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61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 https://www.sysnet.pe.kr/2/0/12863

개발 환경 구성: 611.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2) long_description, cmdclass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865

개발 환경 구성: 612.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3) entry_points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867

개발 환경 구성: 614.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4) package_data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87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3) entry_points 옵션

지난 글에 다룬,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 https://www.sysnet.pe.kr/2/0/12863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2) long_description, cmdclass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865

setup.py의 옵션 중에는 entry_points라는 것이 있습니다.

setup(
    name="net-util",
    description="utility functions for networking",
    long_description=readme(),
    long_description_content_type='text/markdown',
    # cmdclass={'sdist': UserCode},
    cmdclass={'bdist_wheel': UserCode},
    version=netutil.__version__,
    author=netutil.__author__,
    author_email="techsharer@outlook.com",
    url="https://www.sysnet.pe.kr",
    license="Ms-PL",
    packages=find_packages(exclude=[]),
    install_requires=["requests>=2.22.0"],

    entry_points={
        'console_scripts': [
            'netutil-admin = netutil.admin:main',
        ],
    },
)

위와 같이 지정한 경우라면, 당연히 "netutil.admin" 패키지가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간단하게 다음과 같은 식의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 ./netutil/admin/__init__.py


def main():
    print('net-util administrations')

그럼, "pip install ..." 시에 위의 "netutil.admin::main"을 호출하는 'netutil-admin.py'를 사용자 디렉터리($HOME/.local/bin)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pip 프로그램이 생성해 줍니다.

/home/testusr/.local/bin$ cat netutil-admin
#!/usr/bin/python3
# -*- coding: utf-8 -*-
import re
import sys
from netutil.admin import main
if __name__ == '__main__':
    sys.argv[0] = re.sub(r'(-script\.pyw|\.exe)?$', '', sys.argv[0])
    sys.exit(main())

따라서 일종의 프로그램을 하나 제공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데 실제로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netutil-admin
net-util administrations

이렇게 만드는 경우 주의할 것이 있다면 바로, 해당 파일(위의 경우 __init__.py)에서 같은 프로젝트에 포함된 모듈을 import하는 경우 명시적으로 상대 경로를 지정해야 하는 상황도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__init__py와 동일한 디렉터리에 info.py가 있고,

# ./netutil/admin/info.py


def help_cmd():
    print('netutil-admin')
    pass

위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단순히 __init__.py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netutil/admin/__init__.py

import info


def main():
    print('net-util administrations')
    info.help_cmd()

하지만, 이것이 entry_points로 등록된 경우라면 상황이 달라집니다.

entry_points={
    'console_scripts': [
        'netutil-admin = netutil.admin:main',
    ],
},

저런 경우에는 netutil.admin 패키지에서 site-packages 경로를 기준으로 "import info"를 찾기 때문에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info'"라는 예외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상대 경로로 import를 해야 하는데 import 구문에는 상대 경로를 지정할 수 없으므로 sys.path.append를 이용하거나 다음과 같이 from 구문으로 바꿔 상대 경로를 지정하면 됩니다.

# ./netutil/admin/__init__.py

from .info import help_cmd


def main():
    print('net-util administrations')
    help_cmd()




entry_points로 등록한 경우 리눅스에서는 shell script로 "$HOME/.local/bin" 경로에 파일이 생성되는데, 그렇다면 윈도우의 경우에는 어떨까요?

개인적인 예상으로는 사실 지원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윈도우의 경우 "%USERPROFILE%" 경로가 기본적으로 PATH 환경 변수에 등록되어 있진 않으므로 단순히 jennifer-admin.cmd 파일을 생성한다고 해서 실행되지는 않을 것이므로 여러모로 불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원을 합니다. ^^ 경로는, Python 설치 경로의 ".\Scripts\" 하위 디렉터리에 무려 EXE 파일로 생성이 됩니다. (cmd/bat가 아닌 굳이 왜 EXE로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재미있는 것은, 윈도우 버전의 파이썬 Script 디렉터리에 있는 exe 파일들이,

pypi_adv_2.png

하나같이 104KB 크기로 된 것으로 봐서는 거의 템플릿화 되어 있는 듯합니다. 게다가 pip.exe 등도 결국 사용자가 컴파일해서 제공하는 것이 아닌, 결국 파이썬 모듈을 호출하는 console_scripts 설정으로 만들어진 실행 모듈이었던 것입니다. 그렇다면, 리눅스에서는 당연히 shell script로 연결된 것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

$ cat /usr/bin/pip
#!/usr/bin/python3
# EASY-INSTALL-ENTRY-SCRIPT: 'pip==20.0.2','console_scripts','pip'
__requires__ = 'pip==20.0.2'
import re
import sys
from pkg_resources import load_entry_point

if __name__ == '__main__':
    sys.argv[0] = re.sub(r'(-script\.pyw?|\.exe)?$', '', sys.argv[0])
    sys.exit(
        load_entry_point('pip==20.0.2', 'console_scripts', 'pip')()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37정성태2/11/202119353.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18200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17271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17788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16793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17990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16769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20594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18459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18052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18139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14942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13926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15113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16048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18240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17330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12520정성태1/30/202116086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
12519정성태1/30/202114814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
12518정성태1/30/202132910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
12517정성태1/30/202120615Linux: 36.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
12516정성태1/29/202117098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12515정성태1/28/202118748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
12514정성태1/28/202118883.NET Framework: 1021. C# - 일렉트론 닷넷(Electron.NET) 소개 [1]파일 다운로드1
12513정성태1/28/202116044오류 유형: 698.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1]
12512정성태1/28/202116431오류 유형: 697. The program can't start because VCRUNTIME140.dll is missing from your computer. Try reinstalling the program to fix this problem.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