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Python - ImportError: No module named pip._internal.cli.main 두 번째 이야기

전에 써 둔 것과는 달리,

Python - ImportError: No module named pip._internal.cli.main
; https://www.sysnet.pe.kr/2/0/12767

이번에는 virtualenv에서 발생한 것인데,

(myapp) testusr@TESTPC:~/pyenv$ pip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home/testusr/pyenv/myapp/bin/pip", line 5, in <module>
    from pip._internal.cli.main import main
ImportError: No module named pip._internal.cli.main

다음과 같이 python3 버전으로 잘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myapp) testusr@TESTPC:~/pyenv$ which pip
/home/testusr/pyenv/myapp/bin/pip

(myapp) testusr@TESTPC:~/pyenv$ cat /home/testusr/pyenv/myapp/bin/pip
#!/home/testusr/pyenv/myapp/bin/python3
# -*- coding: utf-8 -*-
import re
import sys
from pip._internal.cli.main import main
if __name__ == '__main__':
    sys.argv[0] = re.sub(r'(-script\.pyw|\.exe)?$', '', sys.argv[0])
    sys.exit(main())

아... 진짜 리눅스 환경은 왜 이렇게 친해질 수가 없는지... ^^;;;

암튼, 찾다 보니 python3의 출력이 좀 이상합니다.

(myapp) testusr@TESTPC:~/pyenv$ python3 -V
Python 2.7.18

왜 python3라는 이름을 갖고 있으면서 2.7.x 출력을 하게 되었는지... ^^; (그래요, 제가 뭔가 잘못한 것이 있을 것입니다.)

일단, vitualenv를 삭제하고 다시 설치 후,

$ pip uninstall virtualenv
$ pip install virtualenv

새롭게 가상 환경을 만들었더니,

~$ mkdir pyenv
~$ cd pyenv
~/pyenv$ virtualenv myapp
created virtual environment CPython3.8.10.final.0-64 in 346ms
  creator CPython3Posix(dest=/home/testusr/pyenv/myapp, clear=False, no_vcs_ignore=False, global=False)
  seeder FromAppData(download=False, pip=bundle, setuptools=bundle, wheel=bundle, via=copy, app_data_dir=/home/testusr/.local/share/virtualenv)
    added seed packages: pip==21.2.3, setuptools==57.4.0, wheel==0.37.0
  activators BashActivator,CShellActivator,FishActivator,PowerShellActivator,PythonActivator

출력에 CPython3.8.10.x으로 나온 것을 보아 뭔가 느낌이 좋습니다. ^^ 실제로 문제도 해결되었고.

~/pyenv$ source ./myapp/bin/activate
(myapp) testusr@TESTPC:~/pyenv$ python3 -V
Python 3.8.10
(myapp) testusr@TESTPC:~/pyenv$ python -V
Python 3.8.10

(myapp) testusr@TESTPC:~/pyenv$ pip install Django
Collecting Django
  Using cached Django-3.2.6-py3-none-any.whl (7.9 MB)
Collecting sqlparse>=0.2.2
  Using cached sqlparse-0.4.1-py3-none-any.whl (42 kB)
Collecting pytz
  Using cached pytz-2021.1-py2.py3-none-any.whl (510 kB)
Collecting asgiref<4,>=3.3.2
  Using cached asgiref-3.4.1-py3-none-any.whl (25 kB)
Installing collected packages: sqlparse, pytz, asgiref, Django
Successfully installed Django-3.2.6 asgiref-3.4.1 pytz-2021.1 sqlparse-0.4.1

(myapp) testusr@TESTPC:~/pyenv$ pip install uwsgi
Collecting uwsgi
  Using cached uWSGI-2.0.19.1-cp38-cp38-linux_x86_64.whl
Installing collected packages: uwsgi
Successfully installed uwsgi-2.0.19.1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96]  197  198  199  200  201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정성태3/26/200520075.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21339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20434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20558.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20388.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21891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21561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20274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23595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20006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9955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9105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21552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7811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8700.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21284.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21826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21039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113정성태3/13/200521963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
110정성태11/14/200520740.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
111정성태3/7/200519303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20653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8607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22792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21993.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22155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 [196]  197  198  199  200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