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12. C# - .NET 6부터 공개된 ISpanFormattable 사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66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759. C# - System.Span<T> 성능
; https://www.sysnet.pe.kr/2/0/11535

.NET Framework: 768. BenchmarkDotNet으로 Span<T> 성능 측정
; https://www.sysnet.pe.kr/2/0/11550

.NET Framework: 995. C# - Span<T>와 Memory<T>
; https://www.sysnet.pe.kr/2/0/12475

.NET Framework: 1002. C# - ReadOnlySequence<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484

.NET Framework: 1112. C# - .NET 6부터 공개된 ISpanFormattable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821




C# - .NET 6부터 공개된 ISpanFormattable 사용법

ISpanFormattable 인터페이스는,

ISpanFormattable Interface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ispanformattable

.NET Repo의 commit 시기로 봤을 때 .NET Core 2.1부터 포함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동안 internal 접근 상태였다가 .NET 6부터 public으로 풀렸습니다. 이 인터페이스를 보면, 마이크로소프트가 .NET Core의 기본적인 힙 메모리 사용을 얼마나 줄이고 싶어 하는지 느낄 수 있습니다. (어찌 보면, 광적이라는 표현이 적합할지도 모릅니다. ^^;)

이것저것 설명 말고 코드 먼저 보는 게 좋겠죠? ^^ 다음은 ISpanFormattable을 상속한 구조체의 코드로 내부 코드는 .NET Core 6의 구현을 가져와서 대충(가령 음수나 format/provider 처리 없이) 씌워본 것입니다.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Person p = new Person { Age = 25 };

int written = 0;
Span<char> buffer = stackalloc char[100];
p.TryFormat(buffer, out written, null, null); // buffer에 Person 인스턴스의 ToString에 준하는 문자열이 포함됨

public struct Person : ISpanFormattable
{
    public int Age;

    public override string ToString()
    {
        return ToString(null, null);
    }

    public string ToString(string? format, IFormatProvider? formatProvider)
    {
        if (format == null)
        {
            return Age.ToString();
        }

        return string.Format(formatProvider, format, Age);
    }

    public unsafe bool TryFormat(Span<char> destination, out int charsWritten, ReadOnlySpan<char> format, IFormatProvider? provider)
    {
        return TryFormatInt32(this.Age, -1, format, provider, destination, out charsWritten);
    }

    public static bool TryFormatInt32(int value, int hexMask, ReadOnlySpan<char> format, IFormatProvider? provider, Span<char> destination, out int charsWritten)
    {
        return TryUInt32ToDecStr((uint)value, -1, destination, out charsWritten);
    }

    private unsafe static bool TryUInt32ToDecStr(uint value, int digits, Span<char> destination, out int charsWritten)
    {
        int num = Math.Max(digits, CountDigits(value));
        if (num > destination.Length)
        {
            charsWritten = 0;
            return false;
        }
        charsWritten = num;

        fixed (char* reference = &MemoryMarshal.GetReference<char>(destination))
        {
            char* ptr = reference;
            char* ptr2 = ptr + num;
            if (digits <= 1)
            {
                do
                {
                    ValueTuple<uint, uint> valueTuple = Math.DivRem(value, 10U);
                    value = valueTuple.Item1;
                    uint item = valueTuple.Item2;
                    *(--ptr2) = (char)(item + 48U);
                }
                while (value != 0U);
            }
            else
            {
                ptr2 = UInt32ToDecChars(ptr2, value, digits);
            }
        }
        return true;
    }

    internal unsafe static char* UInt32ToDecChars(char* bufferEnd, uint value, int digits)
    {
        while (--digits >= 0 || value != 0U)
        {
            ValueTuple<uint, uint> valueTuple = Math.DivRem(value, 10U);
            value = valueTuple.Item1;
            uint item = valueTuple.Item2;
            *(--bufferEnd) = (char)(item + 48U);
        }
        return bufferEnd;
    }

    public static int CountDigits(uint value)
    {
        int num = 1;
        if (value >= 100000U)
        {
            value /= 100000U;
            num += 5;
        }
        if (value >= 10U)
        {
            if (value < 100U)
            {
                num++;
            }
            else if (value < 1000U)
            {
                num += 2;
            }
            else if (value < 10000U)
            {
                num += 3;
            }
            else
            {
                num += 4;
            }
        }
        return num;
    }
}

코드에서 알 수 있듯이, ISpanFormattable은 주로 값 형식의 ToString에 대한 힙 할당 문제를 해결하는 목적으로 나온 것입니다. 사실 그동안 제네릭의 지원을 통해 대부분의 경우 박싱 문제를 없애 힙 할당을 많이 줄였지만, 의외로 많이 사용하면서 피해 갈 수 없는 것이 바로 ToString이었습니다. 즉, 다음과 같은 간단한 코드에서조차,

int value = 5;
Console.WriteLine(value);

내부적으로는 value.ToString을 호출해 System.String을 힙에 할당해 처리하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마이크로소프트는 위의 코드에서처럼 Span을 이용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것은 StringBuilder에 적용돼 기본 타입들에 대해 힙 할당 없이 값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public StringBuilder Append(int value) => AppendSpanFormattable(value);
public StringBuilder Append(long value) => AppendSpanFormattable(value);
public StringBuilder Append(float value) => AppendSpanFormattable(value);
public StringBuilder Append(double value) => AppendSpanFormattable(value);
public StringBuilder Append(decimal value) => AppendSpanFormattable(value);
public StringBuilder Append(ushort value) => AppendSpanFormattable(value);
public StringBuilder Append(uint value) => AppendSpanFormattable(value);

private StringBuilder AppendSpanFormattable<T>(T value) where T : ISpanFormattable
{
    if (value.TryFormat(RemainingCurrentChunk, out int charsWritten, format: default, provider: null))
    {
        m_ChunkLength += charsWritten;
        return this;
    }

    return Append(value.ToString());
}

private Span<char> RemainingCurrentChunk
{
    get => new Span<char>(m_ChunkChars, m_ChunkLength, m_ChunkChars.Length - m_ChunkLength);
}

하지만 아쉽게도 AppendSpanFormattable이 private이기 때문에 사용자 정의 값 형식에 대해서는 박싱이 발생합니다.

Person p = new Person { Age = 32 }; // 구조체 Perso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p); // 힙 할당 발생

만약, 위의 상황에서 힙 할당을 없애고 싶다면 멤버 단위로 풀어서 호출하는 식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Person p = new Person { Age = 32 }; // 구조체 Perso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p.Age); // 힙 할당 없음!




기타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ndrew Lock | .NET Escapades
; https://andrewlock.net/a-deep-dive-on-stringbuilder-part-2-appending-strings-built-in-types-and-lists/

그나저나, 저렇게 처리함으로써 코드는 점점 더 (무거워지고) 복잡해지는데, 과연 힙의 할당량을 줄이는 것이 얼마나 의미가 있길래... 저렇게까지 하는 걸까요? ^^ 종종 있는 ASP.NET Core/5+의 성능 증가 발표를 보면 아마도 저런 과한 노력의 덕분이지 않을까... 하는 예상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2정성태10/8/201139405.NET Framework: 244. 윈도우 폼을 열고 닫는 것만으로 메모리 leak이 발생할까? [2]파일 다운로드1
1141정성태10/7/201137730.NET Framework: 243. DataTable에 대해서 Dispose 메서드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까? [4]파일 다운로드1
1140정성태10/6/201131223.NET Framework: 242. 닷넷 개발자 입장에서 이해해 보는 자바의 서블릿, JSP
1138정성태10/1/201150359Java: 11. 웹 로직에서 MS-SQL 서버 연결 [2]
1137정성태9/30/201134031Java: 10. 닷넷 개발자가 설치해 본 Oracle WebLogic Server - 설치 및 기본 도메인 구성
1136정성태9/29/201129792개발 환경 구성: 131. Visual Studio - ASP.NET의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매크로 함수 [2]파일 다운로드1
1135정성태9/29/201126799오류 유형: 138. TF10216: Team Foundation services are currently unavailable
1134정성태9/27/201134363.NET Framework: 241. C# 5.0에 새로 추가된 Caller Info 특성 [5]
1133정성태9/25/201138130VC++: 54. C++로 만든 WinRT 프로그램 [2]
1132정성태9/24/201177768Java: 9. 자바의 keytool.exe 사용법과 Tomcat의 SSL 통신 설정
1131정성태9/23/201133551Java: 8. 닷넷 개발자가 구현해 본 자바 웹 서비스 (2)
1130정성태9/23/201141911Java: 7. 닷넷 개발자가 구현해 본 자바 웹 서비스 (1)파일 다운로드2
1129정성태9/22/201133489개발 환경 구성: 130. Hyper-V에 MS-DOS VM 만드는 방법 - MSDN 구독자 대상 [3]
1128정성태9/20/201133730오류 유형: 137. KB2449742 보안 업데이트로 인한 충돌 문제 해결 - 두 번째 이야기
1127정성태9/19/201137163Java: 6. Java에서 MySQL 사용 [2]
1126정성태9/18/201132398Math: 3. "유클리드 호제법"과 "Bezout's identity" 구현 코드(C#)파일 다운로드1
1125정성태9/17/201130176Windows: 54. Windows 8 개발자 Preview를 사용해 보고... [2]
1124정성태9/17/201130356.NET Framework: 240. System.Collections.ArrayList가 .NET 4.5에서 지원이 안된다??? [2]
1123정성태9/17/201169882Windows: 53. 2가지 모드의 Internet Explorer 10과 ActiveX [6]
1122정성태9/16/201137086Windows: 52. 새롭게 지원되는 WinRT 응용 프로그램 [7]
1121정성태9/12/201132421Java: 5. WTP 내에서 서블릿을 실행하는 환경
1120정성태9/11/201132175.NET Framework: 239. IHttpHandler.IsReusable 속성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19정성태9/11/201130520Java: 4. 이클립스에 WTP SDK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2]
1118정성태9/11/201143159Java: 3. 이클립스에서 서블릿 디버깅하는 방법 [4]
1117정성태9/9/201130013제니퍼 .NET: 17.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2) - 웹 애플리케이션 hang의 원인을 알려주다.
1116정성태9/8/201161193Java: 2. 자바에서 "Microsoft SQL Server JDBC Driver" 사용하는 방법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