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02. .NET Conf Mini 21.08 - WinUI 3 따라해 보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36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ET Conf Mini 21.08 - WinUI 3 따라해 보기

마침 .NET Conf에서 정세일 님의 강좌도 있고 하니, ^^

.NET Conf Mini 21.08 - WinUI 3 소개
; https://www.youtube.com/watch?v=i9zw6x6zQLI&t=205s

자, 그럼 따라 해 봅시다. ^^

우선, Microsoft Store에서 여러 가지 컨트롤 사용 예제를 제공하므로 다운로드하고,

Micorosoft Store - WinUI 3 Controls Gallery
; https://www.microsoft.com/en-us/p/winui-3-controls-gallery/9p3jfpwwdzrc

그다음, Visual Studio 2019의 "Extensions" / "Manage Extensions" 메뉴를 선택해 다음의 2가지 확장을 추가합니다.

  • Project Reunion
  • Windows Template Studio

전자의 것만 추가하면 새 프로젝트에 "Blank App, Packaged (WinUI 3 in Desktop)" 템플릿이 보이고, 후자의 것도 함께 추가하면 "App, Packaged (WinUI 3 in Desktop)" 템플릿까지 보일 것입니다.

강의에서는 "App (WinUI 3 in Desktop)" 템플릿으로 다음의 설정과 함께 시작하는데,

프로젝트 유형: MenuBar
Design Pattern: MVVM Toolkit
페이지: Settings, WebView, Content Grid
기능: MSIX Packaging

저는 그냥 "Blank App, Packaged (WinUI 3 in Desktop)" 템플릿을 선택하겠습니다. 아래 화면은, 기본 구조의 솔루션 탐색기 상태와 실행 모습을 보여줍니다.

winui3_app_1.png

특이한 것은, "시작 프로젝트" 설정이 "App1"이 아니라 "App1 (Package)"라는 점인데요, 만약 "Set as Startup Project" 메뉴를 이용해 "App1" 프로젝트로 설정을 바꾸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DllNotFoundException: 'Unable to load DLL 'Microsoft.UI.Xaml.dll'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0x8007007E)'

그러니까, 꼭 "... (Package)" 프로젝트로 Run/Debug 실행을 해야 합니다.




이 상태에서 App.xaml과 MainWindow.xaml을 보면 WPF 응용 프로그램과 거의 다를 바가 없습니다.

<Application
    x:Class="App1.App"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mlns:local="using:App1">
    <Application.Resources>
        <ResourceDictionary>
            <ResourceDictionary.MergedDictionaries>
                <XamlControlsResources xmlns="using:Microsoft.UI.Xaml.Controls" />
                <!-- Other merged dictionaries here -->
            </ResourceDictionary.MergedDictionaries>
            <!-- Other app resources here -->
        </ResourceDictionary>
    </Application.Resources>
</Application>

<Window
    x:Class="App1.MainWindow"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mlns:local="using:App1"
    xmlns:d="http://schemas.microsoft.com/expression/blend/2008"
    xmlns:mc="http://schemas.openxmlformats.org/markup-compatibility/2006"
    mc:Ignorable="d">

    <StackPanel Orientation="Horizontal" HorizontalAlignment="Center" VerticalAlignment="Center">
        <Button x:Name="myButton" Click="myButton_Click">Click Me</Button>
    </StackPanel>
</Window>

단지, 이렇게 만든 WinUI 앱은 Windows 10 1809 이상의 버전에서만 동작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자, 그럼 강의에서처럼 "Microsoft.Graphics.Win2D" 라이브러리를 설치해 주고,

Install-Package Microsoft.Graphics.Win2D

도움말에 따라,

Introduction
; https://microsoft.github.io/Win2D/WinUI3/html/Introduction.htm

CanvasControl Class
; https://microsoft.github.io/Win2D/WinUI3/html/T_Microsoft_Graphics_Canvas_UI_Xaml_CanvasControl.htm

CanvasControl과 함께,

<Window
    x:Class="App1.MainWindow"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mlns:local="using:App1"
    xmlns:d="http://schemas.microsoft.com/expression/blend/2008"
    xmlns:mc="http://schemas.openxmlformats.org/markup-compatibility/2006"
    xmlns:canvas="using:Microsoft.Graphics.Canvas.UI.Xaml"
    mc:Ignorable="d">

    <!--<StackPanel Orientation="Horizontal" HorizontalAlignment="Center" VerticalAlignment="Center">
        <Button x:Name="myButton" Click="myButton_Click">Click Me</Button>
    </StackPanel>-->
    
    <Grid>
        <canvas:CanvasControl x:Name="canvas" Draw="canvas_Draw" ClearColor="CornflowerBlue"  />
    </Grid>
</Window>

코드도 함께 추가합니다.

private void myButton_Click(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 myButton.Content = "Clicked";
}

private void canvas_Draw(Microsoft.Graphics.Canvas.UI.Xaml.CanvasControl sender, Microsoft.Graphics.Canvas.UI.Xaml.CanvasDrawEventArgs args)
{
    var g = args.DrawingSession;

    g.DrawEllipse(155, 115, 80, 30, Colors.Black, 3);
    g.DrawText("Hello, world!", 100, 100, Colors.Yellow);
}

이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winui3_app_2.png

거의 WPF 경험을 유사하게 가져갈 수가 있군요. ^^




Microsoft.Graphics.Win2D 참조 추가 후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System.DllNotFoundException
  HResult=0x80131524
  Message=Unable to load DLL 'Microsoft.Graphics.Canvas.UI.Xaml.dll'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0x8007007E)
  Source=<Cannot evaluate the exception source>
  StackTrace:
<Cannot evaluate the exception stack trace>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그냥 무시하고 계속 실행하면 됩니다. 하지만, 번번이 뜨는 것이 귀찮으므로 다음 화면처럼 "Break when this exception type is user-unhandled" 옵션을 끄면 됩니다.

winui3_app_3.png

이후로 계속 다음의 오류도 뜰 수 있는데 역시 무시하시면 결국 실행까지 됩니다.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HResult=0x80070000
  Message=The operation completed successfully. (0x80070000)
  Source=System.Private.CoreLib
  StackTrace:
   at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ThrowExceptionForHR(Int32 errorCode) in /_/src/libraries/System.Private.CoreLib/src/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cs:line 601
   at WinRT.DllModule..ctor(String fileName)
   at WinRT.DllModule.Load(String fileName)
   at WinRT.BaseActivationFactory..ctor(String typeNamespace, String typeFullName)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HResult=0x8007007E
  Message=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0x8007007E)
  Source=System.Private.CoreLib
  StackTrace:
   at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ThrowExceptionForHR(Int32 errorCode) in /_/src/libraries/System.Private.CoreLib/src/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cs:line 601
   at WinRT.DllModule..ctor(String fileName)
   at WinRT.DllModule.Load(String fileName)
   at WinRT.BaseActivationFactory..ctor(String typeNamespace, String typeFullNam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01-12 10시31분
Short history of all Windows UI frameworks and libraries
; https://www.irrlicht3d.org/index.php?t=1626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48정성태9/8/201527434VS.NET IDE: 103. Visual Studio의 Ctrl + F5 실행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847정성태9/8/201523489VS.NET IDE: 102. 목록(List) 타입의 값을 디버깅 중 Watch 창에서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46정성태9/8/201520860오류 유형: 306. "query user" 명령어에 공백 문자가 포함된 계정을 전달하는 경우
10845정성태9/3/201521950오류 유형: 305.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
10844정성태9/2/201523158.NET Framework: 528. C# - 상호 참조하는 경우의 정적 생성자 동작 방식 [4]파일 다운로드1
10843정성태9/1/201523905VS.NET IDE: 101. Visual Studio 2015의 솔루션 탐색기가 클래스 뷰 정보로 인해 느려지는 현상
10842정성태9/1/201520915.NET Framework: 52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세 번째 이야기
10841정성태8/31/201530234개발 환경 구성: 276. Visual Studio 2013에서 C# 6과 닷넷 4.6 기능을 사용하려면?
10839정성태8/22/201528805Windows: 112. 윈도우 10에서 터치 키보드를 안 뜨게 할 수 있는 방법 [4]
10838정성태8/22/201539093오류 유형: 304. Windows 10에서 VPN 연결이 실패한다면? [3]
10837정성태8/21/201519374오류 유형: 303. Your computer is low on memory. Save your files and close these programs...
10836정성태8/21/201520347오류 유형: 302. 설치 파일 실행 시 "This app can't run on your PC" 오류가 뜬다면?
10835정성태8/21/201528830웹: 31. Microsoft Edge 브라우저를 명령행에서 띄우는 방법 [1]
10834정성태8/19/201520964.NET Framework: 526. 닷넷 - 값 형식을 new 없이 생성하면 0으로 초기화되지 않는다?
10833정성태8/18/201525606.NET Framework: 525. C# - 닷넷에서 프로세스가 열고 있는 파일 목록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832정성태8/17/201529978디버깅 기술: 74. x64 콜 스택 인자 추적과 windbg의 Child-SP, RetAddr, Args to Child 값 확인 [8]파일 다운로드2
10831정성태8/13/201529958.NET Framework: 524. .NET 4.0과 .NET 4.5의 컴파일 결과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0830정성태8/12/201523982개발 환경 구성: 275. Web.config이 적용되지 않는 프로젝트에서 Razor 템플릿 파일의 C# 컴파일러 버전 제어 [1]
10829정성태8/10/201526081개발 환경 구성: 274. PowerShell/명령행에서 JDK/JRE를 무인(unattended)/자동 설치를 하는 방법 [3]
10828정성태8/10/201531654웹: 30. Edge 브라우저에서 "이 웹 사이트에는 Internet Explorer가 필요함" 단계를 없애는 방법 [1]
10827정성태7/8/201533017개발 환경 구성: 273. Visual Studio 2015에서 Github와 연동하는 방법 [3]
10826정성태7/8/201522638오류 유형: 301.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 두 번째 이야기
10825정성태7/8/201522200개발 환경 구성: 272. Visual Studio IDE 설치 없이 Visual Studio SDK 설치하는 방법
10824정성태7/7/201527401개발 환경 구성: 271. Team Foundation Server 2015 설치 방법 [1]
10823정성태7/7/201527926오류 유형: 300. SqlException (0x80131904): Unable to open the physical file
10822정성태7/7/201527280오류 유형: 299. The 'Visual C++ Project System 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