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755. 파이썬 - konlpy 사용 시 JVM과 jpype1 관련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35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파이썬 - konlpy 사용 시 JVM과 jpype1 관련 오류

다음과 같이 konlpy 사용 시,

from konlpy.corpus import kolaw
from konlpy.tag import Kkma, Hannanum

msg = """
...[생략]...
"""
h = Hannanum()
h.morphs(msg)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면?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pycharm/work/pytest/main.py", line 12, in <module>
    kkma = Hannanum()
  File "C:\Anaconda3\lib\site-packages\konlpy\tag\_hannanum.py", line 108, in __init__
    jvm.init_jvm(jvmpath, max_heap_size)
  File "C:\Anaconda3\lib\site-packages\konlpy\jvm.py", line 55, in init_jvm
    jvmpath = jvmpath or jpype.getDefaultJVMPath()
  File "C:\Anaconda3\lib\site-packages\jpype\_jvmfinder.py", line 74, in getDefaultJVMPath
    return finder.get_jvm_path()
  File "C:\Anaconda3\lib\site-packages\jpype\_jvmfinder.py", line 215, in get_jvm_path
    .format(self._libfile))
jpype._jvmfinder.JVMNotFoundException: No JVM shared library file (jvm.dll) found. Try setting up the JAVA_HOME environment variable properly.

이상하군요, 분명히 제 경우에 JVM_HOME이 정의돼 있는데 jvm.dll을 찾지 못한다고 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Hannanum의 경우 발생하고 Kkma의 경우에는,

kkma = Kkma()
print(kkma.sentences(msg))

정상 동작합니다. 일단 확실히 하기 위해 파이썬 코드에서 JAVA_HOME 환경 변수를 출력해 봤는데요,

print(os.environ.get('JAVA_HOME'))

/* 출력 결과
C:\Program Files\AdoptOpenJDK\jdk-11.0.10.9-hotspot\
*/

아무래도 OpenJDK의 탓인 걸까요? 그래서 명시적으로 Oracle JDK를 명시해 줬더니,

os.environ['JAVA_HOME'] = r'C:\Program Files\Java\jdk1.8.0_161'
print(os.environ.get('JAVA_HOME'))

h = Hannanum()
print(h.morphs(msg))

잘 동작합니다. ^^; 그러니까, Kkma는 내부 코드에서 OpenJDK를 지원하는 것이고, Hannanum은 그렇지 못한 것입니다.




참고로, 저렇게 했는데도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면?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pycharm/work/pytest/main.py", line 12, in <module>
    kkma = Kkma()
  File "C:\Anaconda3\lib\site-packages\konlpy\tag\_kkma.py", line 95, in __init__
    jvm.init_jvm(jvmpath, max_heap_size)
  File "C:\Anaconda3\lib\site-packages\konlpy\jvm.py", line 67, in init_jvm
    convertStrings=True)
  File "C:\Anaconda3\lib\site-packages\jpype\_core.py", line 227, in startJVM
    ignoreUnrecognized, convertStrings, interrupt)
SystemError: java.nio.file.InvalidPathException: Illegal char <*> at index 43: C:\Anaconda3\lib\site-packages\konlpy\java\*

이 문제는 JPype1과 현재 파이썬 버전의 불일치라고 합니다. 그런데, konlpy 설치 당시의 출력을 보면,

(base) C:\Users\testusr> pip install konlpy
Collecting konlpy
  Downloading konlpy-0.5.2-py2.py3-none-any.whl (19.4 MB)
     |████████████████████████████████| 19.4 MB 840 kB/s
...[생략]...
Collecting JPype1>=0.7.0
  Downloading JPype1-1.3.0-cp37-cp37m-win_amd64.whl (361 kB)
     |████████████████████████████████| 361 kB 6.8 MB/s
...[생략]...
Successfully installed JPype1-1.3.0 beautifulsoup4-4.6.0 konlpy-0.5.2 typing-extensions-3.10.0.0
WARNING: You are using pip version 21.2.2; however, version 21.2.3 is available.
You should consider upgrading via the 'C:\Anaconda3\python.exe -m pip install --upgrade pip' command.

cp37은 CPython3.7을 의미하는 듯하고, 따라서 현재 설치된 파이썬 3.7.3이기 때문에,

(base) C:\Users\testusr> python
Python 3.7.3 (default, Mar 27 2019, 17:13:21) [MSC v.1915 64 bit (AMD64)] :: Anaconda, Inc. on win32
Type "help", "copyright", "credits" or "license" for more information.

JPype1 버전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입니다. 그래서 이 문제를 딱히 해결할 수 없었는데, 다음의 글에서 해법을 찾았습니다.

2021년 5월 konlpy 설치시 문제점들
; https://daewonyoon.tistory.com/386

위의 글에서는 파이썬 3.7과 3.8에서의 오류 상황을 해결하고 있는데요, 제 경우에는 3.7이었으므로 다음과 같이 제시한 명령어를 실행했더니,

(base) C:\Users\testusr> pip install "jpype1<1"
Collecting jpype1<1
  Downloading JPype1-0.7.5-cp37-cp37m-win_amd64.whl (1.4 MB)
     |████████████████████████████████| 1.4 MB 1.7 MB/s
Installing collected packages: jpype1
  Attempting uninstall: jpype1
    Found existing installation: JPype1 1.3.0
    Uninstalling JPype1-1.3.0:
      Successfully uninstalled JPype1-1.3.0
Successfully installed jpype1-0.7.5

다행히 이후 잘 동작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00정성태2/19/201622207.NET Framework: 548. Linq는 결국 메서드 호출! [3]파일 다운로드1
10899정성태2/17/201623550개발 환경 구성: 282. kernel32.dll, kernel32legacy.dll, api-ms-win-core-sysinfo-l1-2-0.dll [1]
10898정성태2/17/201622029.NET Framework: 547. PerformanceCounter의 InstanceName 지정 시 주의 사항파일 다운로드1
10897정성태2/17/201621304디버깅 기술: 76. windbg 분석 사례 - 닷넷 프로파일러의 GC 콜백 부하
10896정성태2/17/201622397오류 유형: 320. FATAL: 28000: no pg_hba.conf entry for host "fe80::1970:8120:695:a41e%12"
10895정성태2/17/201621288.NET Framework: 546. System.AppDomain으로부터 .NET Profiler의 AppDomainID 구하는 방법 [1]
10894정성태2/17/201622017오류 유형: 319. Visual Studio에서 찾기는 성공하지만 해당 소스 코드 정보가 보이지 않는 경우
10893정성태2/16/201620650.NET Framework: 545. 닷넷 - 특정 클래스가 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까? - 두 번째 이야기
10892정성태2/16/201621276오류 유형: 318. 탐색기에서 폴더 생성/삭제 시 몇 초 동안 멈추는 현상
10891정성태2/16/201624295VC++: 95. 내 CPU가 MPX/SGX를 지원할까요? [1]
10890정성태2/15/201624102.NET Framework: 544. C# 5의 Caller Info를 .NET 4.5 미만의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방법 [5]
10889정성태2/14/201620446.NET Framework: 543.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888정성태2/14/201618737.NET Framework: 542. 닷넷 - 특정 클래스가 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까?
10887정성태2/3/201619458VC++: 94. MPX(Memory Protection Extensions)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0886정성태2/3/201620700개발 환경 구성: 281. Intel MPX Runtime Driver 수동 설치
10885정성태2/2/201620383오류 유형: 317. Sybase.Data.AseClient.AseException: The command has timed out.
10884정성태1/11/201621629개발 환경 구성: 280. 닷넷에서 SAP Adaptive Server Enterprise 데이터베이스 사용파일 다운로드1
10882정성태1/6/201620923Windows: 113. 윈도우의 2179, 26143, 47001 TCP 포트 사용 [1]
10881정성태1/3/201622368오류 유형: 316. 윈도우 10 - 바탕/돋음 체가 사라져 한글이 깨지는 현상 [2]
10880정성태12/16/201520037오류 유형: 315.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정보
10879정성태12/16/201521994오류 유형: 314. Error : DEP0700 : Registration of the app failed. error 0x80070005
10878정성태12/9/201525167디버깅 기술: 75. UWP(유니버설 윈도우 플랫폼) 앱에서 global::System.Diagnostics.Debugger.Break 예외 발생 시 대응 방법
10877정성태12/9/201529526VC++: 93. std::thread 사용 시 R6010 오류 [2]
10876정성태11/26/201525534.NET Framework: 541. SignedXml을 이용한 ds:Signature만드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0875정성태11/26/201530542개발 환경 구성: 279. signtool.exe의 다중 서명 기능 [2]
10874정성태11/26/201526507개발 환경 구성: 278. 인증서와 인증서를 이용한 코드 사인의 해시 구분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