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SL 2 - docker-desktop-data, docker-desktop (%LOCALAPPDATA%\Docker\wsl\data\ext4.vhdx) 파일을 다른 디렉터리로 옮기는 방법

Docker Desktop이 사용하는 리눅스 인스턴스는 원래 Hyper-V의 "DockerDesktopVM"에서 호스팅되므로 만약 해당 vhdx의 파일 크기가 커져 C 드라이브에 있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Hyper-V 레벨에서 변경만 해주면 됩니다.

하지만, "Use the WSL 2 based engine" 옵션을 켜면 Hyper-V가 아닌 별도의 vhdx로 빠져 WSL 2 인스턴스와 연동이 됩니다. 실제로 WSL 2로 활성화하면 다음과 같이 docker-desktop-data, docker-desktop 항목이 생성됩니다. (2024-11-11 업데이트: Docker Desktop 4.3부터 docker-desktop-data는 더 이상 신규 생성을 하지 않습니다.)

C:\temp> wsl -l -v
  NAME                   STATE           VERSION
* Ubuntu20.04            Running         2
  docker-desktop-data    Stopped         2
  docker-desktop         Stopped         2

현재 Stopped로 나오는데요, 왜냐하면 "Docker Desktop"을 실행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걸 실행시킨 후에 다시 확인하면,

C:\temp> wsl -l -v
  NAME                   STATE           VERSION
* Ubuntu20.04            Running         2
  docker-desktop-data    Running         2
  docker-desktop         Running         2

Running으로 나오고, WSL 2 backend로 지정된 인스턴스(위의 경우 Ubuntu20.04)는 이렇게 /mnt/wsl로 추가 마운팅이 이뤄집니다.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sdb       263174212   5592496 244143560   3% /
tmpfs           13092504    410040  12682464   4% /mnt/wsl
tools          248984568 223661284  25323284  90% /init
...[생략]...
/dev/sdd       263174212   8056920 241679136   4% /mnt/wsl/docker-desktop-data/isocache
none            13092504        12  13092492   1% /mnt/wsl/docker-desktop/shared-sockets/host-services
/dev/sdc       263174212    134176 249601880   1% /mnt/wsl/docker-desktop/docker-desktop-proxy
/dev/loop0        404596    404596         0 100% /mnt/wsl/docker-desktop/cli-tools

참고로, "Docker Desktop"이 실행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마운팅 결과가 나옵니다.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sdb       263174212   5591704 244144352   3% /
tmpfs           13092504         0  13092504   0% /mnt/wsl
tools          248984568 223664044  25320524  90% /init
...[생략]...




docker-desktop 볼륨의 물리적인 파일 위치는 "%LOCALAPPDATA%\Docker\wsl\data\ext4.vhdx"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docker 운영이 커질수록 이 파일의 크기는 그에 맞게 증가합니다. 문제는, docker-desktop-data와 docker-desktop의 크기가 무시 못 할 정도로 커질 수 있는데요, 가령 제 경우에는 8GB까지 육박했습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C 드라이브에 8GB를 점유하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있는데요, 다행히 ext4.vhdx 파일을 다른 드라이브로 옮길 수 있는 방법이 있고 이에 대해서는 전에 한 번 설명했던 것과 같습니다.

WSL 인스턴스 export/import 방법 및 단축 아이콘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69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wsl --shutdown
wsl --export docker-desktop-data e:\temp\docker-desktop-data.tar
wsl --unregister docker-desktop-data
wsl --import docker-desktop-data e:\wsl2\data e:\temp\docker-desktop-data.tar --version 2

del e:\temp\docker-desktop-data.tar

위와 같이 실행하면 "%LOCALAPPDATA%\Docker\wsl\data"에 있던 ext4.vhdx 파일이 e:\wsl2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docker-desktop 인스턴스의 경우 용량은 작지만 그래도 일관성을 위해 함께 이전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

wsl --export docker-desktop e:\temp\docker-desktop.tar
wsl --unregister docker-desktop
wsl --import docker-desktop e:\wsl2\docker e:\temp\docker-desktop.tar --version 2

이렇게 되면 (제 경우에) 8GB가 C 드라이브에 확보가 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16정성태3/9/201631789.NET Framework: 557. 머신 바이트 배열로부터 역어셈블해주는 라이브러리 - Udis86 Assembler파일 다운로드2
10915정성태3/9/201625891오류 유형: 323. FatalExecutionEngineError was detected
10914정성태3/8/201629182오류 유형: 322. 정적 라이브러리 참조 시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 referenced in function" 오류 발생파일 다운로드1
10913정성태3/7/201628717.NET Framework: 556. C#으로 다루는 MBR(Master Boot Record) [9]파일 다운로드1
10912정성태3/2/201624092.NET Framework: 555. List<T>의 Resize 메서드 구현 [2]파일 다운로드1
10911정성태2/29/201628282Math: 15. 그래프 그리기로 알아보는 뉴턴-랩슨(Newton-Raphson's method)법과 제곱근 구하기 - C#파일 다운로드1
10910정성태2/29/201630648Math: 14. HTML에서 수학 관련 기호/수식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 - MathJax.js - 두 번째 이야기 [5]
10909정성태2/25/201628987기타: 56. ETW provider 목록 [3]
10908정성태2/25/201624920기타: 55. ETW man 파일 목록
10907정성태2/24/201624788.NET Framework: 554. 인터프리터 - 재귀적 하향 구문 분석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906정성태2/24/201621485.NET Framework: 553. C# 관리 코드에서 IMetaDataDispenserEx, IMetaDataImport 관련 인터페이스를 얻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905정성태2/24/201625281오류 유형: 321. Hyper-V The operation failed with error code '32791'.
10904정성태2/23/201623420.NET Framework: 552. 인터프리터 - 역폴란드 표기법을 이용한 식의 분석 -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903정성태2/22/201623699.NET Framework: 551. 인터프리터 어휘 분석 프로그램 -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902정성태2/22/201623963.NET Framework: 550. GetFunctionPointer 호출 시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예외 발생
10901정성태2/20/201627686.NET Framework: 549. ContextBoundObject 상속 클래스와 System.Reflection.ReflectionTypeLoadException 예외 [4]파일 다운로드1
10900정성태2/19/201626441.NET Framework: 548. Linq는 결국 메서드 호출! [3]파일 다운로드1
10899정성태2/17/201627603개발 환경 구성: 282. kernel32.dll, kernel32legacy.dll, api-ms-win-core-sysinfo-l1-2-0.dll [1]
10898정성태2/17/201625611.NET Framework: 547. PerformanceCounter의 InstanceName 지정 시 주의 사항파일 다운로드1
10897정성태2/17/201625516디버깅 기술: 76. windbg 분석 사례 - 닷넷 프로파일러의 GC 콜백 부하
10896정성태2/17/201625539오류 유형: 320. FATAL: 28000: no pg_hba.conf entry for host "fe80::1970:8120:695:a41e%12"
10895정성태2/17/201624505.NET Framework: 546. System.AppDomain으로부터 .NET Profiler의 AppDomainID 구하는 방법 [1]
10894정성태2/17/201624162오류 유형: 319. Visual Studio에서 찾기는 성공하지만 해당 소스 코드 정보가 보이지 않는 경우
10893정성태2/16/201623652.NET Framework: 545. 닷넷 - 특정 클래스가 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까? - 두 번째 이야기
10892정성태2/16/201623682오류 유형: 318. 탐색기에서 폴더 생성/삭제 시 몇 초 동안 멈추는 현상
10891정성태2/16/201627680VC++: 95. 내 CPU가 MPX/SGX를 지원할까요?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