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089. C# - Indexer에 Range 및 람다 식을 이용한 필터 구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4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Indexer에 Range 및 람다 식을 이용한 필터 구현

파이썬 문법을 보니, 재미있는 활용 사례가 있군요.

import pandas as pd

""" book1.csv
name,kor,eng,mat
테스터,90,90,90
사용자,80,80,80
개발자,70,70,70
관리자,90,80,70
디자이너,60,50,50
"""

data = pd.read_csv('book1.csv')

data = data[data.mat > 70]
print(data)

""" 출력 결과
  name  kor  eng  mat
0  홍길동   90   90   90
1  임꺽정   80   80   80
5  테스터  100   50   90
"""

C#의 경우 indexer에 전통적으로 int나 string 정도만을 사용했었는데요, Python에 구현된 저 코드를 보니 틀에 박힌 생각이었던 것 같습니다. ^^

따라서, 그동안 LINQ 확장 메서드인 Where로 써 오던 것을 클래스 내부에 indexer를 구현해 제공하는 것도 나쁘진 않을 듯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Class mc = new MyClass(Enumerable.Range(0, 10));

        var items = mc[(elem) => elem < 5]; // 0, 1, 2, 3, 4,
    }
}

public class MyClass
{
    List<int> _list = new List<int>();

    public MyClass(IEnumerable<int> seq)
    {
        _list.AddRange(seq);
    }

    public IEnumerable<int> this[Func<int, bool> condition]
    {
        get
        {
            return _list.Where(condition);
        }
    }
}

파이썬과 비교해 약간 람다를 위한 코드가 더 들어가지만 그래도 논리 연산자를 사용할 상황이 되면 더 직관적이긴 합니다.

items = mc[(elem) => elem > 5 && elem < 8];

파이썬의 경우 이를 위해서는 numpy의 힘을 빌려야만 했죠.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data = pd.read_csv('book1.csv')

data = data[np.logical_and(data.mat > 70, data.mat < 90)]
print(data)




기왕 하는 김에 slicing도 C# 8부터 추가된 Range를 통해 indexer에 추가하면 더 완벽해질 듯합니다. ^^

MyClass mc = new MyClass(Enumerable.Range(0, 10));

// python - mc[:3]
var result1 = mc[..3];      // 0, 1, 2

// python - mc[1:3]
var result2 = mc[1..3];     // 1, 2 

// python - mc[5:]
var result3 = mc[5..];      // 5, 6, 7, 8, 9

// python - mc[5:-1]
var result4 = mc[5..^1];    // 5, 6, 7, 8

// python - mc[:]
var result5 = mc[..];       // 0, 1, 2, 3, 4, 5, 6, 7, 8, 9

public class MyClass
{
    //...[생략]...

    public IEnumerable<int> this[Range range] // [range.Start, range.End) 범위 선택
    {
        get 
        {
            /* 이렇게 해도 되겠지만,
            int offset = range.Start.Value;

            int take = range.End.Value - range.Start.Value;
            if (range.End.IsFromEnd == true)
            {
                take = (_list.Count - range.End.Value - range.Start.Value);
            }
            */

            (int offset, int take) = range.GetOffsetAndLength(_list.Count);
            return _list.Skip(offset).Take(take);
        }
    }

    //...[생략]...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02-19 09시50분
// GetEnumerator extensions for Range in C#
// https://twitter.com/okyrylchuk/status/1759327774328701044/photo/1

namespace ConsoleApp1;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each (int i in 3..5)
        {
            Console.WriteLine(i);
        }
        Console.WriteLine();
        foreach (int i in ..3)
        {
            Console.WriteLine(i);
        }
        Console.WriteLine();
        foreach (int i in ^3..)
        {
            Console.WriteLine(i);
        }
    }
}

public static class GetEnumeratorExtensions
{
    public static IEnumerator<int> GetEnumerator(this Range range)
    {
        if (range.Start.IsFromEnd)
        {
            return Enumerable.Range(range.End.Value, range.Start.Value - range.End.Value + 1).Reverse().GetEnumerator();

        }
        else
        {
            return Enumerable.Range(range.Start.Value, range.End.Value - range.Start.Value + 1).GetEnumerator();
        }
    }
}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61정성태6/27/201917883Graphics: 37. C# - PLplot - 출력 모음(Family File Output)
11960정성태6/27/201918982Graphics: 36. C# - PLplot의 16색 이상을 표현하는 방법과 subpage를 이용한 그리드 맵 표현
11959정성태6/27/201920138Graphics: 35. matplotlib와 PLplot의 한글 처리
11958정성태6/25/201924682Linux: 18. C# - .NET Core Console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6]
11957정성태6/24/201922998Windows: 160. WMI 쿼리를 명령행에서 간단하게 수행하는 wmic.exe [2]
11956정성태6/24/201921540Linux: 17. CentOS 7에서 .NET Core Web App 실행 환경 구성 [1]
11955정성태6/20/201919817Math: 60.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54정성태6/20/201918561오류 유형: 550. scp - sudo: no tty present and no askpass program specified
11953정성태6/20/201916790오류 유형: 549. The library 'libhostpolicy.so' required to execute the application was not found in '...'
11952정성태6/20/201917474Linux: 16. 우분투, Centos의 Netbios 호스트 이름 풀이 방법
11951정성태6/20/201920636오류 유형: 548. scp 연결 시 "Permission denied" 오류 및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경고
11950정성태6/18/201920852.NET Framework: 845. C# - 윈도우 작업 관리자와 리소스 모니터의 메모리 값을 구하는 방법
11949정성태6/18/201916190오류 유형: 547. CoreCLR Profiler 예제 프로젝트 빌드 시 컴파일 오류 유형
11948정성태6/17/201918608Linux: 15. 리눅스 환경의 Visual Studio Code에서 TFS 서버 연동
11947정성태6/17/201920332Linux: 14. 리눅스 환경에서 TFS 서버 연동
11946정성태6/17/201921317개발 환경 구성: 445. C# - MathNet으로 정규 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를 생성, PLplot으로 Histogram 표현파일 다운로드1
11945정성태6/17/201919085Linux: 13. node.js에서 syslog로 출력하는 방법
11944정성태6/16/201925433Linux: 12. Ubuntu 16.04/18.04에서 node.js 최신 버전 설치 방법
11943정성태6/15/201918679.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1]
11942정성태6/13/201924881개발 환경 구성: 444.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개발하는 방법 [1]
11941정성태6/13/201917575오류 유형: 546. "message NETSDK1057: 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Core" 빌드 경고 없애는 방법
11940정성태6/13/201917849개발 환경 구성: 44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파일 다운로드1
11939정성태6/13/201916589오류 유형: 545. Managed Debugging Assistant 'FatalExecutionEngineError'
11938정성태6/12/201919151Math: 59. C# - 웨이트 벡터 갱신식을 이용한 퍼셉트론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37정성태6/11/201925468개발 환경 구성: 442. .NET Core 3.0 preview 5를 이용해 Windows Forms/WPF 응용 프로그램 개발 [1]
11936정성태6/10/201918418Math: 58. C# - 최소 자승법의 1차, 2차 수렴 그래프 변화 확인 [2]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