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icrosoft Windows Subsystem for Linux Background Host" / "Vmmem"을 종료하는 방법

특정 포트를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찾는데,

C:\temp> netstat -ano | findstr 8000
  TCP    127.0.0.1:8000         0.0.0.0:0              LISTENING       17396

pid == 17396이라고 나옵니다. 작업 관리자에서 확인해 봤더니 바로 그 프로세스가 "Microsoft Windows Subsystem for Linux Background Host"였습니다. 이걸 종료하고 싶다면, 현재 해당 프로세스에 연결된 WSL 인스턴스를 종료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사실 현재 띄워놓은 WSL 인스턴스가 없는데도 저게 실행 중이라는 것이 문제인데요, 이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wsl.exe 명령어를 활용해야 합니다.

C:\Windows\System32> wsl -l -v
  NAME                   STATE           VERSION
* Ubuntu20.04            Running         2
  docker-desktop-data    Stopped         2
  docker-desktop         Stopped         2

분명히 "Running" 중이군요. ^^ 따라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해당 인스턴스를 종료해 주면 됩니다.

/*
    --shutdown
        Immediately terminates all running distributions and the WSL 2 lightweight utility virtual machine.

    --terminate, -t <Distro>
        Terminates the specified distribution.
*/

c:\temp> wsl -t Ubuntu20.04

실행 후 곧바로 종료하지는 않으므로 약간의 시간 동안 기다려야 합니다. 아마도 wsl 인스턴스의 재실행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대기 시간을 두는 듯합니다.

참고로, (hyper-v vm을 띄우지 않은 경우) 위와 같이 하면 WSL 인스턴스가 사용하던 Vmmem 프로세스도 함께 종료됩니다. 만약 그래도 살아 있다면 WSL 2와 통합시킨 docker desktop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따라서 docker desktop을 종료시키면 "docker-desktop", "docker-desktop-data"도 함께 종료되면서 Vmmem 프로세스도 내려갑니다.

그나저나, Vmmem 프로세스의 CPU 활동량이 많을 수 있는데요, 만약 docker가 필요하지 않다면 docker-desktop 서비스를 종료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WSL 인스턴스 자체로는 보통 CPU 활동량이 많지 않습니다.) 또한 Vmmem 프로세스의 메모리는 윈도우 측의 %USERPROFILE%\.wslconfig 파일을 만들어 다음의 내용을 포함시키면 제한할 수 있습니다.

# WSL commands and launch configurat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sl/wsl-config#configure-global-options-with-wslconfig

# Taking Back Memory From Vmmem/WSL
# https://blog.simonpeterdebbarma.com/2020-04-memory-and-wsl/

[wsl2]
memory=4GB

# kernel=<path>              # An absolute Windows path to a custom Linux kernel.
# memory=<size>              # How much memory to assign to the WSL2 VM.
# processors=<number>        # How many processors to assign to the WSL2 VM.
# swap=<size>                # How much swap space to add to the WSL2 VM. 0 for no swap file.
# swapFile=<path>            # An absolute Windows path to the swap vhd.
# localhostForwarding=<bool> # Boolean specifying if ports bound to wildcard or localhost in the WSL2 VM should be connectable from the host via localhost:port (default true).

# <path> entries must be absolute Windows paths with escaped backslashes, for example C:\\Users\\Ben\\kernel
# <size> entries must be size followed by unit, for example 8GB or 512MB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8정성태8/20/201233289개발 환경 구성: 163. IIS 7 - "MIME Types" 설정 아이콘이 없는 경우
1327정성태8/19/201238026Windows: 58. Windows 8 정식 버전을 설치해 보고... [14]
1326정성태8/19/201224337오류 유형: 160. Visual Studio 2010 Team Explorer 설치 오류
1325정성태8/15/201224354개발 환경 구성: 162. 닷넷 개발자가 컴파일해 본 리눅스
1324정성태8/15/201226383.NET Framework: 332. 함수형 언어의 코드가 그렇게 빠를까? [4]파일 다운로드1
1323정성태8/4/201228160.NET Framework: 331. C# - 클래스 안에 구조체를 포함하는 경우 발생하는 dynamic 키워드의 부작용 [2]
1322정성태8/3/201227802개발 환경 구성: 161. Ubuntu 리눅스의 Hyper-V 지원 (마우스, 네트워크)
1321정성태7/31/201227075개발 환경 구성: 160. Azure - Virtual Machine의 VHD 파일 다운로드 [2]
1320정성태7/30/201229075Math: 10. C# - (타)원 영역의 마우스 클릭 판단파일 다운로드1
1319정성태7/26/201227599개발 환경 구성: 159. Azure - 네트워크 포트 여는 방법 [1]
1317정성태7/24/201226462오류 유형: 159. SpeechRecognitionEngine.SetInputToDefaultAudioDevice 호출 시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316정성태7/18/201284574개발 환경 구성: 158.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Oracle XE 11g 사용
1315정성태7/17/201229374개발 환경 구성: 157. Azure - Virtual Machine 구성 [2]
1314정성태7/16/201224406개발 환경 구성: 156. Azure - 2개 이상의 서비스 계정을 가지고 있을 때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방법
1313정성태7/16/201236562오류 유형: 158. Hyper-V 설치 후 VM 시작이 안되는 경우
1312정성태7/15/201236440Math: 9. 황금비율 증명
1311정성태7/15/201229140Math: 8. C# - 피보나치 수열의 사각형과 황금 나선(Golden spiral) 그리기파일 다운로드1
1310정성태7/13/201232576Math: 7. C# - 펜타그램(Pentagram) 그리기파일 다운로드1
1309정성태7/13/201230660개발 환경 구성: 155.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압축 해제 방법
1308정성태7/3/201226040.NET Framework: 330. IEnumerator는 언제나 읽기 전용일까?파일 다운로드1
1307정성태6/30/201228290개발 환경 구성: 154. Sysnet, Azure를 만나다. [5]
1306정성태6/29/201228874제니퍼 .NET: 22. 눈으로 확인하는 connectionManagement의 maxconnection 설정값 [4]
1305정성태6/28/201227054오류 유형: 157. IIS 6 - WCF svc 호출 시 404 Not Found 발생
1304정성태6/27/201227816개발 환경 구성: 153. sysnet 첨부 파일을 Azure Storage에 마이그레이션 [3]파일 다운로드1
1303정성태6/26/201227321개발 환경 구성: 152. sysnet DB를 SQL Azure 데이터베이스로 마이그레이션
1302정성태6/25/201229319개발 환경 구성: 151. Azure 웹 사이트에 사용자 도메인 네임 연결하는 방법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