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6개 있습니다.)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이상하군요, 예전에는 standalone executable zip 파일이 제공돼 "msi" 설치를 하지 않고 압축 파일 해제만으로 파이썬을 사용할 수 있었던 것 같은데 이제는 찾을 수가 없군요. ^^;

python_standalone_zip_1.png

단지, "Windows embeddable package (64-bit)" 유형으로 zip 파일이 제공되는데요, 아쉽게도 이건 파이썬 응용 프로그램을 런타임과 함께 배포하고 싶은 경우 쓸 수 있는 형식이라 몇 가지 혼란스러운 점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pip가 없습니다. 할 수 없이 별도로 구성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get-pip.py 스크립트 파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D:\Python\Python39> curl https://bootstrap.pypa.io/get-pip.py -o get-pip.py
  % Total    % Received % Xferd  Average Speed   Time    Time     Time  Current
                                 Dload  Upload   Total   Spent    Left  Speed
100 2108k  100 2108k    0     0  2108k      0  0:00:01 --:--:--  0:00:01 6130k

D:\Python\Python39> python get-pip.py
Collecting pip
  Downloading pip-21.3.1-py3-none-any.whl (1.7 MB)
     |████████████████████████████████| 1.7 MB 6.8 MB/s
Collecting setuptools
  Downloading setuptools-59.4.0-py3-none-any.whl (952 kB)
     |████████████████████████████████| 952 kB ...
Collecting wheel
  Downloading wheel-0.37.0-py2.py3-none-any.whl (35 kB)
Installing collected packages: wheel, setuptools, pip
  WARNING: The script wheel.exe is installed in 'D:\Python\Python39\Scripts' which is not on PATH.
  Consider adding this directory to PATH or, if you prefer to suppress this warning, use --no-warn-script-location.
  WARNING: The scripts pip.exe, pip3.9.exe and pip3.exe are installed in 'D:\Python\Python39\Scripts' which is not on PATH.
  Consider adding this directory to PATH or, if you prefer to suppress this warning, use --no-warn-script-location.
Successfully installed pip-21.3.1 setuptools-59.4.0 wheel-0.37.0

그럼, pip.exe 관련 파일과 함께 Scripts, (site-packages를 담은) Lib 디렉터리가 생성됩니다.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오류가 발생합니다.

D:\Python\Python39> cd scripts

D:\Python\Python39\Scripts> pip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runpy.py", line 197, in _run_module_as_main
  File "runpy.py", line 87, in _run_code
  File "D:\Python\Python39\Scripts\pip.exe\__main__.py", line 4, in <module>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pip'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Why am I getting ImportError: No module named pip ' right after installing pip?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2639074/why-am-i-getting-importerror-no-module-named-pip-right-after-installing-pip

"._pth" 파일의 내용을 수정해야 한다고 합니다. 위의 경우 제가 "Python 3.9" 버전을 설치했으니 "D:\Python\Python39\python39._pth" 파일의 내용에 다음과 같이 "Lib\site-packages" 경로를 추가해야 하는 것입니다.

D:\Python\Python39> type python39._pth
python39.zip
.
Lib\site-packages
# Uncomment to run site.main() automatically
#import site




알아본 김에, "._pth"에 대해 더 테스트를 해볼까요? ^^

예를 들기 위해, 다음과 같이 파이썬 코드에서 그 하위 디렉터리의 파이썬 패키지를 참조하는 예제 코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 c:\temp\main.py

import test

# c:\temp\test\__init__.py

print('test.init')

단순히 Windows embeddable package의 python.exe를 PATH 환경 변수에 연결해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실행 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D:\temp> where python
D:\Python\Python39\python.exe

c:\temp> python main.py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D:\temp\main.py", line 2, in <module>
    import test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test'

그러니까, "._pth"에 있는 "." 상대 경로는,

D:\Python\Python39> type python39._pth
python39.zip
.
Lib\site-packages
# Uncomment to run site.main() automatically
#import site

말 그대로 "python.exe" 실행 파일이 위치한 곳을 의미하기 때문에 위의 스크립트 코드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main.py", ".\test\__init__py" 파일이 D:\Python\Python39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구성돼야 합니다. 이름이 왜 "Windows embeddable package"인지 알 수 있는 순간입니다. ^^;

만약, 복사하지 않고 사용하고 싶다면 "._pth"에 다음과 같이 직접 절대 경로를 등록하거나,

D:\Python\Python39> type python39._pth
python39.zip
D:\temp
.
Lib\site-packages
# Uncomment to run site.main() automatically
#import site

혹은, 그냥 "._pth" 파일을 삭제해 버리면 됩니다. 아마도 "embeddable"로 사용할 목적이 아닌, "standalone executable zip" 설치 유형으로 사용할 목적이라면 그냥 삭제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참고로, 위의 "pip" 실행 문제도 애당초 "._pth" 파일을 삭제했으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 가장 난제 하나가 바로 "virtualenv"입니다.

D:\Python\Python39\Scripts> pip install virtualenv

저렇게 설치는 되어도, 실행해 보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 python 3.10에서는 virtualenv가 정상적으로 실행됩니다.

D:\Python\Python39\Scripts> virtualenv
FileNotFoundError: [WinError 3] The system cannot find the path specified: 'D:\\Python\\Python39\\DLLs'

그렇습니다. "embeddable"이라는 목적에 충실하게 virtualenv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련 DLL들이 누락된 것은 이해가 됩니다.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테스트 가상 머신에 MSI 파일을 다운로드해 설치한 후, 거기 있는 "DLL" 디렉터리를 복사해 와야 합니다.

참고로, 위에서 한 것 이외에 어떤 또 다른 문제가 생길지 알 수 없으므로, 결국 이것저것 고려할 때 어쩌면 차라리 그냥 MSI 파일로 설치하는 것이 더 속 편할 수도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5-02-19 06시55분
Pyinstaller를 이용한 실행 파일 만들기
; https://lazyduo.github.io/pyinstaller/

$ pyinstaller --onefile macro.py --hidden-import pywintypes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0정성태11/6/200626879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356정성태10/7/200622430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
386light10/30/200617393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
355정성태10/9/200625161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파일 다운로드2
353정성태12/31/200633453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
354정성태10/23/20063599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372정성태12/31/20063786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
373정성태10/24/20062925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74정성태10/25/20062652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391정성태11/7/20063065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385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2835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048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217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505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107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0775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3329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2013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5783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19273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18487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0353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055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19818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19294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