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s Server 2022 + docker desktop 설치 시 WSL 2로 선택한 경우 "Failed to deploy distro docker-desktop to ..." 오류 발생

현재 버전의 Windows Server 2022는 10.0.20348 버전이므로 이 글에서 설명한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만약 발생한다면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 20348 버전을 설치해야 합니다.




Docker desktop을 Windows Server 2022에서 설치하면 이렇게 떡 하니,

docker_desktop_wsl2_2022_1.png

"WSL 2"를 지원하는 플랫폼이라고 나오면서 "Enable WSL 2" 버튼을 어서 눌러 달라는 듯이 창을 띄워줍니다. 그래서 버튼을 눌렀더니 이후 "Failed to deploy distro docker-desktop to ..."라는 오류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Failed to deploy distro docker-desktop to %USERPROFILE%\AppData\Local\Docker\wsl\distro: exit code: -1
 stdout: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생략]...

 stderr: 
   at Docker.ApiServices.WSL2.WslShortLivedCommandResult.LogAndThrowIfUnexpectedExitCode(String prefix, ILogger log, Int32 expectedExitCode) in C:\workspaces\PR-16841\src\github.com\docker\pinata\win\src\Docker.ApiServices\WSL2\WslCommand.cs:line 146
   at Docker.Engines.WSL2.WSL2Provisioning.<DeployDistroAsync>d__17.MoveNext() in C:\workspaces\PR-16841\src\github.com\docker\pinata\win\src\Docker.Engines\WSL2\WSL2Provisioning.cs:line 168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Task task)
   at Docker.Engines.WSL2.WSL2Provisioning.<ProvisionAsync>d__8.MoveNext() in C:\workspaces\PR-16841\src\github.com\docker\pinata\win\src\Docker.Engines\WSL2\WSL2Provisioning.cs:line 77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Task task)
   at Docker.Engines.WSL2.LinuxWSL2Engine.<DoStartAsync>d__28.MoveNext() in C:\workspaces\PR-16841\src\github.com\docker\pinata\win\src\Docker.Engines\WSL2\LinuxWSL2Engine.cs:line 179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Task task)
   at Docker.ApiServices.StateMachines.TaskExtensions.<WrapAsyncInCancellationException>d__0.MoveNext() in C:\workspaces\PR-16841\src\github.com\docker\pinata\win\src\Docker.ApiServices\StateMachines\TaskExtensions.cs:line 29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Task task)
   at Docker.ApiServices.StateMachines.StartTransition.<DoRunAsync>d__5.MoveNext() in C:\workspaces\PR-16841\src\github.com\docker\pinata\win\src\Docker.ApiServices\StateMachines\StartTransition.cs:line 67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Docker.ApiServices.StateMachines.StartTransition.<DoRunAsync>d__5.MoveNext() in C:\workspaces\PR-16841\src\github.com\docker\pinata\win\src\Docker.ApiServices\StateMachines\StartTransition.cs:line 92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Task task)
   at Docker.ApiServices.StateMachines.EngineStateMachine.<StartAsync>d__14.MoveNext() in C:\workspaces\PR-16841\src\github.com\docker\pinata\win\src\Docker.ApiServices\StateMachines\EngineStateMachine.cs:line 69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Task task)
   at Docker.Engines.Engines.<RestartAsync>d__26.MoveNext() in C:\workspaces\PR-16841\src\github.com\docker\pinata\win\src\Docker.Engines\Engines.cs:line 265

wsl.exe를 실행해 docker-desktop을 설치하려고 시도했던 것 같은데, 결정적으로 그 명령어가 뭐였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

어쩔 수 없이 sysmon을 이용해,

실행된 프로세스(EXE)의 명령행 인자를 확인하고 싶다면 - Sysmon
; https://www.sysnet.pe.kr/2/0/1771

확인한 결과 다음의 명령어였습니다.

Process Create:
...[생략]...
IntegrityLevel: Medium
Hashes: SHA1=667C43C37E61ACFEB248C8D263B38789B50C0F0C
ParentProcessGuid: {2732301c-ab0b-61ba-d511-000000000200}
ParentProcessId: 5308
ParentImage: C:\Windows\System32\wsl.exe
ParentCommandLine: "C:\WINDOWS\system32\wsl.exe" --import docker-desktop "%USERPROFILE%\AppData\Local\Docker\wsl\distro" "C:\Program Files\Docker\Docker\resources\wsl\wsl-bootstrap.tar" --version 2

실제로 저렇게 명령어를 실행해 보면 정상적인 출력을 보이지 않습니다. 약간의 시행착오를 거치면 "--version 2"라는 옵션이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그래서 일단 저 옵션을 빼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잘 됩니다.

c:\temp> wsl.exe --import docker-desktop "%USERPROFILE%\AppData\Local\Docker\wsl\distro" "C:\Program Files\Docker\Docker\resources\wsl\wsl-bootstrap.tar"

c:\temp> wsl --list -v
  NAME              STATE           VERSION
* docker-desktop    Stopped         1

VERSION이 1이라고 되어 있으니 이 부분만 2로 설정되도록 다시 명령을 내려야 하는데,

c:\temp> wsl --set-version docker-desktop 2

이게 문제입니다. 실행해 보면, 결과가 "wsl --help" 화면이 나옵니다. 즉, 해당 명령어의 해석을 지원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set-version 옵션이 아예 누락된 것은 아닌 듯합니다. 왜냐하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리면,

c:\temp> wsl --set-version docker-desktop
A version number could not be parsed.

버전이 지정되지 않았다고 뜨기 때문입니다. 희한하군요, 이와 마찬가지로 기본 버전도 지정이 안 됩니다.

c:\temp> wsl --set-default-version 2

위의 실행 결과 역시 단순히 "wsl --help" 결과가 나옵니다.




그러다가 우연히 "--status" 옵션을 줬더니,

c:\temp> wsl --status
Default Distribution: docker-desktop
Default Version: 1

WSL automatic updates are on.

The WSL 2 kernel file is not found. To update or restore the kernel please run 'wsl.exe --update'.

c:\temp> wsl --update
Checking for updates...
No updates are available.
The WSL 2 kernel file is not found and may need to be reinstalled or repaired manually.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https://aka.ms/wsl2kernel.

왠지 희망이 보입니다. ^^ 하지만 "wsl.exe --update"로는 안 되는 것 같고, 할 수 없이 웹 사이트를 방문해,

Step 4 - Download the Linux kernel update package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sl/install-manual#step-4---download-the-linux-kernel-update-package

아래의 구성 요소를 다운로드해 설치했습니다.

WSL2 Linux kernel update package for x64 machines
; 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잘 반영이 되었는지 --status 옵션으로 다시 실행해 보면,

c:\temp> wsl --status
Default Distribution: docker-desktop
Default Version: 1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as last updated on 2021-12-16
WSL automatic updates are on.

Kernel version: 5.10.16

뭔가 느낌이 좋지만, ^^; 여전히 --set-version, --set-default-version 명령어는 먹히지 않습니다.




이렇게 "0x803fb015" 오류가 발생하면,

C:\Windows\System32> wsl --update
Installing: Windows Subsystem for Linux
Error: 0x803fb015           0.0%                           ]

인터넷 연결이 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재미있는 건, 버전을 1로 했을 때는 잘 실행이 된다는 점입니다.

c:\temp> wsl --set-default-version 1
The operation completed successfully.

c:\temp> wsl --set-version docker-desktop 1
Conversion in progress, this may take a few minutes...
No such interface supported

그러니까, 분명히 지금 Windows Server 2022의 WSL 버전이 1로 동작하고 있는 것입니다. 음... 깜빡 속았군요, 결국 docker desktop은 현재 환경이 WSL 2를 지원하는지 단순히 윈도우의 버전으로 확인한 것에 불과한 것입니다.

게다가 검색해 보면, Windows Server 2019부터 preview 빌드에 WSL 2를 지원한다는 글들이 있어서,

How to Install WSL 2 on Windows Server
; https://www.thomasmaurer.ch/2019/08/how-to-install-wsl-2-on-windows-server/

프리뷰 빌드 기준으로 18945 버전부터 지원했으니, 당연히 2022는 20348이므로 지원을 할 거라고 생각했지만 오산이었습니다.

결론은, Windows Server 2022는 WSL 2를 아직 지원하지 않습니다.
(참고: "Windows Server 2022에 도입된 WSL 2")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2/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47정성태7/1/200948303.NET Framework: 149.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3]파일 다운로드1
746정성태6/25/200935452.NET Framework: 148. WPF - 데이터 바인딩 시의 예외 처리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745정성태6/22/200927169.NET Framework: 147. WPF - Binding에 Sibling 요소 지정 [2]파일 다운로드1
744정성태6/21/200925826.NET Framework: 146. WPF - 중첩된 ScrollViewer의 크기 제어 [2]파일 다운로드1
743정성태6/17/200930324.NET Framework: 145. Unity Container 개체 풀이
742정성태6/17/200929703.NET Framework: 144. WPF - FrameworkElement.Parent 속성이 null이라면? [3]
740정성태6/12/200927272.NET Framework: 143. WPF - Transform의 역변환파일 다운로드1
739정성태6/8/200940375.NET Framework: 142. WPF - Grid 컨트롤의 ShowGridLine 개선 [5]파일 다운로드1
737정성태6/6/200946562.NET Framework: 141.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2
734정성태6/4/200928849.NET Framework: 140. WPF - CellPadding 속성을 구현하는 Grid Layout [2]파일 다운로드1
733정성태5/29/200934271.NET Framework: 139. WPF - "M/d/yyyy h:mm:ss tt" 형식으로만 날짜를 출력하는 문제
732정성태5/27/200929268Team Foundation Server: 32. 팀 빌드 오류 확인 방법
731정성태5/27/200924048Team Foundation Server: 31. 팀 빌드 스케줄 확인 방법
730정성태5/26/200930184VS.NET IDE: 63. Visual Studio 2010 - Parallel Stacks [1]
729정성태5/25/200929550.NET Framework: 138. InternalsVisibleTo와 Public Key 값
728정성태5/23/200939869.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파일 다운로드1
727정성태5/22/200924946오류 유형: 82. 메서드가 많은 경우 프록시 클래스 생성 실패
726정성태5/21/200924206VS.NET IDE: 62. Visual Studio 2010 Beta1 버그 피드백 - EnC기능 오류 [1]
725정성태5/21/200927862VS.NET IDE: 61. Visual Studio 2010 베타1과 Visual Studio 2008의 혼합 개발 [2]
724정성태5/19/200943304.NET Framework: 136. 자바와 닷넷의 압축 호환파일 다운로드2
723정성태5/18/200936308.NET Framework: 135. C# - Deflate, GZip, Zip
722정성태5/18/200924335개발 환경 구성: 45. SQL 서버 2008 백업 구성 [2]
721정성태5/14/200930196오류 유형: 81. Package 실행 오류 - Error 15404
720정성태5/13/200926963오류 유형: 80. SQL Server 2008 - Package 실행 오류의 구체적인 원인 확인
719정성태5/12/200928278.NET Framework: 134. WPF - XBAP을 호스팅하고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인터페이스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717정성태5/11/200928530개발 환경 구성: 44.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