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10. C# 11 -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추상 메서드 정의 가능 (DIM for Static Members)
; https://www.sysnet.pe.kr/2/0/12814

.NET Framework: 1118. C# 11 - 제네릭 타입의 특성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2839

.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015

.NET Framework: 2025.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raw string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85

.NET Framework: 2026.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
; https://www.sysnet.pe.kr/2/0/13086

.NET Framework: 2030.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 https://www.sysnet.pe.kr/2/0/13096

.NET Framework: 2031.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
; https://www.sysnet.pe.kr/2/0/13099

.NET Framework: 2032.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Relaxing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00

.NET Framework: 2035.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
; https://www.sysnet.pe.kr/2/0/13110

.NET Framework: 2036. C# 11 - IntPtr/UIntPtr과 nint/nuint의 통합
; https://www.sysnet.pe.kr/2/0/13111

.NET Framework: 2037. C# 11 - 목록 패턴(List patterns)
; https://www.sysnet.pe.kr/2/0/13112

.NET Framework: 2038.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 https://www.sysnet.pe.kr/2/0/13113

.NET Framework: 2042.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File-local types)
; https://www.sysnet.pe.kr/2/0/13117

.NET Framework: 2045.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3122

.NET Framework: 2046.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123

.NET Framework: 2048.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auto-default structs)
; https://www.sysnet.pe.kr/2/0/13125

.NET Framework: 2049.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3126

.NET Framework: 2102. C# 11 - ref struct/ref field를 위해 새롭게 도입된 scoped 예약어
; https://www.sysnet.pe.kr/2/0/13276




C# 11 -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추상 메서드 정의 가능 (DIM for Static Members)

(2022-07-12 업데이트) 이 기능은 C# 11에 포함될 예정이고, .NET 7 환경을 필요로 합니다.




앞서 C# 8부터 기본 인터페이스 메서드가 추가되었습니다. 즉, 다음과 같이 인터페이스의 구현이 가능해졌고,

public interface IMessage
{
    public static int None = 0; // 정적 메서드/필드 가능

    public static int Any { get; } // 속성(및 이벤트)도 결국 메서드이므로.

    public void WriteLog(string text) => Console.WriteLine(text); // 인스턴스 메서드 가능
}

이를 지원하는 런타임은 (.NET Framework은 안 되고) .NET Core 3.0부터입니다.




그동안, 인터페이스는 내부에 명세한 "인스턴스 멤버"에 대해서는 하위 클래스에서 그것을 구현하도록 강제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반면, 정적 메서드에 대해서는 이것이 불가능했는데요, 실제로 위의 코드에서 정적 속성 Any를 IMessage를 구현한 하위 클래스에서 구현 코드를 제공하도록 강제할 방법이 없습니다.

바로 이것을 지원하기 위해 새롭게 다음의 문법이 추가되었고,

Static abstract members in interfaces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blob/main/proposals/static-abstracts-in-interfaces.md

따라서, 정적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에서 구현하도록 abstract 예약어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강제할 수 있습니다.

public interface IMessage
{
    public static int None = 0;

    // C# 10 이전에는 컴파일 오류 발생
    // error CS0112: A static member 'IMessage<T>.Any' cannot be marked as override, virtual, or abstract
    public static abstract int Any { get; }

    static abstract void All();
}

public class Message : IMessage
{
    public static int Any => 5;

    public static void All()
    {
        Console.WriteLine("All called");
    }

    public Message()
    {
    }
}

즉, 이제는 인스턴스 메서드뿐만 아니라 정적 메서드까지도 하위 클래스에서의 구현을 강제할 수 있게 되었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렇다고 해서 클래스 수준의 "다형성"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사용 시에는 단순히 해당 정적 멤버가 구현된 클래스 이름을 특정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 컴파일 오류 발생
// error CS8926: A static abstract interface member can be accessed only on a type parameter.
// Console.WriteLine(IMessage.Any);

Console.WriteLine(Message.Any);




사실, default interface method 정도는 자바로부터의,

// 자바 코드
interface ITest {
    public static int Version = 5;

    public default void Log() {
        System.out.println("Log");
    }
}

이식성을 높이기 위함이라는 정도로 이해해 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추상 정적 메서드를 interface에 넣어 도대체 어디다 쓰려고 그러는 것일까요? ^^ 대개의 경우 이런 특이한 기능은, 마이크로소프트가 필요했다고 보면 됩니다. 실제로, 이것은 이전에 소개한 INumber<T>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NET 6 Preview 7에 추가된 숫자 형식에 대한 제네릭 연산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2785

위의 글에 실어 놓았던 코드를 다시 보면,

public static T 합계<T>(this IEnumerable<T> arg) where T : INumber<T>
{
    T sum = T.Zero;

    foreach (T item in arg)
    {
        sum = sum + item;
    }

    return sum;
}

public static TResult 산술평균<T, TResult>(this IEnumerable<T> arg) where T : INumber<T>
    where TResult : INumber<TResult>
{
    return TResult.Create(arg.합계()) / TResult.Create(arg.Count());
}

바로 저 코드들이 INumber<T>의 abstract static 메서드였던 것입니다. 저렇게 보니, 정말 유용한 기능이긴 합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아래는 문서에 나온 몇 가지 메서드 유형을 예제로 나열한 것입니다.

interface IMy
{
    static abstract void M();
    static abstract IMy P { get; set; }
    static abstract event Action E;
    static abstract IMy operator +(IMy l, IMy r);
    static abstract bool operator ==(IMy l, IMy r);
    static abstract bool operator !=(IMy l, IMy r);

    // error CS0552: 'IMy.implicit operator IMy(string)': user-defined conversions to or from an interface are not allowed
    // static abstract implicit operator IMy(string s);

    // error CS0552: 'IMy.implicit operator string(IMy)': user-defined conversions to or from an interface are not allowed
    // static abstract implicit operator string(IMy s);

    static abstract bool operator !(IMy l);
}

interface IYour<T>
{
    static abstract void M();
    static abstract T P { get; set; }
    static abstract event Action E;

    // error CS8924: One of the parameters of a binary operator must be the containing type, or its type parameter constrained to it.
    // static abstract T operator +(T l, T r);

    // error CS8924: One of the parameters of a binary operator must be the containing type, or its type parameter constrained to it.
    // static abstract bool operator ==(T l, T r);

    // error CS8924: One of the parameters of a binary operator must be the containing type, or its type parameter constrained to it.
    // static abstract bool operator !=(T l, T r);

    // error CS8931: User-defined conversion in an interface must convert to or from a type parameter on the enclosing type constrained to the enclosing type
    // static abstract implicit operator T(string s);

    //  error CS8931: User-defined conversion in an interface must convert to or from a type parameter on the enclosing type constrained to the enclosing type
    // static abstract explicit operator string(T t);

    // error CS8921: The parameter of a unary operator must be the containing type, or its type parameter constrained to it.
    // static abstract bool operator !(T l);
}

interface ITheir<T> where T: ITheir<T>
{
    static abstract void M();
    static abstract T P { get; set; }
    static abstract T operator +(T l, T r);
    static abstract implicit operator T(string s);
    static abstract explicit operator string(T t);

    static abstract bool operator !(T l);
}

public class TheirClass : ITheir<TheirClass>
{
    public static TheirClass P { get => throw new NotImplementedException(); 
                                set => throw new NotImplementedException(); }

    public static void M() { }

    public static TheirClass operator +(TheirClass l, TheirClass r) => throw new NotImplementedException();
    public static implicit operator TheirClass(string s) => throw new NotImplementedException();
    public static explicit operator string(TheirClass t) => "type";
    public static bool operator !(TheirClass l) => true;
}

class YourClass<T> where T : ITheir<T>
{
    object Method()
    {
        return T.P;
    }
}




C# 11 -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추상 메서드 정의 가능(공식 문서, Static Abstract Members In Interfaces C# 10 Preview)
; https://www.sysnet.pe.kr/2/0/12814

C# 11 - 제네릭 타입의 특성 적용 (공식 문서, Generic attributes)
; https://www.sysnet.pe.kr/2/0/12839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 (공식 문서, Checked user-defined operators)
; https://www.sysnet.pe.kr/2/0/13099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공식 문서, Relaxing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00

C# 11 - IntPtr/UIntPtr과 nint/unint의 통합 (공식 문서, Numeric IntPtr)
; https://www.sysnet.pe.kr/2/0/13111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 (공식 문서, Unsigned right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10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 (공식 문서, raw string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85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 (공식 문서, Allow new-lines in all interpolations)
; https://www.sysnet.pe.kr/2/0/13086

C# 11 - 목록 패턴 (공식 문서, List patterns)
; https://www.sysnet.pe.kr/2/0/13112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공식 문서,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 https://www.sysnet.pe.kr/2/0/13113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지원 (공식 문서, Utf8 Strings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96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공식 문서, ref fields)
; https://www.sysnet.pe.kr/2/0/13015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공식 문서, File-local types)
; https://www.sysnet.pe.kr/2/0/13117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 (공식 문서, nameof(parameter))
; https://www.sysnet.pe.kr/2/0/13122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 (공식 문서, Required members)
; https://www.sysnet.pe.kr/2/0/13123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 (공식 문서, auto-default structs)
; https://www.sysnet.pe.kr/2/0/13125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공식 문서, Cache delegates for static method group)
; https://www.sysnet.pe.kr/2/0/13126

Language Feature Status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in/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9-23 11시18분
정성태
2023-04-10 01시11분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93정성태10/28/20245149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4642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4902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4621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4916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4459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4978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3786정성태10/26/20245218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4985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5256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4862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3782정성태10/23/20244622Linux: 93. Ubuntu 22.04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81정성태10/22/20244802오류 유형: 930. WSL + eBPF: modprobe: FATAL: Module kheaders not found in directory
13780정성태10/22/20245554Linux: 92. WSL 2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79정성태10/22/20244847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13778정성태10/21/20245673C/C++: 181. C/C++ - 소스코드 파일의 인코딩, 바이너리 모듈 상태의 인코딩
13777정성태10/20/20244954Windows: 265. Win32 API의 W(유니코드) 버전은 UCS-2일까요? UTF-16 인코딩일까요?
13776정성태10/19/20245271C/C++: 180. C++ - 고수준 FILE I/O 함수에서의 Unicode stream 모드(_O_WTEXT, _O_U16TEXT, _O_U8TEXT)파일 다운로드1
13775정성태10/19/20245492개발 환경 구성: 728.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13774정성태10/18/20245197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13773정성태10/18/20244883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13772정성태10/17/20245161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13771정성태10/17/20245066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13770정성태10/17/20245341Linux: 87. ps + grep 조합에서 grep 명령어를 사용한 프로세스를 출력에서 제거하는 방법
13769정성태10/15/20246120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768정성태10/15/20245397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