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Java: 25. IntelliJ +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생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6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IntelliJ +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생성

지난 글에서 Azure 테스트를 위해 급하게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예제 하나를 썼었는데요,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Java SE (Embedded Web Server) 호스팅
; https://www.sysnet.pe.kr/2/0/12686

이제 시간도 남고 하니, 차근히 Spring Framework을 생성해 봤습니다. 생각보다 그리 복잡하지 않은데요, ^^ 우선 IntelliJ에서 "File" / "New" / "Project..."로 뜨는 대화창에서 "Maven"을 선택, Next 버튼 누르고 아래와 같은 간단한 입력값만으로,

Name: spring-sample-01
Location: d:\intellij\spring-sample01

프로젝트를 생성했습니다. 이후 프로젝트 창에서 "spring-sample-01" 노드를 우클릭, "Add Framework Support..." 메뉴를 통해 "Spring" / "Spring MVC" 항목을 체크해 Spring Framework을 추가했습니다. 그럼 약간의 다운로드 과정을 거친 후, 아래와 같이 (spring 관련 모듈을 담은) "lib" 디렉터리가 생성됩니다.

├───.idea
│   ├───artifacts
│   ├───azure
│   └───libraries
├───lib
├───src
│   ├───main
│   │   ├───java
│   │   └───resources
│   └───test
│       └───java
└───web
    └───WEB-INF

그다음, "F5" 실행을 하기 위해 IDE 우측 상단의 "Add Configuration..."을 이용, "Tomcat Server" / "Local" 항목을 추가해 뜨는 창에서,

spring_basic_run_1.png

"Warning: No artifacts marked for deployment" 경고를 없애기 위해 우측의 "Fix" 버튼을 눌러 "[proj_name]:war exploded" 항목의 "Application context"를 "/"로 변경했습니다.

spring_basic_run_2.png

이제 그냥 실행하면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오류가 출력되면서 Tomcat 실행까지 진행하지 않습니다.

Connected to server
...[생략]...
... Artifact spring-sample-01:war exploded: Artifact is being deployed, please wait...
... WARNING [RMI TCP Connection(3)-127.0.0.1] org.apache.tomcat.util.descriptor.web.WebXml.setVersion Unknown version string [4.0]. Default version will be used.
... SEVERE [RMI TCP Connection(3)-127.0.0.1]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startInternal One or more listeners failed to start. Full details will be found in the appropriate container log file
... SEVERE [RMI TCP Connection(3)-127.0.0.1]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startInternal Context [] startup failed due to previous errors
... Artifact spring-sample-01:war exploded: Error during artifact deployment. See server log for details.
...[생략]...

저도 잘은 모르겠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File" / "Project Structure..." 메뉴를 선택, 뜨는 창에서 아래와 같이 "spring-sample-01"에 있는 항목을 우클릭해,

spring_basic_run_3.png

"Put into Output Root" 메뉴를 선택해 주면 좌측의 "WEB-INF" 하위에 "lib" 디렉터리가 생기며 그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바뀝니다. 이렇게 한 후에야,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Tomcat 호스팅이 됩니다.

(정말이지... 여러모로 장벽이 높은 Spring Framework이군요. ^^;)

참고로, 위와 같이 Spring Framework을 구축하면 lib 디렉터리에 포함된 것이라 이후 유지/보수가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lib 디렉터리를 삭제하고 pom.xml에 다시 의존성을 기록한다고 하는데요,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IntelliJ + Maven)
; https://jeeneee.dev/spring/spring-project-intellij/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심지어 이전 디렉터리 관례가 있으니 그렇게 또 바꿔서 구성하기까지 합니다.

[IntelliJ] 스프링 프로젝트 구성 설정
; https://whitepaek.tistory.com/56

닷넷 환경의 편리함에 익숙한 저로서는 이런 동작 방식의 군더더기들이 잘 이해가 안 되는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84정성태1/11/201622920개발 환경 구성: 280. 닷넷에서 SAP Adaptive Server Enterprise 데이터베이스 사용파일 다운로드1
10882정성태1/6/201623626Windows: 113. 윈도우의 2179, 26143, 47001 TCP 포트 사용 [1]
10881정성태1/3/201624357오류 유형: 316. 윈도우 10 - 바탕/돋음 체가 사라져 한글이 깨지는 현상 [2]
10880정성태12/16/201522906오류 유형: 315.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정보
10879정성태12/16/201524515오류 유형: 314. Error : DEP0700 : Registration of the app failed. error 0x80070005
10878정성태12/9/201527857디버깅 기술: 75. UWP(유니버설 윈도우 플랫폼) 앱에서 global::System.Diagnostics.Debugger.Break 예외 발생 시 대응 방법
10877정성태12/9/201531910VC++: 93. std::thread 사용 시 R6010 오류 [2]
10876정성태11/26/201527776.NET Framework: 541. SignedXml을 이용한 ds:Signature만드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0875정성태11/26/201533086개발 환경 구성: 279. signtool.exe의 다중 서명 기능 [2]
10874정성태11/26/201528687개발 환경 구성: 278. 인증서와 인증서를 이용한 코드 사인의 해시 구분
10873정성태11/25/201526914.NET Framework: 540. C# - 부동 소수 계산 왜 이렇게 나오죠? (2) [3]파일 다운로드1
10872정성태11/24/201535510.NET Framework: 539. C# - 부동 소수 계산 왜 이렇게 나오죠? (1) [1]
10871정성태11/23/201529364오류 유형: 313.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10870정성태11/23/201530896오류 유형: 312. 윈도우 10 TH2 (버전 1511) 업데이트가 안되는 경우 [1]
10869정성태11/23/201527331오류 유형: 311. certutil 실행 오류 - 0x80070057 [1]
10868정성태11/20/201526290제니퍼 .NET: 25.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5) - RestSharp 라이브러리의 CPU High 현상파일 다운로드1
10867정성태10/18/201530033.NET Framework: 538. Thread.Abort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현상
10866정성태10/14/201524506.NET Framework: 537. C# - Reflection의 박싱 없이 값 형식을 다루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865정성태10/13/201525249.NET Framework: 536. Thread.Abort의 스레드 종료 지연파일 다운로드1
10864정성태10/12/201523135.NET Framework: 535. aspnet.config 파일의 설정을 읽는 방법
10863정성태10/9/201528587.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10862정성태10/9/201526710오류 유형: 310. 비주얼 스튜디오 - Unspecified error (Exception from HRESULT: 0x80004005 (E_FAIL))
10861정성태10/9/201531411기타: 54.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2)
10860정성태10/5/201529605개발 환경 구성: 277. IIS AppPool의 시작/중단에 대한 이벤트 로그 확인 방법
10859정성태10/5/201529184.NET Framework: 533. C#에서 string 형식이 primitive일까요? [6]
10858정성태10/2/201525735VS.NET IDE: 105.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