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공공 데이터 포털에서 버스 노선 및 위치 정보 조회 API 사용법

이를 위해서는 우선 다음의 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해야 합니다.

공공데이터 포털
; https://www.data.go.kr

그런 다음 OpenAPI에 대한 사용 신청을 해야 하는데, 약간의 선행 지식이 필요합니다.

대개의 경우, 버스라는 것은 "번호"를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3번 버스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런데 103번 버스라는 것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103번 버스는 사실 "버스 번호"가 아니라 "노선 이름"입니다.

그런데, 공공데이터 Open API 내부에서는 이 "노선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노선마다 코드화시킨 "ROUTE ID"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우선 여러분들이 해야 할 것은, 사용자에게 친숙한 버스 번호(노선 이름)에 해당하는 "ROUTE ID"를 구해야 합니다.

이 정보는 2가지 방식으로 구할 수 있는데요,


어느 걸 써도 무방합니다. 단지, CSV 파일인 경우 해당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항상 신경 써야 하므로 그냥 Open API를 신청해서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따라서, "서울특별시_노선정보조회 서비스"를 "활용 신청"을 해 두고, 이후 얻게 되는 인증키를 이용해 (약 1시간 정도 기다린 후) API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공되는 인증키가 2가지로 나오는데요,

일반 인증키(Encoding): PM5Q7Gf1M...[생략]...FGH5budmvWZZe1WAA%2FQ%3D%3D
일반 인증키(Decoding): PM5Q7Gf1M...[생략]...vWZZe1WAA/Q==

"Decoding" 값이 원본이고, "Encoding" 값은 원본 "Decoding" 값을 URLEncode 시킨 것에 불과합니다.

만약, 키 정보를 POST 데이터에 싣는다면 Decoding 값을 사용해야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GET 요청의 QueryString 문자열로 전달하기 때문에 Encoding 값을 쓰는 것이 맞습니다.




키까지 준비가 되었으면 본격적으로 "버스 번호"에 해당하는 "ROUTE ID"를 구해야겠지요. ^^ 이것은 "서울특별시_노선정보조회 서비스"가 제공하는 4가지 API 중에,

  1. getRouteInfoItem: 노선 기본 정보 조회
  2. getRoutePathList: 노선의 지도상 경로를 리턴한다.
  3. getBusRouteList: 노선번호에 해당하는 노선 목록 조회
  4. getStaionsByRouteList: 노선별 경유 정류소 조회 서비스

getBusRouteList를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가령, 서울 103번 버스의 ROUTE ID를 알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호출할 수 있습니다.

형식) http://ws.bus.go.kr/api/rest/busRouteInfo/getBusRouteList?ServiceKey={인증키(Encoding)}&strSrch={버스번호}

예)
http://ws.bus.go.kr/api/rest/busRouteInfo/getBusRouteList?serviceKey=PM5Q7Gf1M...[생략]...FGH5budmvWZZe1WAA%2FQ%3D%3D&strSrch=103

getBusRouteList API의 호출 결과는 strSrch에 지정한 문자열을 포함한 모든 버스들을 나열합니다. 따라서 위의 예제는 "103"을 지정했으므로 "103", "103성남"을 모두 포함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erviceResult>
   <comMsgHeader />
   <msgHeader>
      <headerCd>0</headerCd>
      <headerMsg>정상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headerMsg>
      <itemCount>0</itemCount>
   </msgHeader>
   <msgBody>
      <itemList>
         <busRouteId>100100008</busRouteId>
         <busRouteNm>103</busRouteNm>
         <corpNm>삼화상운  02-936-6000</corpNm>
         <edStationNm>서울역</edStationNm>
         <firstBusTm>20210813043000</firstBusTm>
         <firstLowTm />
         <lastBusTm>20210813230000</lastBusTm>
         <lastBusYn />
         <lastLowTm />
         <length>30.42</length>
         <routeType>3</routeType>
         <stStationNm>삼화상운</stStationNm>
         <term>9</term>
      </itemList>
      <itemList>
         <busRouteId>204000060</busRouteId>
         <busRouteNm>103성남</busRouteNm>
         <corpNm>경기</corpNm>
         <edStationNm>사당역</edStationNm>
         <firstBusTm>20210813050000</firstBusTm>
         <firstLowTm />
         <lastBusTm>20210813222000</lastBusTm>
         <lastBusYn />
         <lastLowTm />
         <length>0</length>
         <routeType>8</routeType>
         <stStationNm>도촌동9단지앞</stStationNm>
         <term>40</term>
      </itemList>
   </msgBody>
</ServiceResult>

결국, 결과 목록 중 busRouteNm == 103인 항목의 busRouteId(위의 경우 100100008)가 바로 우리가 원하는 "ROUTE ID"입니다. 자, 그럼 이제 버스가 다니는 정류장 목록을 구할 차례입니다. 이를 위해 제공하는 API가 getStaionsByRouteList이며, 다음과 같이 호출할 수 있고,

http://ws.bus.go.kr/api/rest/busRouteInfo/getStaionByRoute?serviceKey=PM5Q7Gf1M...[생략]...FGH5budmvWZZe1WAA%2FQ%3D%3D&busRouteId=100100008

(그나저나, getStaionsByRouteList의 오탈자가 유독 눈에 띄는군요. ^^;)

아래와 같은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erviceResult>
   <comMsgHeader />
   <msgHeader>
      <headerCd>0</headerCd>
      <headerMsg>정상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headerMsg>
      <itemCount>0</itemCount>
   </msgHeader>
   <msgBody>
      <itemList>
         <arsId>11493</arsId>
         <beginTm>04:30</beginTm>
         <busRouteId>100100008</busRouteId>
         <busRouteNm>103</busRouteNm>
         <direction>서울역</direction>
         <gpsX>127.05038</gpsX>
         <gpsY>37.627217</gpsY>
         <lastTm>23:00</lastTm>
         <posX>204446.7338618399</posX>
         <posY>458629.3414768302</posY>
         <routeType>3</routeType>
         <sectSpd>77</sectSpd>
         <section>110603736</section>
         <seq>1</seq>
         <station>110000391</station>
         <stationNm>삼화상운</stationNm>
         <stationNo>11493</stationNo>
         <transYn>N</transYn>
         <fullSectDist>458</fullSectDist>
         <trnstnid>101000006</trnstnid>
      </itemList>
      ...[생략]...
      <itemList>
         <arsId>11493</arsId>
         <beginTm>06:11</beginTm>
         <busRouteId>100100008</busRouteId>
         <busRouteNm>103</busRouteNm>
         <direction>삼화상운</direction>
         <gpsX>127.05038</gpsX>
         <gpsY>37.627217</gpsY>
         <lastTm>01:04</lastTm>
         <posX>204446.7338618399</posX>
         <posY>458629.3414768302</posY>
         <routeType>3</routeType>
         <sectSpd>77</sectSpd>
         <section>110603736</section>
         <seq>71</seq>
         <station>110000391</station>
         <stationNm>삼화상운</stationNm>
         <stationNo>11493</stationNo>
         <transYn>N</transYn>
         <fullSectDist>685</fullSectDist>
         <trnstnid>101000006</trnstnid>
      </itemList>
   </msgBody>
</ServiceResult>

여기서 station 노드가 바로 정류장에 대한 ID 값을 담고 있는데, 특이하게 마지막에 나오는 정류장의 <station /> 값이 첫 번째 정류장의 값과 같습니다. (이런 건 좀 설명을 API 문서에 포함하고 있어야 하는데... 찾아 볼 수가 없군요. ^^;)




자, 이렇게 해서 103번 버스에 대한 Route ID == 100100008 값과 해당 노선에 대한 정류장 정보를 구했다면 이제 운행 중인 103번 버스들의 "위치 정보"를 구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분리돼 다음의 오픈 API를 신청해야 합니다. (하지만, 키는 동일합니다.)

서울특별시_버스위치정보조회 서비스: https://www.data.go.kr/data/15000332/openapi.do

위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API 중에, getBusPosByRouteSt가 버스들의 위치 정보를 반환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3개의 인자를 더 전달해야 합니다.

busRouteId: 노선 ID
startOrd: 시작 정류소 순번
endOrd: 종료 정류소 순번

형식) http://ws.bus.go.kr/api/rest/buspos/getBusPosByRouteSt?ServiceKey={인증키(Encoding)}&busRouteId={노선ID}&startOrd={시작}&endOrd={끝}

예) http://ws.bus.go.kr/api/rest/buspos/getBusPosByRouteSt?ServiceKey=인증키&busRouteId=100100118&startOrd=1&endOrd=13

일단 busRouteId는 알겠고, startOrd와 endOrd가 좀 모호합니다. 아마도 getStaionByRoute의 결과로 나오는 정류소들 중 시작 정류소를 1로 매겨, (103번의 경우 총 71개의 정류소이므로) 71까지 지정할 수 있는 듯합니다. 따라서, 해당 103번 노선의 전체 구간에서 운행 중인 모든 버스를 나열하고 싶다면 이런 식으로 호출해야 하는 것입니다.

http://ws.bus.go.kr/api/rest/buspos/getBusPosByRouteSt?ServiceKey=인증키&busRouteId=100100118&startOrd=1&endOrd=71

암튼 그렇게 해서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erviceResult>
   <comMsgHeader />
   <msgHeader>
      <headerCd>0</headerCd>
      <headerMsg>정상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headerMsg>
      <itemCount>0</itemCount>
   </msgHeader>
   <msgBody>
      <itemList>
         <busType>1</busType>
         <congetion>0</congetion>
         <dataTm>20210813174120</dataTm>
         <isFullFlag>0</isFullFlag>
         <lastStnId>111000055</lastStnId>
         <plainNo>서울74사7258</plainNo>
         <posX>192074.81815468223</posX>
         <posY>457188.67593660066</posY>
         <routeId>100100118</routeId>
         <sectDist>127</sectDist>
         <sectOrd>1</sectOrd>
         <sectionId>111702375</sectionId>
         <stopFlag>0</stopFlag>
         <tmX>126.910226</tmX>
         <tmY>37.614212</tmY>
         <vehId>111033058</vehId>
      </itemList>
      ...[생략]...
      <itemList>
         <busType>1</busType>
         <congetion>3</congetion>
         <dataTm>20210813174645</dataTm>
         <isFullFlag>0</isFullFlag>
         <lastStnId>119000021</lastStnId>
         <plainNo>서울75사2646</plainNo>
         <posX>193600.89437542975</posX>
         <posY>446520.18564428296</posY>
         <routeId>100100118</routeId>
         <sectDist>1054</sectDist>
         <sectOrd>66</sectOrd>
         <sectionId>119700532</sectionId>
         <stopFlag>0</stopFlag>
         <tmX>126.927606</tmX>
         <tmY>37.518091</tmY>
         <vehId>111033668</vehId>
      </itemList>
   </msgBody>
</ServiceResult>

위의 데이터에서 posX, posY GPS 정보를 읽어오면 현재 버스의 위치를 지도 상에서 대략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버스 앱을 사용해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지도 상의 버스 위치는 사실 관심 사항이 아닙니다. 즉, 현재 버스가 정류장 기준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사용자는 알고 싶은 것입니다. 하지만, 이 값을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명시적인 문서 정보가 없습니다. 공식 문서를 보면,

서울특별시_버스위치정보조회_서비스_활용가이드_20190110.docx
; https://www.data.go.kr/cmm/cmm/fileDownload.do?atchFileId=FILE_000000001498296&fileDetailSn=0

getBusPosByRouteSt API의 결과에 대한 필드 설명을 다음과 같이 하고 있는데,

sectOrd     구간순번              string          구간순번
sectDist    구간옵셋거리(Km)      string          구간옵셋거리(Km)
stopFlag    정류소도착여부        string          정류소도착여부 (0:운행중, 1:도착)
sectionId   구간 ID              string          구간 ID
dataTm      제공시간             string          제공시간
tmX         맵매칭X좌표 (WGS84)  string          맵매칭X좌표 (WGS84)
tmY         맵매칭Y좌표 (WGS84)  string          맵매칭Y좌표 (WGS84)
vehId       버스 ID              string          버스 ID
plainNo     차량번호             string          차량번호
busType     차량유형             string          차량유형 (0:일반버스, 1:저상버스, 2:굴절버스)
lastStnId   최종정류장ID         string          최종정류장ID
posX        맵매칭X좌표 (GRS80)  string          맵매칭X좌표 (GRS80)
posY        맵매칭Y좌표 (GRS80)  string          맵매칭Y좌표 (GRS80)
routeId     노선 ID             string          노선 ID

"구간순번(sectOrd)"이 아마도 현재 운행 중인 구간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최종정류장ID(lastStnId)"는 단어 그대로 보면 마지막 정류장의 Station ID를 의미하는 것 같은데, 실제로 API 결과를 보면 마지막으로 지나온 정류장을 의미하는 듯합니다. (그렇습니다, API를 사용하는 측에서 이게 무슨 값을 의미하는지 알아서 해석해야 합니다. ^^; 혹시, 틀렸다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위의 내용 정도를 이해한다면, 마찬가지로 2개로 나뉜 경기도 버스 정보 API도 쉽게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참고로, 분명히 API 활용 신청을 했고 승인도 났는데 다음의 오류를 보게 된다면?

<?xml version="1.0" encoding="UTF-8"?>
<ServiceResult>
   <comMsgHeader />
   <msgHeader>
      <headerCd>7</headerCd>
      <headerMsg>Key인증실패: SERVICE KEY IS NOT REGISTERED ERROR.[인증모듈 에러코드(30)]</headerMsg>
      <itemCount>0</itemCount>
   </msgHeader>
   <msgBody />
</ServiceResult>

성격이 급하신 것입니다. ^^ 어떤 글에는 10분 기다리면 된다고 하는데, 제 경우에는 승인 후에도 1시간 넘게 기다려야 정상적으로 API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기타, OpenAPI 관련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여러 소스들...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 https://data.seoul.go.kr

고속도로 공공 데이터 포털
; http://data.ex.co.kr

교통 사고 분석 시스템
; http://taas.koroad.or.kr

국가 통계 포털
; http://kosis.kr/index/index.do

기상 자료 개방 포털
; https://data.kma.go.kr, http://sts.kma.go.kr

영화 진흥 위원회 영화 DB
; http://www.kofic.or.kr

SNS
 - 트위터: https://developer.twitter.com
 - 네이버 블로그 검색: https://developers.naver.com/docs/search/blog/
 - 네이버 뉴스 검색: https://developers.naver.com/docs/search/new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25정성태1/7/201724482개발 환경 구성: 310. IIS - appcmd.exe를 이용해 특정 페이지에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를 제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11124정성태1/4/201727859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23367.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22820.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20709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26595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49302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36116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22333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24316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11115정성태12/21/201627266Windows: 133.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2]
11114정성태12/19/201637312Windows: 132. 역슬래시(backslash) 문자가 왜 통화 표기 문자(한글인 경우 "\")로 보일까요? [2]
11113정성태12/6/201621149오류 유형: 373.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에서 CO_E_ISOLEVELMISMATCH(0x8004E02F) 오류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12정성태11/23/201626309오류 유형: 372. MySQL 서비스가 올라오지 않는 경우 - Error 1067
11111정성태11/23/201634802.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2]
11110정성태11/17/201621542.NET Framework: 626. Commit 메모리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모리 부족(Out-of-memory) 예외 발생 [2]
11109정성태11/17/201621526.NET Framework: 625. ASP.NET에서 System.Web.HttpApplication 인스턴스는 다중으로 생성됩니다.
11108정성태11/13/201621342.NET Framework: 624. WPF - Line 요소를 Canvas에 위치시켰을 때 흐림(blur)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107정성태11/9/201625222오류 유형: 371. Post cache substitution is not compatible with modules in the IIS integrated pipeline that modify the response buffers.파일 다운로드1
11106정성태11/8/201625385.NET Framework: 623. C# - PeerFinder를 이용한 Wi-Fi Direct 데이터 통신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105정성태11/8/201619780.NET Framework: 622. PeerFinder Wi-Fi Direct 통신 시 Read/Write/Dispose 문제
11104정성태11/8/201619232개발 환경 구성: 305. PeerFinder로 Wi-Fi Direct 연결 시 방화벽 문제
11103정성태11/8/201619258오류 유형: 370. PeerFinder.ConnectAsync의 결과 값인 Task.Result를 호출할 때 System.AggregateException 예외 발생
11102정성태11/8/201619332오류 유형: 369. PeerFinder.FindAllPeersAsync 호출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
11101정성태11/8/201622087.NET Framework: 621.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 0x80131363
11100정성태11/7/201628915개발 환경 구성: 304. Wi-Fi Direct 지원 여부 확인 방법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