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03. Windows 10 Bash Shell - 한글 환경을 영문으로 바꾸고 싶다면?
; https://www.sysnet.pe.kr/2/0/11058

개발 환경 구성: 554. WSL 인스턴스 export/import 방법 및 단축 아이콘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69

개발 환경 구성: 556. WSL 인스턴스 초기 설정 명령어
; https://www.sysnet.pe.kr/2/0/12573

개발 환경 구성: 581. Windows에서 WSL로 파일 복사 시 root 소유권으로 적용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718

Linux: 46. WSL 환경에서 find 명령을 사용해 파일을 찾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64

개발 환경 구성: 617. 윈도우 WSL 환경에서 같은 종류의 리눅스를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78

개발 환경 구성: 619. Windows Server에서 WSL을 위한 리눅스 배포본을 설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2

Linux: 47. WSL - shell script에서 설정한 환경 변수가 스크립트 실행 후 반영되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918

Windows: 207. Windows Server 2022에 도입된 WSL 2
; https://www.sysnet.pe.kr/2/0/13073

개발 환경 구성: 694.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4

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503




Windows Server에서 WSL을 위한 리눅스 배포본을 설치하는 방법

내심 Windows Server 2022에서는 Microsoft Store가 가능하기를 바랐는데... 안 되는군요. ^^;

그런데 이상하지 않나요? 리눅스 배포본은 Microsoft Store에 올라가 있는데, Windows Server 제품군에서 스토어를 방문할 수 없다면 도대체 어떻게 설치할 수 있는 걸까요? 이를 위해서는 특별히 wsl.exe에서 옵션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선, 설치 가능한 리눅스 배포본은 "-l -o" 옵션으로 나열할 수 있습니다.

// wsl --list --online

c:\temp> wsl -l -o
The following is a list of valid distributions that can be installed.
Install using 'wsl --install -d <Distro>'.

NAME            FRIENDLY NAME
Ubuntu          Ubuntu
Debian          Debian GNU/Linux
kali-linux      Kali Linux Rolling
openSUSE-42     openSUSE Leap 42
SLES-12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v12
Ubuntu-16.04    Ubuntu 16.04 LTS
Ubuntu-18.04    Ubuntu 18.04 LTS
Ubuntu-20.04    Ubuntu 20.04 LTS

여기서 "NAME" 칼럼을 식별자로 "--install" 옵션을 주면 Microsoft Store를 방문하지 않아도 WSL 용 리눅스 배포본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c:\temp> wsl --install -d Ubuntu-20.04
Downloading: Ubuntu 20.04 LTS
Installing: Ubuntu 20.04 LTS
Ubuntu 20.04 LTS has been installed.
Launching Ubuntu 20.04 LTS...

만약 동일한 명령어를 2번 실행하면 어떻게 될까요? ^^ 아쉽게도 다시 새로운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것은 아니고, 기존에 설치된 WSL 인스턴스로의 창이 뜨게 됩니다. 즉, "wsl -d Ubuntu-20.04"라고 실행한 효과를 갖습니다.

따라서 clean 설치를 하고 싶다면 이전에 설명한 방법에 따라 최초 설치했을 때의 이미지를 export/import 하는 방식으로 재사용해야 합니다.

윈도우 WSL 환경에서 같은 종류의 리눅스를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78




그건 그렇고, 그렇다면 "-l -o" 옵션의 출력은 항상 스토어의 목록과 일치할까요? 인터넷 선을 뽑고도 실행이 잘 되는 것을 보면 아무래도 cache 되었거나 이미 내장하고 있는 듯합니다.

리눅스 배포본을 Microsoft Store에서 찾아보면, "Fedora", "Pengwin"도 있는데,

Fedora Remix for WSL
; https://www.microsoft.com/ko-kr/p/fedora-remix-for-wsl/9n6gdm4k2hnc

Pengwin
; https://www.microsoft.com/ko-kr/p/pengwin/9nv1gv1pxz6p

유료 버전이라서 "-l -o"의 출력에는 누락되었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아마도 개인이 올린 듯한 "Alpine"도 있습니다.

Alpine WSL
; https://www.microsoft.com/ko-kr/p/alpine-wsl/9p804crf0395

또한, "-l -o"의 출력에는 "openSUSE Leap 42" 버전이 있지만 실제 스토에는 15.2, 15.3 버전까지 올라와 있습니다.

openSUSE Leap 15.2
; https://www.microsoft.com/ko-kr/p/opensuse-leap-152/9mzd0n9z4m4h

openSUSE Leap 15.3
; https://www.microsoft.com/ko-kr/p/opensuse-leap-153/9n6j06bmcgt3

그렇다면 이런 것들은 현재 Windows Server에서는 설치할 수 없는 걸까요? 물론, 공식적으로는 없지만 "윈도우 WSL 환경에서 같은 종류의 리눅스를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한다면 우회적으로 해결할 수는 있습니다.

예상하시는 것처럼, Windows 10+에서 해당 리눅스 배포본을 Microsoft Store를 통해 설치하고, export 후 Windows Server에 복사해 다시 import 하는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6정성태11/14/200517999.NET Framework: 48. IE를 죽이는 스크립트 소스
165정성태11/14/200518624.NET Framework: 47. MOM (Microsoft Operations Manager) 2005 서버 설치 가이드
164정성태11/14/200515823.NET Framework: 46. 도메인에 속한 컴퓨터의 Local Computer Policy 변경 방법
162정성태10/3/200518600.NET Framework: 45. VS.NET 2005 IDE에서 Web App를 .NET 2.0 (x64) 머신에 배포
161정성태11/14/200521444.NET Framework: 44. IIS 관리자에서 ASP.NET 탭이 없는 경우.
159정성태9/28/200517415VS.NET IDE: 32. Virtual Server 2005 64bit SP1 Beta 테스트 [2]
163정성태10/3/200515475    답변글 VS.NET IDE: 32.1. 왜...?
158정성태11/14/200517928VS.NET IDE: 31. SQL 2005 - A connection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with the server
157정성태9/21/200517684기타: 10. SQL2000 설치 시, Invalid Product Key 오류
156정성태9/16/200519605.NET Framework: 43. Wisptis.exe 프로세스
155정성태5/31/200515979.NET Framework: 42. .NET Installer Class에서 Install 메서드 - 설정 사항들 알아내는 코드
154정성태5/13/200514887VS.NET IDE: 30. Windows 2003 for x64에 추가된 레지스트리 Run 노드
152정성태5/5/200518363VC++: 18. VC++ 7.0에서부터 ? : 연산자 처리가 바뀌었습니다.
153정성태5/12/200518506    답변글 VC++: 18.1. VC++ 8.0에서부터 바뀐 CRT 소개
151정성태5/5/200521454VC++: 17. DLL에 export 된 C++ 클래스 멤버 함수 파라미터형 정보 알아내는 방법
150정성태5/5/200522685.NET Framework: 41. 태그 사이의 값을 추출하는 정규식
149정성태5/5/200519084.NET Framework: 40. 데이터그리드에서 콤보박스 쓸 수 있는 방법
148정성태5/5/200519666.NET Framework: 39. DataSet 방식을 RecordSet으로 구현하는 방법.
147정성태5/7/200617241VC++: 16. 클래스 멤버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받는 표현.
146정성태4/29/200516211VS.NET IDE: 29. 네트워크 공유를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을 원하는 경우.
144정성태4/14/200516664VS.NET IDE: 28. Windows 2003 SP1을 설치하고.
143정성태5/5/200517821.NET Framework: 38. DSL (Domain Specific Language)
141정성태4/14/200518759VS.NET IDE: 27. 64bit 컴퓨터 사용 평가 [3]
140정성태4/14/200515831.NET Framework: 37. String.GetHashCode의 리턴값. 그때그때 다릅니다.
138정성태4/12/200516697.NET Framework: 36. 64bit 시스템 구성
142정성태4/14/200517947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