Netlogon service could not create server share C:\Windows\SYSVOL\sysvol\[도메인명]\SCRIPTS.
1777정성태10/10/201421344오류 유형: 246. The processing of Group Policy failed. Windows attempted to read the file \\[도메인]\sysvol\[도메인]\Policies\{...GUID...}\gpt.ini
1776정성태10/10/201418353오류 유형: 245. 이벤트 로그 - Name resolution for the name _ldap._tcp.dc._msdcs.[도메인명]. timed out after none of the configured DNS servers responded.
1775정성태10/9/201419471오류 유형: 244. Visual Studio 디버깅 (2)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1774정성태10/9/201426662개발 환경 구성: 246. IIS 작업자 프로세스의 20분 자동 재생(Recycle)을 끄는 방법
1773정성태10/8/201429837.NET Framework: 471. 웹 브라우저로 다운로드가 되는 파일을 왜 C# 코드로 하면 안되는 걸까요? [1]
1772정성태10/3/201418620.NET Framework: 470. C# 3.0의 기본 인자(default parameter)가 .NET 1.1/2.0에서도 실행될까? [3]
1771정성태10/2/201428125개발 환경 구성: 245. 실행된 프로세스(EXE)의 명령행 인자를 확인하고 싶다면 - Sysmon [4]
1770정성태10/2/201421720개발 환경 구성: 244. 매크로 정의를 이용해 파일 하나로 C++과 C#에서 공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69정성태10/1/201424144개발 환경 구성: 243. Scala 개발 환경 구성(JVM, 닷넷) [1]
1768정성태10/1/201419561개발 환경 구성: 242. 배치 파일에서 Thread.Sleep 효과를 주는 방법 [5]
1767정성태10/1/201424697VS.NET IDE: 94. Visual Studio 2012/2013에서의 매크로 구현 - Visual Commander [2]
1766정성태10/1/201422530개발 환경 구성: 241. 책 "프로그래밍 클로저: Lisp"을 읽고 나서. [1]
1765정성태9/30/201426075.NET Framework: 469. Unity3d에서 transform을 변수에 할당해 사용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1764정성태9/30/201422316오류 유형: 243. 파일 삭제가 안 되는 경우 - The action can't be comleted because the file is open in System
1763정성태9/30/201423884.NET Framework: 468. PDB 파일을 연동해 소스 코드 라인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62정성태9/30/201424578.NET Framework: 467. 닷넷에서 EIP/RIP 레지스터 값을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61정성태9/29/201421652.NET Framework: 466. 윈도우 운영체제의 보안 그룹 이름 및 설명 문자열을 바꾸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60정성태9/28/201419915.NET Framework: 465. ICorProfilerInfo::GetILToNativeMapping 메서드가 0x80131358을 반환하는 경우
1759정성태9/27/201431037개발 환경 구성: 240.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58정성태9/23/201437920개발 환경 구성: 239. 원격 데스크톱 접속(RDP)을 기존의 콘솔 모드처럼 사용하는 방법 [1]
1757정성태9/23/201418495오류 유형: 242. Lync로 모임 참여 시 소리만 들리지 않는 경우 - 두 번째 이야기
1756정성태9/23/201427486기타: 48. NVidia 제품의 과다한 디스크 사용 [2]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