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Java: 28. IntelliJ - Unable to open debugger port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95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IntelliJ - Unable to open debugger port 오류

IntelliJ로 디버깅을 시작했더니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군요,

intellij_dbg_port_1.png

Error running 'Tomcat 8.5.66':
Unable to open debugger port (127.0.0.1:1031): java.net.BindException "Address already in use: NET_Bind"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알아보면,

C:\temp> netstat -ano | findstr 1031
  TCP    210.91.106.116:1031    157.240.215.9:443      ESTABLISHED     11968

pid == 11964인 프로세스인데, 아쉽게도 Microsoft Edge였습니다. 어떤 탭에서 사용하는지 보려고 Shift + ESC로 확인했으나 "Utility: Network Service"라고 나오고, whois로 추적해 보면 157.240.215.0/24 대역이 모두 Facebook의 소유로 나옵니다. 아마도 페이스북 연결 중인 탭이 사용하는 것 같은데요. 어쩌면 그 탭을 닫으면 되겠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IntelliJ IDE에서 디버깅 포트를 변경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Unable to open debugger port in IntelliJ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2792833/unable-to-open-debugger-port-in-intellij/39348224

따라서, "Run/Debug Configuration" 창에서 다음과 같이 디버그 포트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intellij_dbg_port_2.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81정성태12/3/202218732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13180정성태12/2/202221176.NET Framework: 2074. C# - 스택 메모리에 대한 여유 공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9정성태12/2/202218647Windows: 216. Windows 11 - 22H2 업데이트 이후 Terminal 대신 cmd 창이 뜨는 경우
13178정성태12/1/202219487Windows: 215. Win32 API 금지된 함수 - IsBadXxxPtr 유의 함수들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파일 다운로드1
13177정성태11/30/202220071오류 유형: 829. uwsgi 설치 시 fatal error: Python.h: No such file or directory
13176정성태11/29/202215390오류 유형: 828. gunicorn -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flask'
13175정성태11/29/202221297오류 유형: 827. Python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html5lib' from 'pip._vendor'
13174정성태11/28/202217691.NET Framework: 2073. C# - VMMap처럼 스택 메모리의 reserve/guard/commit 상태 출력파일 다운로드1
13173정성태11/27/202218132.NET Framework: 2072.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스레드 스택 크기 변경
13172정성태11/25/202220042.NET Framework: 2071. 닷넷에서 ESP/RSP 레지스터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1정성태11/25/202217854Windows: 214. 윈도우 - 스레드 스택의 "red zone"
13170정성태11/24/202221143Windows: 213. 윈도우 - 싱글 스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이 없을까요?
13169정성태11/23/202222157Windows: 212. 윈도우의 Protected Process (Light) 보안 [1]파일 다운로드2
13168정성태11/22/202217072제니퍼 .NET: 31.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9) - DB 서비스에 부하가 걸렸다?!
13167정성태11/21/202219473.NET Framework: 2070. .NET 7 - Console.ReadKey와 리눅스의 터미널 타입
13166정성태11/20/202220080개발 환경 구성: 651. Windows 사용자 경험으로 WSL 환경에 dotnet 런타임/SDK 설치 방법
13165정성태11/18/202216425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
13164정성태11/18/202220000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13163정성태11/17/202219782개발 환경 구성: 648.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안드로이드 기기 인식하는 방법
13162정성태11/15/202222376.NET Framework: 2069. .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1]
13161정성태11/14/202220562.NET Framework: 2068. C# - PublishSingleFile로 배포한 이미지의 역어셈블 가능 여부 (난독화 필요성) [4]
13160정성태11/11/202221494.NET Framework: 2067. C# - PublishSingleFile 적용 시 native/managed 모듈 통합 옵션
13159정성태11/10/202222548.NET Framework: 2066. C# - PublishSingleFile과 관련된 옵션 [3]
13158정성태11/9/202218532오류 유형: 826. Workload definition 'wasm-tools' in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 conflicts with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
13157정성태11/8/202219345.NET Framework: 2065. C# - Mutex의 비동기 버전파일 다운로드1
13156정성태11/7/202222637.NET Framework: 2064. C# - Mutex와 Semaphore/SemaphoreSlim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