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46. WSL 환경에서 find 명령을 사용해 파일을 찾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15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03. Windows 10 Bash Shell - 한글 환경을 영문으로 바꾸고 싶다면?
; https://www.sysnet.pe.kr/2/0/11058

개발 환경 구성: 554. WSL 인스턴스 export/import 방법 및 단축 아이콘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69

개발 환경 구성: 556. WSL 인스턴스 초기 설정 명령어
; https://www.sysnet.pe.kr/2/0/12573

개발 환경 구성: 581. Windows에서 WSL로 파일 복사 시 root 소유권으로 적용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718

Linux: 46. WSL 환경에서 find 명령을 사용해 파일을 찾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64

개발 환경 구성: 617. 윈도우 WSL 환경에서 같은 종류의 리눅스를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78

개발 환경 구성: 619. Windows Server에서 WSL을 위한 리눅스 배포본을 설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2

Linux: 47. WSL - shell script에서 설정한 환경 변수가 스크립트 실행 후 반영되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918

Windows: 207. Windows Server 2022에 도입된 WSL 2
; https://www.sysnet.pe.kr/2/0/13073

개발 환경 구성: 694.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4

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503




WSL 환경에서 find 명령을 사용해 파일을 찾는 방법

보통 전체 디렉터리에서 파일을 찾고 싶을 때 이런 식으로 find 명령을 내리는데,

$ find / -name my.txt

실제 리눅스 환경에서는 저렇게 해도 무방하지만 WSL 환경에서는 윈도우 측의 하드 디스크를 매핑한 /mnt 디렉터리가 있어 검색 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물론, 윈도우 파일 시스템까지 검색하고 싶다면 저 방법이 옳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리눅스 운영체제 내에서만 한정 짓고 싶을 것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mnt를 제외하는 것이 좋습니다.

$ find / -path /mnt -prune -o -name my.txt

그런데, 리눅스의 경우 권한 접근이 없는 디렉터리가 많아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쓸데없는 출력으로 눈을 어지럽히게 됩니다. (혹은 sudo로 실행하면 되지만.)

$ find / -path /mnt -prune -o -name my.txt
find: ‘/etc/polkit-1/localauthority’: Permission denied
find: ‘/etc/ssl/private’: Permission denied
find: ‘/root’: Permission denied
/mnt
find: ‘/run/lvm’: Permission denied
find: ‘/run/cryptsetup’: Permission denied
find: ‘/run/sudo’: Permission denied
find: ‘/run/lock/lvm’: Permission denied
find: ‘/proc/tty/driver’: Permission denied
...[생략]...
find: ‘/var/cache/private’: Permission denied
find: ‘/var/log/private’: Permission denied
find: ‘/lost+found’: Permission denied

이것을 없애려면 오류 메시지는 null 처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그래서 최종적으로는 명령이 이렇게 좀 길어집니다. ^^

$ find / -path /mnt -prune -o -name python 2>/dev/null
/etc/apparmor.d/abstractions/python
/mnt
/usr/lib/python3/dist-packages/twisted/python
/usr/share/bash-completion/completions/python
/usr/share/bash-completion/helpers/python
/usr/share/gcc/python
/usr/bin/python
/var/lib/python

// shell script로 만들어 두거나.
$ cat findfile.sh
#!/bin/bash

find / -path /mnt -prune -o -name $1  2>/dev/null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32정성태4/17/202220048오류 유형: 805. Github의 50MB 파일 크기 제한 - warning: GH001: Large files detected. You may want to try Git Large File Storage
13031정성태4/15/202220018.NET Framework: 1194. C# - IdealProcessor와 ProcessorAffinity의 차이점
13030정성태4/15/202216660오류 유형: 804. 정규 표현식 오류 - Quantifier {x,y} following nothing.
13029정성태4/14/202219879Windows: 203. iisreset 후에도 이전에 설정한 전역 환경 변수가 w3wp.exe에 적용되는 문제
13028정성태4/13/202219908.NET Framework: 1193. (appsettings.json처럼) web.config의 Debug/Release에 따른 설정 적용
13027정성태4/12/202219107.NET Framework: 1192. C# - 환경 변수의 변화를 알리는 WM_SETTINGCHANGE Win32 메시지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026정성태4/11/202219336.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3]
13025정성태4/11/202219652.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13024정성태4/7/202218368.NET Framework: 1189.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13023정성태4/6/202219142.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3]
13022정성태3/31/202218393Windows: 202.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 "PC Health Check"를 통과했지만 여전히 업그레이드가 안 되는 경우 해결책
13021정성태3/31/202220130Windows: 201. Windows -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 방법
13020정성태3/30/202217225.NET Framework: 1187. RDP 접속 시 WPF UserControl의 Unloaded 이벤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3019정성태3/30/202218947.NET Framework: 1186. Win32 Message를 Code로부터 메시지 이름 자체를 텍스트로 구하고 싶다면?파일 다운로드1
13018정성태3/29/202219062.NET Framework: 1185. C# - Unsafe.AsPointer가 반환한 포인터는 pinning 상태일까요? [5]
13017정성태3/28/202216682.NET Framework: 118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3016정성태3/27/202220793.NET Framework: 1183. C# 11에 추가된 ref 필드의 (우회) 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15정성태3/26/202223102.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1]
13014정성태3/23/202217852VC++: 155. CComPtr/CComQIPtr과 Conformance mode 옵션의 충돌 [1]
13013정성태3/22/202216947개발 환경 구성: 641. WSL 우분투 인스턴스에 파이썬 2.7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13012정성태3/21/202217023오류 유형: 803. C# - Local '...' or its members cannot have their address taken and be used inside an anonymous method or lambda expression
13011정성태3/21/202221466오류 유형: 802.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웹캠 카메라 인식이 안 되는 경우
13010정성태3/21/202216485오류 유형: 801. Oracle.ManagedDataAccess.Core - GetTypes 호출 시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DirectoryServices.Protocols...'" 오류
13009정성태3/20/202219378개발 환경 구성: 640. docker - ibmcom/db2 컨테이너 실행
13008정성태3/19/202219639VS.NET IDE: 176. 비주얼 스튜디오 - 솔루션 탐색기에서 프로젝트를 선택할 때 csproj 파일이 열리지 않도록 만드는 방법
13007정성태3/18/202216937.NET Framework: 1181. C# - Oracle.ManagedDataAccess의 Pool 및 그것의 연결 개체 수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