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Entity Framework의 Join 사용 시 다중 칼럼에 대한 OR 조건 쿼리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군요.

안녕하세요! EntityFramework Linq 질문 드리겠습니다.
; https://www.sysnet.pe.kr/3/0/5558

간단하게 테스트를 위해 다음의 글을 참조해,

Tutorial: Get Started with Entity Framework 6 Code First using MVC 5
; https://docs.microsoft.com/en-us/aspnet/mvc/overview/getting-started/getting-started-with-ef-using-mvc/creating-an-entity-framework-data-model-for-an-asp-net-mvc-application

(위의 글은 EF를 사용했지만) Entity Framework Core를 이용한 콘솔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우선 .NET Core/5+ 프로젝트를 만들고 참조를 2개 추가합니다.

Install-Package Microsoft.EntityFrameworkCore
Install-Package Microsoft.EntityFrameworkCore.SqlServer

그다음 엔티티 타입으로 Student와 Book을 추가하고,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namespace ConsoleApp1
{
    public class Student
    {
        public int ID { get; set; }
        public string Name { get; set; }
        public int SubID { get; set; } // JOIN OR 테스트를 위한 칼럼 추가

        public virtual ICollection<Book> Enrollments { get; set; }
    }

    public class Book
    {
        public int ID { get; set; }
        public int StudentID { get; set; }
        public string Title { get; set; }
        public int SubID { get; set; } // JOIN OR 테스트를 위한 칼럼 추가
    }
}

DbContext를 이렇게 구성해 주면 됩니다.

using Microsoft.EntityFrameworkCore;

namespace ConsoleApp1
{
    public class SchoolContext : DbContext
    {

        public SchoolContext() : base()
        {
        }

        public DbSet<Student> Students { get; set; }
        public DbSet<Book> Books { get; set; }

        protected override void OnConfiguring(DbContextOptionsBuilder optionsBuilder)
        {
            base.OnConfiguring(optionsBuilder);

            string cs = "Data Source=.;Initial Catalog=ContosoUniversity1;Integrated Security=SSPI;";
            optionsBuilder.UseSqlServer(cs);
        }
    }
}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이 예제 데이터와 함께 DB를 생성하는 코드를 추가하면 준비가 완료됩니다. ^^

using Microsoft.EntityFrameworkCore;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hoolContext db = new SchoolContext();

            // EF 6는 https://www.entityframeworktutorial.net/code-first/database-initialization-strategy-in-code-first.aspx
            if (db.Database.CanConnect() == false)
            {
                db.Database.EnsureCreated();
                InsertSampleData(db);
            }
        }

        private static void InsertSampleData(SchoolContext context)
        {
            var students = new List<Student>
                       {
                           new Student{Name="Carson",SubID=1},
                           new Student{Name="Meredith",SubID=2},
                           new Student{Name="Arturo",SubID=3},
                           new Student{Name="Gytis",SubID=1},
                           new Student{Name="Yan",SubID=2},
                           new Student{Name="Peggy",SubID=3},
                           new Student{Name="Laura",SubID=1},
                           new Student{Name="Nino",SubID=2}
                       };

            students.ForEach(s => context.Students.Add(s));
            context.SaveChanges();
            var courses = new List<Book>
                       {
                           new Book{StudentID=1, Title="Book 1", SubID=1},
                           new Book{StudentID=1, Title="Book 1", SubID=1},
                           new Book{StudentID=1, Title="Book 1", SubID=2},
                           new Book{StudentID=2, Title="Book 2", SubID=2},
                           new Book{StudentID=2, Title="Book 2", SubID=3},
                           new Book{StudentID=2, Title="Book 2", SubID=3},
                           new Book{StudentID=3, Title="Book 3", SubID=4},
                           new Book{StudentID=4, Title="Book 4", SubID=4},
                           new Book{StudentID=4, Title="Book 4", SubID=5},
                           new Book{StudentID=5, Title="Book 5", SubID=5},
                           new Book{StudentID=6, Title="Book 6", SubID=6},
                           new Book{StudentID=7, Title="Book 7", SubID=6},
                       };
            courses.ForEach(s => context.Books.Add(s));
            context.SaveChanges();
        }

    }
}




자, 이제 본격적으로 INNER JOIN 테스트를 해볼까요? ^^ 다들 아시겠지만 기본적인 JOIN은 LINQ 쿼리로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
    var q = from s in db.Students
            join e in db.Books on s.ID equals e.StudentID
            select s;

    Console.WriteLine(q.ToQueryString());
}
/* 출력 결과
SELECT [s].[ID], [s].[Name], [s].[SubID]
FROM [Students] AS [s]
INNER JOIN [Books] AS [b] ON [s].[ID] = [b].[StudentID]     
*/

이 상태에서 JOIN의 AND 조건을 추가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on과 equals에 다중 AND 조건을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
    var q = from s in db.Students
            join e in db.Books on new { C1 = s.ID, C2 = s.SubID }
                           equals new { C1 = e.StudentID, C2 = e.SubID }
            select s;

    Console.WriteLine(q.ToQueryString());
}
/*
SELECT [s].[ID], [s].[Name], [s].[SubID]
FROM [Students] AS [s]
INNER JOIN [Books] AS [b] ON ([s].[ID] = [b].[StudentID]) AND ([s].[SubID] = [b].[SubID])
*/

그런데, "안녕하세요! EntityFramework Linq 질문 드리겠습니다." 질문 글에서는 JOIN에 대해 OR 조건을 추가하고 싶다는 것입니다. 아쉽게도 OR 조건을 직접 명시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하지만 가만 생각해 보면, INNER JOIN의 OR 조건 추가는 사실상 CROSS JOIN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LINQ 쿼리로 구현해도 동일한 resultset을 반환받게 됩니다.

{
    var q = from s in db.Students
            from e in db.Books
            where s.ID == e.StudentID || e.SubID == s.SubID
            select s;

    Console.WriteLine(q.ToQueryString());
}
/* 출력 결과
SELECT [s].[ID], [s].[Name], [s].[SubID]
FROM [Students] AS [s]
CROSS JOIN [Books] AS [b]
WHERE ([s].[ID] = [b].[StudentID]) OR ([b].[SubID] = [s].[SubID])
*/

실제로 위에서 출력한 SELECT 문과 다음의 SELECT 문은 완전히 동일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SELECT [s].[ID], [s].[Name], [s].[SubID]
FROM [Students] AS [s]
INNER JOIN [Books] AS [b] ON ([s].[ID] = [b].[StudentID]) OR ([b].[SubID] = s.SubID)

그나저나, 사실 저도 실무에서 CROSS JOIN을 이제껏 단 한 번도 써본 적이 없습니다. 아마도 LINQ 쿼리의 JOIN에 대한 OR 조건을 검색해 보면 거의 안 나온 이유가 저런 식의 (CROSS JOIN 결과를 낳는) INNER JOIN ... OR을 거의 쓰는 일이 없기 때문일 듯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8/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98정성태2/27/201120192Team Foundation Server: 42. TFS Application-Tier만 재설치
996정성태2/12/201137657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995정성태2/11/201156233.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4]
994정성태2/10/201136082디버깅 기술: 34.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1]
993정성태2/10/201128490개발 환경 구성: 107. 하나의 WPF 프로젝트를 WinExe / Library로 빌드하는 방법
992정성태10/15/201129345개발 환경 구성: 106. VSS(Volume Shadow Service)를 이용한 Hyper-V VM 백업/복원 [2]
991정성태2/6/201148767개발 환경 구성: 105.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4]
990정성태2/2/201133977개발 환경 구성: 104. Visual C++ Custom Build Tool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989정성태2/1/201130474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26609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39811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1208.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27905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2553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27577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4885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0770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2234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4975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1905.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1281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3866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28089.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26923.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26228.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972정성태1/7/201124253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