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icrosoft Windows Subsystem for Linux Background Host" / "Vmmem"을 종료하는 방법

특정 포트를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찾는데,

C:\temp> netstat -ano | findstr 8000
  TCP    127.0.0.1:8000         0.0.0.0:0              LISTENING       17396

pid == 17396이라고 나옵니다. 작업 관리자에서 확인해 봤더니 바로 그 프로세스가 "Microsoft Windows Subsystem for Linux Background Host"였습니다. 이걸 종료하고 싶다면, 현재 해당 프로세스에 연결된 WSL 인스턴스를 종료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사실 현재 띄워놓은 WSL 인스턴스가 없는데도 저게 실행 중이라는 것이 문제인데요, 이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wsl.exe 명령어를 활용해야 합니다.

C:\Windows\System32> wsl -l -v
  NAME                   STATE           VERSION
* Ubuntu20.04            Running         2
  docker-desktop-data    Stopped         2
  docker-desktop         Stopped         2

분명히 "Running" 중이군요. ^^ 따라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해당 인스턴스를 종료해 주면 됩니다.

/*
    --shutdown
        Immediately terminates all running distributions and the WSL 2 lightweight utility virtual machine.

    --terminate, -t <Distro>
        Terminates the specified distribution.
*/

c:\temp> wsl -t Ubuntu20.04

실행 후 곧바로 종료하지는 않으므로 약간의 시간 동안 기다려야 합니다. 아마도 wsl 인스턴스의 재실행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대기 시간을 두는 듯합니다.

참고로, (hyper-v vm을 띄우지 않은 경우) 위와 같이 하면 WSL 인스턴스가 사용하던 Vmmem 프로세스도 함께 종료됩니다. 만약 그래도 살아 있다면 WSL 2와 통합시킨 docker desktop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따라서 docker desktop을 종료시키면 "docker-desktop", "docker-desktop-data"도 함께 종료되면서 Vmmem 프로세스도 내려갑니다.

그나저나, Vmmem 프로세스의 CPU 활동량이 많을 수 있는데요, 만약 docker가 필요하지 않다면 docker-desktop 서비스를 종료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WSL 인스턴스 자체로는 보통 CPU 활동량이 많지 않습니다.) 또한 Vmmem 프로세스의 메모리는 윈도우 측의 %USERPROFILE%\.wslconfig 파일을 만들어 다음의 내용을 포함시키면 제한할 수 있습니다.

# WSL commands and launch configurat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sl/wsl-config#configure-global-options-with-wslconfig

# Taking Back Memory From Vmmem/WSL
# https://blog.simonpeterdebbarma.com/2020-04-memory-and-wsl/

[wsl2]
memory=4GB

# kernel=<path>              # An absolute Windows path to a custom Linux kernel.
# memory=<size>              # How much memory to assign to the WSL2 VM.
# processors=<number>        # How many processors to assign to the WSL2 VM.
# swap=<size>                # How much swap space to add to the WSL2 VM. 0 for no swap file.
# swapFile=<path>            # An absolute Windows path to the swap vhd.
# localhostForwarding=<bool> # Boolean specifying if ports bound to wildcard or localhost in the WSL2 VM should be connectable from the host via localhost:port (default true).

# <path> entries must be absolute Windows paths with escaped backslashes, for example C:\\Users\\Ben\\kernel
# <size> entries must be size followed by unit, for example 8GB or 512MB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2정성태4/14/200517892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2224.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0962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18174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16555.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18688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5949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16506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16324.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17458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16400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16946.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16504.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17854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17887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16610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19495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16313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5854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5161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17621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3468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4556.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17048.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17636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16868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