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디버깅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이상한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 .NET Framework 2.0 대상으로 빌드한 프로젝트가 디버깅이 안되는 희한한 일이 눈 앞에 펼쳐진 것입니다.

not_stop_debug_1.png

위의 그림처럼, BP(Breakpoint)를 걸어도 안 걸리고, "Break All (Ctrl + Alt + Break)"을 걸어도 정황상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메시지 창만 나오는 것입니다.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


검색을 해보니, 다행히 힌트를 얻을 수 있는 글이 하나 나왔는데요. ^^

Hitting breakpoints in .NET Class Libraries while debugging with Visual Studio 2010
; http://through-the-interface.typepad.com/through_the_interface/2010/04/hitting-breakpoints-in-net-class-libraries-while-debugging-with-visual-studio-2010.html

마침 이 현상을 겪었던 프로젝트는 app.config에 다음과 같은 설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30319"/>
        <supportedRuntime version="v2.0.50727"/>
    </startup>
</configuration>

왜 이렇게 했는지는 아래에 설명을 한 적이 있습니다.

supportedRuntime 옵션과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
; https://www.sysnet.pe.kr/2/0/1233

정리해 보면!

디버깅을 시도한 프로젝트는 csproj에 .NET 2.0을 사용한다고 명시했지만 app.config의 영향으로 실제 EXE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는 .NET 4.0 런타임이 올라온 것입니다. 하지만 Visual Studio는 csproj 파일에 의해 .NET 2.0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하고 그대로 2.0 디버그 엔진을 사용하였기 때문입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이런 프로그램을 디버깅할 때는 app.config의 내용을 잠시 주석처리하거나, "Debug" / "Attach to Process..." 메뉴를 이용하여 실행 시에 Visual Studio 디버거를 붙이는 수밖에 없습니다. (원천적으로는, Visual Studio가 app.config을 인식해서 디버거를 구동해 주는 것이 맞겠지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96정성태6/22/201423799.NET Framework: 444. clojure와 C#을 통해 이해하는 Sequence와 Vector 형식의 차이점 [1]
1695정성태6/21/201423087개발 환경 구성: 228. PowerShell ISE에서 (입력 기능이 있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방법
1694정성태6/21/201425195개발 환경 구성: 227. 닷넷 용 ClojureCLR 개발환경 설정
1693정성태6/20/201425668개발 환경 구성: 226. Clojure 언어의 윈도우 개발환경 설정
1692정성태6/19/201436137오류 유형: 231. Visual Studio 2013 한글 버전 설치 오류 - The form specified for the subject is not one supported or known by the specified trust provider
1691정성태6/18/201431551개발 환경 구성: 225. 유닉스 계열의 tail 명령어가 제공되는 PowerShell [1]
1690정성태6/18/201434440개발 환경 구성: 224. DirectShow 예제 구하는 방법 [3]
1689정성태6/18/201431219오류 유형: 230. C++ 가변 인자 사용시 va_start 파라미터 전달 방법 [2]
1688정성태6/15/201423123오류 유형: 229. 갤럭시 노트 3 환경에서 Xamarin 앱 배포 충돌
1687정성태6/15/201430456개발 환경 구성: 223. PowerShell로 Visual Studio 빌드 스크립트 작성파일 다운로드1
1686정성태6/12/201429013Windows: 96. 윈도우 8 - 그림 암호를 이용해 로그인 시 지연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1]
1685정성태6/10/201435423.NET Framework: 443. 자바 8과 C#의 람다(Lambda) 지원에 대한 비교 [12]
1684정성태6/9/201445821.NET Framework: 442. C# - 시스템의 CPU 사용량 및 프로세스(EXE)의 CPU 사용량 알아내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683정성태6/2/201425235오류 유형: 228. CLR4 보안 - yield 구문 내에서 SecurityCritical 메서드 사용 불가 [2]파일 다운로드1
1682정성태6/1/201431686.NET Framework: 441. .NET CLR4 보안 모델 - 3. CLR4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2
1681정성태6/1/201426167.NET Framework: 440. .NET CLR4 보안 모델 - 2. 샌드박스(Sandbox)을 이용한 보안 [2]파일 다운로드1
1680정성태6/1/201425829.NET Framework: 439. .NET CLR4 보안 모델 - 1. "Security Level 2"란?파일 다운로드1
1679정성태5/31/201424769.NET Framework: 438.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1678정성태5/31/201428417개발 환경 구성: 222. 라이브러리 개발자를 위한 보안 권한 테스트 - "Network Service" 계정 권한으로 실행
1677정성태5/30/201423819VS.NET IDE: 87. IIS Express - 웹 응용 프로그램의 .NET 버전에 맞는 CLR이 로드되지 않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676정성태5/27/201432610Windows: 95. 윈도우 8에서 Hyper-V 유무에 따른 듀얼 부트 설정하는 방법 [1]
1675정성태5/27/201434848Windows: 94. 윈도우 8.1에서 윈도우 체험 지수(Windows Experience Index, WEI) 확인 방법
1674정성태5/24/201427745VS.NET IDE: 86. 하나의 T4 템플릿으로 여러 개의 소스코드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73정성태5/19/201427658.NET Framework: 437. WACOM 태블릿 환경에서 WinForm 실행시 System.ArgumentException 예외 발생
1672정성태5/15/201428420기타: 46. Microsoft의 응용 프로그램을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 - Azure RemoteApp 소개 [2]
1671정성태5/15/201428707.NET Framework: 436. XNA Content 리소스의 해제 후 다시 로드해서 사용하면 ObjectDisposedException 예외 발생 [2]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