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Java: 25. IntelliJ +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생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55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IntelliJ +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생성

지난 글에서 Azure 테스트를 위해 급하게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예제 하나를 썼었는데요,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Java SE (Embedded Web Server) 호스팅
; https://www.sysnet.pe.kr/2/0/12686

이제 시간도 남고 하니, 차근히 Spring Framework을 생성해 봤습니다. 생각보다 그리 복잡하지 않은데요, ^^ 우선 IntelliJ에서 "File" / "New" / "Project..."로 뜨는 대화창에서 "Maven"을 선택, Next 버튼 누르고 아래와 같은 간단한 입력값만으로,

Name: spring-sample-01
Location: d:\intellij\spring-sample01

프로젝트를 생성했습니다. 이후 프로젝트 창에서 "spring-sample-01" 노드를 우클릭, "Add Framework Support..." 메뉴를 통해 "Spring" / "Spring MVC" 항목을 체크해 Spring Framework을 추가했습니다. 그럼 약간의 다운로드 과정을 거친 후, 아래와 같이 (spring 관련 모듈을 담은) "lib" 디렉터리가 생성됩니다.

├───.idea
│   ├───artifacts
│   ├───azure
│   └───libraries
├───lib
├───src
│   ├───main
│   │   ├───java
│   │   └───resources
│   └───test
│       └───java
└───web
    └───WEB-INF

그다음, "F5" 실행을 하기 위해 IDE 우측 상단의 "Add Configuration..."을 이용, "Tomcat Server" / "Local" 항목을 추가해 뜨는 창에서,

spring_basic_run_1.png

"Warning: No artifacts marked for deployment" 경고를 없애기 위해 우측의 "Fix" 버튼을 눌러 "[proj_name]:war exploded" 항목의 "Application context"를 "/"로 변경했습니다.

spring_basic_run_2.png

이제 그냥 실행하면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오류가 출력되면서 Tomcat 실행까지 진행하지 않습니다.

Connected to server
...[생략]...
... Artifact spring-sample-01:war exploded: Artifact is being deployed, please wait...
... WARNING [RMI TCP Connection(3)-127.0.0.1] org.apache.tomcat.util.descriptor.web.WebXml.setVersion Unknown version string [4.0]. Default version will be used.
... SEVERE [RMI TCP Connection(3)-127.0.0.1]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startInternal One or more listeners failed to start. Full details will be found in the appropriate container log file
... SEVERE [RMI TCP Connection(3)-127.0.0.1]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startInternal Context [] startup failed due to previous errors
... Artifact spring-sample-01:war exploded: Error during artifact deployment. See server log for details.
...[생략]...

저도 잘은 모르겠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File" / "Project Structure..." 메뉴를 선택, 뜨는 창에서 아래와 같이 "spring-sample-01"에 있는 항목을 우클릭해,

spring_basic_run_3.png

"Put into Output Root" 메뉴를 선택해 주면 좌측의 "WEB-INF" 하위에 "lib" 디렉터리가 생기며 그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바뀝니다. 이렇게 한 후에야,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Tomcat 호스팅이 됩니다.

(정말이지... 여러모로 장벽이 높은 Spring Framework이군요. ^^;)

참고로, 위와 같이 Spring Framework을 구축하면 lib 디렉터리에 포함된 것이라 이후 유지/보수가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lib 디렉터리를 삭제하고 pom.xml에 다시 의존성을 기록한다고 하는데요,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IntelliJ + Maven)
; https://jeeneee.dev/spring/spring-project-intellij/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심지어 이전 디렉터리 관례가 있으니 그렇게 또 바꿔서 구성하기까지 합니다.

[IntelliJ] 스프링 프로젝트 구성 설정
; https://whitepaek.tistory.com/56

닷넷 환경의 편리함에 익숙한 저로서는 이런 동작 방식의 군더더기들이 잘 이해가 안 되는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99정성태5/16/201721136.NET Framework: 657. CultureInfo.GetCultures가 반환하는 값
11198정성태5/10/201722666.NET Framework: 656. Windows Forms의 오류(Exception) 처리 방법에 대한 차이점 설명
11197정성태5/8/201719517개발 환경 구성: 315. VHD 파일의 최소 크기파일 다운로드1
11196정성태5/4/201720706오류 유형: 384. Msvm_ImageManagementService WMI 객체를 사용할 때 오류 상황 정리 [1]
11195정성태5/3/201721022.NET Framework: 655. .NET Framework 4.7 릴리스
11194정성태5/3/201723261오류 유형: 383. net use 명령어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시 "System error 67 has occurred." 오류 발생
11193정성태5/3/201721549Windows: 141. 설치된 Windows로부터 설치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
11192정성태5/2/201722082Windows: 140. unattended.xml/autounattend.xml 파일을 마련하는 방법
11191정성태5/2/201722814Windows: 139. Dell Venue 8 Pro 태블릿에 USB를 이용한 윈도우 운영체제 설치 방법
11190정성태5/2/201728147Windows: 138. Windows 운영체제의 ISO 설치 파일에 미리 Device driver를 준비하는 방법
11189정성태5/2/201720182Windows: 137. Windows 7 USB/DVD DOWNLOAD TOOL로 98%에서 실패하는 경우
11188정성태4/27/201722675VC++: 118. Win32 HANDLE 자료형의 이모저모 [1]
11187정성태4/26/201723216개발 환경 구성: 314. C# - PowerPoint 확장 Add-in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86정성태4/24/201721008VS.NET IDE: 117.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매크로를 추가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85정성태4/22/201718944VS.NET IDE: 116.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메뉴 추가하는 방법 (2) - 동적 메뉴 구성파일 다운로드1
11184정성태4/21/201720496VS.NET IDE: 115.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메뉴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83정성태4/19/201719306.NET Framework: 654. UWP 앱에서 FolderPicker 사용 시 유의 사항파일 다운로드1
11182정성태4/19/201723368개발 환경 구성: 313. Nuget Facebook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ASP.NET 웹 폼과 로그인 연동하는 방법
11181정성태4/18/201720301개발 환경 구성: 312. Azure Web Role의 AppPool 실행 권한을 Local System으로 바꾸는 방법
11180정성태4/16/201723350Java: 18. Java의 Memory Mapped File 자원 반환이 안 되는 문제
11179정성태4/13/201716495기타: 64. SVG Converter 스토어 앱 개인정보 보호 정책 안내
11178정성태4/10/201718606개발 환경 구성: 311. COM+ 관리자의 DCOM 구성에 나오는 기준
11177정성태4/7/201719139.NET Framework: 653. C# 7 새로운 문법(1) - 더욱 편리해진 Out 변수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176정성태4/5/201716109VC++: 117. Visual Studio - ATL COM 개체를 단위 테스트 하는 방법
11175정성태4/5/201725859.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174정성태4/3/201719363VC++: 116.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 Failed to set up the execution context to run the test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