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02. .NET Conf Mini 21.08 - WinUI 3 따라해 보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39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ET Conf Mini 21.08 - WinUI 3 따라해 보기

마침 .NET Conf에서 정세일 님의 강좌도 있고 하니, ^^

.NET Conf Mini 21.08 - WinUI 3 소개
; https://www.youtube.com/watch?v=i9zw6x6zQLI&t=205s

자, 그럼 따라 해 봅시다. ^^

우선, Microsoft Store에서 여러 가지 컨트롤 사용 예제를 제공하므로 다운로드하고,

Micorosoft Store - WinUI 3 Controls Gallery
; https://www.microsoft.com/en-us/p/winui-3-controls-gallery/9p3jfpwwdzrc

그다음, Visual Studio 2019의 "Extensions" / "Manage Extensions" 메뉴를 선택해 다음의 2가지 확장을 추가합니다.

  • Project Reunion
  • Windows Template Studio

전자의 것만 추가하면 새 프로젝트에 "Blank App, Packaged (WinUI 3 in Desktop)" 템플릿이 보이고, 후자의 것도 함께 추가하면 "App, Packaged (WinUI 3 in Desktop)" 템플릿까지 보일 것입니다.

강의에서는 "App (WinUI 3 in Desktop)" 템플릿으로 다음의 설정과 함께 시작하는데,

프로젝트 유형: MenuBar
Design Pattern: MVVM Toolkit
페이지: Settings, WebView, Content Grid
기능: MSIX Packaging

저는 그냥 "Blank App, Packaged (WinUI 3 in Desktop)" 템플릿을 선택하겠습니다. 아래 화면은, 기본 구조의 솔루션 탐색기 상태와 실행 모습을 보여줍니다.

winui3_app_1.png

특이한 것은, "시작 프로젝트" 설정이 "App1"이 아니라 "App1 (Package)"라는 점인데요, 만약 "Set as Startup Project" 메뉴를 이용해 "App1" 프로젝트로 설정을 바꾸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DllNotFoundException: 'Unable to load DLL 'Microsoft.UI.Xaml.dll'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0x8007007E)'

그러니까, 꼭 "... (Package)" 프로젝트로 Run/Debug 실행을 해야 합니다.




이 상태에서 App.xaml과 MainWindow.xaml을 보면 WPF 응용 프로그램과 거의 다를 바가 없습니다.

<Application
    x:Class="App1.App"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mlns:local="using:App1">
    <Application.Resources>
        <ResourceDictionary>
            <ResourceDictionary.MergedDictionaries>
                <XamlControlsResources xmlns="using:Microsoft.UI.Xaml.Controls" />
                <!-- Other merged dictionaries here -->
            </ResourceDictionary.MergedDictionaries>
            <!-- Other app resources here -->
        </ResourceDictionary>
    </Application.Resources>
</Application>

<Window
    x:Class="App1.MainWindow"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mlns:local="using:App1"
    xmlns:d="http://schemas.microsoft.com/expression/blend/2008"
    xmlns:mc="http://schemas.openxmlformats.org/markup-compatibility/2006"
    mc:Ignorable="d">

    <StackPanel Orientation="Horizontal" HorizontalAlignment="Center" VerticalAlignment="Center">
        <Button x:Name="myButton" Click="myButton_Click">Click Me</Button>
    </StackPanel>
</Window>

단지, 이렇게 만든 WinUI 앱은 Windows 10 1809 이상의 버전에서만 동작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자, 그럼 강의에서처럼 "Microsoft.Graphics.Win2D" 라이브러리를 설치해 주고,

Install-Package Microsoft.Graphics.Win2D

도움말에 따라,

Introduction
; https://microsoft.github.io/Win2D/WinUI3/html/Introduction.htm

CanvasControl Class
; https://microsoft.github.io/Win2D/WinUI3/html/T_Microsoft_Graphics_Canvas_UI_Xaml_CanvasControl.htm

CanvasControl과 함께,

<Window
    x:Class="App1.MainWindow"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mlns:local="using:App1"
    xmlns:d="http://schemas.microsoft.com/expression/blend/2008"
    xmlns:mc="http://schemas.openxmlformats.org/markup-compatibility/2006"
    xmlns:canvas="using:Microsoft.Graphics.Canvas.UI.Xaml"
    mc:Ignorable="d">

    <!--<StackPanel Orientation="Horizontal" HorizontalAlignment="Center" VerticalAlignment="Center">
        <Button x:Name="myButton" Click="myButton_Click">Click Me</Button>
    </StackPanel>-->
    
    <Grid>
        <canvas:CanvasControl x:Name="canvas" Draw="canvas_Draw" ClearColor="CornflowerBlue"  />
    </Grid>
</Window>

코드도 함께 추가합니다.

private void myButton_Click(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 myButton.Content = "Clicked";
}

private void canvas_Draw(Microsoft.Graphics.Canvas.UI.Xaml.CanvasControl sender, Microsoft.Graphics.Canvas.UI.Xaml.CanvasDrawEventArgs args)
{
    var g = args.DrawingSession;

    g.DrawEllipse(155, 115, 80, 30, Colors.Black, 3);
    g.DrawText("Hello, world!", 100, 100, Colors.Yellow);
}

이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winui3_app_2.png

거의 WPF 경험을 유사하게 가져갈 수가 있군요. ^^




Microsoft.Graphics.Win2D 참조 추가 후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System.DllNotFoundException
  HResult=0x80131524
  Message=Unable to load DLL 'Microsoft.Graphics.Canvas.UI.Xaml.dll'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0x8007007E)
  Source=<Cannot evaluate the exception source>
  StackTrace:
<Cannot evaluate the exception stack trace>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그냥 무시하고 계속 실행하면 됩니다. 하지만, 번번이 뜨는 것이 귀찮으므로 다음 화면처럼 "Break when this exception type is user-unhandled" 옵션을 끄면 됩니다.

winui3_app_3.png

이후로 계속 다음의 오류도 뜰 수 있는데 역시 무시하시면 결국 실행까지 됩니다.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HResult=0x80070000
  Message=The operation completed successfully. (0x80070000)
  Source=System.Private.CoreLib
  StackTrace:
   at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ThrowExceptionForHR(Int32 errorCode) in /_/src/libraries/System.Private.CoreLib/src/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cs:line 601
   at WinRT.DllModule..ctor(String fileName)
   at WinRT.DllModule.Load(String fileName)
   at WinRT.BaseActivationFactory..ctor(String typeNamespace, String typeFullName)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HResult=0x8007007E
  Message=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0x8007007E)
  Source=System.Private.CoreLib
  StackTrace:
   at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ThrowExceptionForHR(Int32 errorCode) in /_/src/libraries/System.Private.CoreLib/src/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cs:line 601
   at WinRT.DllModule..ctor(String fileName)
   at WinRT.DllModule.Load(String fileName)
   at WinRT.BaseActivationFactory..ctor(String typeNamespace, String typeFullNam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01-12 10시31분
Short history of all Windows UI frameworks and libraries
; https://www.irrlicht3d.org/index.php?t=1626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27정성태4/13/200617385Team Foundation Server: 2. TFS 빌드 오류 유형 - MSBUILD: warning : Specified cast is not valid
226정성태4/13/200615389Team Foundation Server: 1. TFS 오류 유형 - TF50608: Unable to retrieve information for security object
225정성태10/17/200614920.NET Framework: 67. VS.NET 2005 도구 상자에 있는 Workflow Activity 항목의 아이콘 변경
223정성태4/13/200626214.NET Framework: 66. Microsoft .NET Framework 2.0 Configuration 수동 설치파일 다운로드1
224정성태4/13/200619766    답변글 .NET Framework: 66.1. "Microsoft .NET Framework 2.0 Configuration" MSI 설치 파일 버전파일 다운로드1
222정성태4/13/200618780.NET Framework: 65. VS.NET 2005: 파일 기반 웹 프로젝트의 "Virtual Path" 제거
220정성태4/13/200616493.NET Framework: 64. ClickOnce - 배포 시 오류 : "Error: An unexpected error occurred -- The parameter is incorrect."
219정성태4/13/200631317.NET Framework: 63. ClickOnce - 최초 실행 시 보안 경고창 없애는 방법 [1]
216정성태4/13/200618350스크립트: 8. 3월 1일 ActiveX Patch 적용 후, JS 로 수정한 임베딩 컨트롤이 여전히 비활성화 되는 문제 [2]
215정성태4/13/200619693.NET Framework: 62. ASP.NET 웹 컨트롤 렌더링 가로채기
214정성태4/13/200619043.NET Framework: 61. DateTime - DateTime = 사이의 "Month" 수 계산 [2]
213정성태4/13/200621294.NET Framework: 60. localhost 이외의 컴퓨터에서 asmx 테스트 페이지 호출 [1]
218정성태4/13/200619660    답변글 .NET Framework: 60.1. asmx 테스트 페이지를 보여주고 싶지 않을 때
211정성태4/13/200617541VS.NET IDE: 38. VS.NET 2005 - "Export Template" 메뉴
210정성태4/13/200617055.NET Framework: 59. EXE 참조 가능 - VS.NET 2005 [2]
209정성태4/13/200616488스크립트: 7. 4월 12일 ActiveX 패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 [6]파일 다운로드1
208정성태10/21/200616255Windows: 1. 성태도 ^^ Vista 설치 해봤습니다.
212정성태10/20/200615788    답변글 Windows: 1.1. Vista 에서 WinFX 런타임 구동
207정성태4/13/200624821VC++: 23. VC++ RGS 파일에 사용자 정의 파라미터 추가
205정성태4/13/200621884VS.NET IDE: 37. devenv.exe를 이용한 Command Line 컴파일 [1]
204정성태5/8/200617048웹: 2. Server Unavailable - Server Application Unavailable
203정성태4/13/200615926웹: 1. IIS 설정 옵션: Verify(Check) that file exists
202정성태4/13/200615637VS.NET IDE: 36. Automatically synchronize with an Internet time server
201정성태4/13/200618704기타: 12. XMLHTTP Failure and SUS Admin
200정성태4/13/200618073.NET Framework: 58. 웹 서비스 메서드 호출 오류 유형 - text/html; charset=xxx, but expected 'text/xml'
199정성태4/13/200619411스크립트: 6. XHTML or HTML 4.01 표준 준수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