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버스 노선 및 위치 정보 조회 API 사용을 위한 기초 라이브러리

자, 지난 글도 썼으니,

공공 데이터 포털에서 버스 노선 및 위치 정보 조회 API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779

간단한 코딩도 좀 해야겠지요. ^^

물론, 바닥부터 라이브러리를 만들어도 되겠지만, 어느 친절하신 분이 이미 위의 내용 정도에 해당하는 것을 Nuget 패키지로 올렸으니,

KoreaBusInfo
; https://www.nuget.org/packages/KoreaBusInfo/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패키지 참조하고,

Install-Package KoreaBusInfo

이렇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IO;
using KoreaBusInfo.Seoul;

namespace ConsoleApp1
{
    // Install-Package KoreaBusInfo
    class Program
    {
        // 서울 103번 버스에 대한 정류장 및 운행 정보 조회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busNumber = "103";
            string key = "...[인증키(Encoding)]...";

            BusInfo sbi = new BusInfo(key);

            BusRoute busRoute = sbi.GetBusRoute(busNumber);
            Console.WriteLine($"Bus: {busNumber}, RouteID == {busRoute.busRouteId}");

            List<BusStation> stations = sbi.GetBusStations(busRoute);
            Console.WriteLine($"정류장(총: {stations.Count}개):");
            foreach (BusStation station in stations)
            {
                Console.WriteLine($"\t{station.stationNm}({station.station})");
            }

            List<BusPosition> positions = sbi.GetBusPositions(busRoute, stations);
            Console.WriteLine($"운행 중인 버스(총: {positions.Count}개):");
            foreach (BusPosition position in positions)
            {
                BusStation lastStation = stations.Find((elem) => elem.station == position.lastStnId);
                Console.WriteLine($"\t'lastStation: {lastStation.stationNm}', 현재 위치 ({position.posX}, {position.posY})");
            }
        }
    }
}

/* 출력 결과
Bus: 103, RouteID == 100100008
정류장(총: 71개):
        삼화상운(110000391)
        월계2교.참누리아파트(107000095)
        광운초교앞(107000097)
        장위래미안아파트(107000522)
        꿈의숲아이파크아파트(107000130)
        장곡초교사거리(107000132)
        장곡초교(107000197)
        국민은행장위동지점(107000186)
        장위1동치안센터(107000184)
        장위1동주민센터(107000182)
        장위동고개(107000180)
        장위동입구(107000516)
        창문여고앞(108000101)
        숭곡초등학교입구(108000102)
        월곡뉴타운(107000001)
        길음뉴타운(107000003)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107000005)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107000007)
        삼선동주민센터(107000085)
        성북구청.성북경찰서(107000087)
        보문역(107000089)
        보문동성당(107000091)
        보문동주민센터(107000093)
        신설동로터리(100000147)
        동묘앞(100000367)
        동대문(흥인지문)(100000365)
        종로6가.동대문종합시장(100000397)
        종로5가.광장시장(100000395)
        종로4가.종묘(100000393)
        종로3가.탑골공원(100000391)
        종로2가(100000389)
        종로1가(100000387)
        광화문(100000385)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100000379)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112000399)
        서울역버스환승센터(101000006)
        숭례문(101000027)
        남대문시장앞.이회영활동터(101000114)
        롯데영프라자(101000043)
        우리은행종로지점(101000040)
        종로2가(100000388)
        종로3가.탑골공원(100000390)
        종로4가.종묘(100000392)
        종로5가.광장시장(100000394)
        종로6가.동대문종합시장(100000396)
        동대문역.흥인지문(100000398)
        동묘앞(100000366)
        신설동역1번출구(105000552)
        보문동주민센터(107000094)
        보문동성당(107000092)
        보문역(107000090)
        성북구청.성북경찰서(107000088)
        삼선동주민센터(107000086)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107000008)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107000006)
        길음뉴타운(107000004)
        월곡뉴타운(107000002)
        숭곡초교입구(107000011)
        창문여고(107000012)
        장위동고개(107000179)
        장위1동주민센터(107000181)
        장위1동치안센터(107000183)
        국민은행장위동지점(107000185)
        장곡초교(107000198)
        장곡초교사거리(107000131)
        꿈의숲아이파크아파트(107000129)
        장위래미안아파트(107000521)
        광운초교(107000098)
        월계2교(107000096)
        월계주공1단지아파트앞(110000656)
        삼화상운(110000391)
운행 중인 버스(총: 21개):
        'lastStation: 꿈의숲아이파크아파트', 현재 위치 (204525.3, 457636.47)
        'lastStation: 월곡뉴타운', 현재 위치 (202233.31, 456096.72)
        'lastStation: 보문역', 현재 위치 (201670.97, 454037.62)
        'lastStation: 동대문(흥인지문)', 현재 위치 (201064.02, 452495.2)
        'lastStation: 종로4가.종묘', 현재 위치 (199348.3, 452335.88)
        'lastStation: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현재 위치 (197193.97, 451992.4)
        'lastStation: 서울역버스환승센터', 현재 위치 (197606.02, 450669.7)
        'lastStation: 우리은행종로지점', 현재 위치 (198492.05, 452003.2)
        'lastStation: 종로5가.광장시장', 현재 위치 (200127.38, 452374.38)
        'lastStation: 보문동주민센터', 현재 위치 (201915.1, 453511.66)
        'lastStation: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현재 위치 (201746.34, 455056.88)
        'lastStation: 창문여고', 현재 위치 (203532.77, 457174.44)
        'lastStation: 장위래미안아파트', 현재 위치 (204694.03, 457735.78)
        'lastStation: 삼화상운', 현재 위치 (204438.42, 458648.3)
        'lastStation: 삼화상운', 현재 위치 (204439.84, 458646.53)
        'lastStation: 삼화상운', 현재 위치 (204450, 458634.22)
        'lastStation: 삼화상운', 현재 위치 (204444.7, 458640.66)
        'lastStation: 삼화상운', 현재 위치 (204450.53, 458633.66)
        'lastStation: 삼화상운', 현재 위치 (204447.97, 458636.78)
        'lastStation: 삼화상운', 현재 위치 (204450.17, 458634.12)
        'lastStation: 삼화상운', 현재 위치 (204448.67, 458635.88)
*/

오~~~ 멋집니다. ^^ 제가 워낙에 strong typing을 좋아하다 보니, 위의 API에서 사용하는 클래스들을 모두 만들어 두었고,

using System.Xml.Serialization;

namespace KoreaBusInfo.Seoul
{
    //...[생략]...

    public class BusStation
    {
        public string arsId;
        public string beginTm;
        public string busRouteId;
        public string busRouteNm;
        public string direction;
        public float gpsX;
        public float gpsY;
        public string lastTm;
        public float posX;
        public float posY;
        public int routeType;
        public int sectSpd;
        public string section;
        public int seq;
        public string station;
        public string stationNm;
        public string stationNo;
        public string transYn;
        public string fullSectDist;
        public string trnstnid;
    }

    public class BusRoute
    {
        public string busRouteId;
        public string busRouteNm;
        public string corpNm;
        public string edStationNm;

        public string firstBusTm;
        public string firstLowTm;
        public string lastBusTm;
        public string lastBusYn;
        public string lastLowTm;

        public decimal length;
        public int routeType;
        public string stStationNm;
        public int term;
    }

    public class BusPosition
    {
        public int busType;
        public int congetion;
        public string dataTm;
        public int isFullFlag;
        public string lastStnId;
        public string plainNo;
        public float posX;
        public float posY;
        public string routeId;
        public string sectDist;
        public int sectOrd;
        public string sectionId;
        public string stopFlag;
        public float tmX;
        public float tmY;
        public string vehId;
    }
}

여러분은 인텔리센스의 도움을 받으며 편하게 코딩을 하시면 됩니다. ^^

이 글의 소스 코드는 다음의 github에 올려졌으니 참고하시고,

stjeong/KoreaBusInfo
; https://github.com/stjeong/KoreaBusInfo

혹시, 위의 라이브러리에 구현되지 않은 API가 필요하다면 이슈에 올리거나, 아니면 직접 구현하셔서 PR을 주시면 기꺼이 반영을 하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8-14 08시36분
[dimohy] 어느 친절하신 분의 성이 혹시 정씨신가요? ... ;; 감사합니다 ^^
[guest]
2021-08-14 05시45분
@dimohy 정말 예리한 감각의 소유자시군요. ^^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36정성태10/12/201818416오류 유형: 492. Visual Studio 로딩 시 오류 - The 'Scc Display Information'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1735정성태10/12/201824179VS.NET IDE: 129. Visual Studio - 특정 문자(열)를 개행 문자로 바꾸는 방법
11734정성태10/10/201818554Linux: 4. Synology NAS(DS216+II)에 FTDI 장치 연결 후 C#(.NET Core)으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33정성태10/10/201821301Linux: 3. Synology NAS(DS216+II)에서 FTDI 장치를 C/C++로 제어
11732정성태10/10/201821010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731정성태10/9/201820535개발 환경 구성: 409.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웹 앱 확장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30정성태10/9/201819799개발 환경 구성: 408.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파일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29정성태10/9/201822267Windows: 150. 윈도우에서 ARP Cache 목록 확인 및 삭제하는 방법
11728정성태10/9/201820051사물인터넷: 50.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1]
11727정성태10/8/201821308오류 유형: 491. Visual Studio의 리눅스 SSH 원격 연결 - "Connectivity Failure. Please make sure host name and port number are correct."
11726정성태10/7/201823992사물인터넷: 49.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해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24정성태10/5/201823665개발 환경 구성: 407.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파일 다운로드1
11723정성태10/4/201817515개발 환경 구성: 406. "Docker for Windows" 컨테이너 내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
11722정성태10/4/201821211.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21정성태10/4/201821512.NET Framework: 797. Linux 환경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20정성태10/4/201823057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11719정성태10/4/201823674.NET Framework: 796.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11718정성태10/4/201818857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11717정성태10/3/201821458사물인터넷: 48. 넷두이노의 C# 네트워크 프로그램 [1]
11716정성태10/3/201822026사물인터넷: 47. Raspberry PI Zero (W)에 FTDI 장치 연결 후 C/C++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15정성태10/3/201820806사물인터넷: 46. Raspberry PI Zero (W)에 docker 설치
11714정성태10/2/201820046사물인터넷: 45. Raspberry PI에 ping을 hostname으로 하는 방법
11713정성태10/2/201822457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11712정성태10/2/201827650.NET Framework: 795. C# - 폰트 목록을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구하는 방법 [3]
11711정성태10/2/201823095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11710정성태10/2/201822044.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5]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