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s 10+에서 WMI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 제거

아래의 글을 쓸 때만 해도,

WMI Namespace를 열거하고, 그 안에 정의된 클래스를 열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51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가 있었는데, 근래의 Windows 10+에서 실습해 보니까 없어졌습니다.

PS C:\Windows\System32>  Get-WmiObject -Namespace Root/Microsoft/Windows -Class __Namespace | Select-Object -Property Name

Name
----
RemoteAccess
Dns
Powershellv3
Hgs
DeviceGuard
TaskScheduler
DesiredStateConfigurationProxy
SmbWitness
Wdac
winrm
AppBackgroundTask
PS_MMAgent
Storage
HardwareManagement
SMB
EventTracingManagement
DesiredStateConfiguration
Attestation
CI
DeliveryOptimization
Defender

다음의 글에 보면,

Windows update change in Server 1709
; https://richardspowershellblog.wordpress.com/2017/11/17/windows-update-change-in-server-1709/

Scan, download and install Windows Updates with PowerShell
; https://4sysops.com/archives/scan-download-and-install-windows-updates-with-powershell/

1709 업데이트에서 변화가 있긴 하지만, 그래도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가 있는 것으로는 나옵니다. 실제로, Windows Server 2019에서는 위의 내용이 그대로 잘 실행이 됩니다.

PS C:\> Get-Module -Name *Update*

ModuleType Version    Name                                ExportedCommands
---------- -------    ----                                ----------------
Manifest   1.0.0.2    WindowsUpdateProvider               {Get-WUAVersion, Get-WUIsPendingReboot, Get-WULastInstalla...

PS C:\> Get-Command -Module WindowsUpdateProvider

CommandType     Name                                               Version    Source
-----------     ----                                               -------    ------
Function        Get-WUAVersion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Get-WUIsPendingReboot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Get-WULastInstallationDate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Get-WULastScanSuccessDate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Install-WUUpdates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Start-WUScan                                       1.0.0.2    WindowsUpdateProvider

하지만 좀 더 살펴 보면,

start-wuscan cmdlet is not avialble to run on few Windows 10
; https://docs.microsoft.com/en-us/answers/questions/212035/start-wuscan-cmdlet-is-not-avialble-to-run-on-few.html

2004 (20H1) 버전부터 PowerShell에서 제공하던 "WindowsUpdateProvider"가 제거되었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것은 WMI 네임스페이스에서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항목이 없어진 것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WindowsUpdateProvider의 "MSFT_WUOperations.psm1" 소스 코드를 보면,

# This function's purpose is to take the output of the MI provider, an array of fixed size, and convert it to an array list of non-fixed size.
# The reason for this is so that a caller of this module is able to easily select which updates they wish to download & install
function Start-WUScan
{
    param
    (
        [parameter(Mandatory = $false)]
        $SearchCriteria
    )

    If($SearchCriteria -eq $null)
    {
        $scanres = Invoke-CimMethod -Namespace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ClassName MSFT_WUOperations -MethodName ScanForUpdates
    }
    else
    {
        $scanres = Invoke-CimMethod -Namespace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ClassName MSFT_WUOperations -MethodName ScanForUpdates -Arguments @{SearchCriteria=$SearchCriteria}
    }
    
    if($scanres.ReturnValue -eq 0)
    {
        $arrlist = New-Object System.Collections.ArrayList
        $arrlist.AddRange($scanres.Updates) | out-null

        # Comma is added to prevent powershell from converting return to an array
        return ,$arrlist
    }
    else
    {
        Write-Error "Scan hit error: $scanres.ReturnValue"
    }
}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있는데, 이러한 PowerShell 모듈을 없앤 데에는 아무래도 그것이 사용하는 WMI 클래스가 없어진 이유 때문이 아닌가 짐작을 하게 됩니다.

이와 함께 "start-wuscan cmdlet is not avialble to run on few Windows 10" 글에서는 우회 방법으로 "Microsoft.Update.Session" COM 개체를 사용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Session = new-object -com "Microsoft.Update.Session"
$ctr = "(IsInstalled=0 and DeploymentAction=*) or (IsInstalled=1 and DeploymentAction=*) or (IsHidden=1 and DeploymentAction=*)"
$Result = $Session.CreateupdateSearcher().Search($ctr).Updates
$Result | Select Title,Identity,IsHidden,LastDeploymentChangeTime,KBArticleIDs | Format-List -Property Title,@{l='UpdateID';e={$_.Identity.UpdateID}},@{l='PublishedDate';e={$_.LastDeploymentChangeTime.ToString('yyyy-MM-dd')}},@{l='KBArticle';e={$_.KBArticleIDs}},IsHidden

음... 어쩔 수 없을 것 같습니다. WindowsUpdate 클래스가 사라진 이상, 원래의 COM 개체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는 수밖에.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37정성태1/30/202314318.NET Framework: 2091. C# - 웹 사이트가 어떤 버전의 TLS/SSL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13236정성태1/29/202313089개발 환경 구성: 663. openssl을 이용해 인트라넷 IIS 사이트의 SSL 인증서 생성
13235정성태1/29/202312568개발 환경 구성: 662. openssl - 윈도우 환경의 명령행에서 SAN 적용하는 방법
13234정성태1/28/202314991개발 환경 구성: 661. dnSpy를 이용해 소스 코드가 없는 .NET 어셈블리의 코드를 변경하는 방법 [1]
13233정성태1/28/202316148오류 유형: 840. C# - WebClient로 https 호출 시 "The request was aborted: Could not create SSL/TLS secure channel" 예외 발생
13232정성태1/27/202312062스크립트: 43. uwsgi의 --processes와 --threads 옵션
13231정성태1/27/202311289오류 유형: 839. python - TypeError: '...' object is not callable
13230정성태1/26/202312048개발 환경 구성: 660. WSL 2 내부로부터 호스트 측의 네트워크로 UDP 데이터가 1개의 패킷으로만 제한되는 문제
13229정성태1/25/202313932.NET Framework: 2090. C# - UDP Datagram의 최대 크기
13228정성태1/24/202314479.NET Framework: 2089. C# - WMI 논리 디스크가 속한 물리 디스크의 정보를 얻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227정성태1/23/202313390개발 환경 구성: 659. Windows - IP MTU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 [1]
13226정성태1/23/202312334.NET Framework: 2088. .NET 5부터 지원하는 GetRawSocketOption 사용 시 주의할 점
13225정성태1/21/202311684개발 환경 구성: 658. Windows에서 실행 중인 소켓 서버를 다른 PC 또는 WSL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13224정성태1/21/202312173Windows: 221. Windows - Private/Public/Domain이 아닌 네트워크 어댑터 단위로 방화벽을 on/off하는 방법
13223정성태1/20/202312079오류 유형: 838. RDP 연결 오류 - The two computers couldn't connect in the amount of time allotted
13222정성태1/20/202311950개발 환경 구성: 657. WSL - DockerDesktop.vhdx 파일 위치를 옮기는 방법
13221정성태1/19/202312148Linux: 57. C# - 리눅스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파일 다운로드1
13220정성태1/19/202311843오류 유형: 837. NETSDK1045 The current .NET SDK does not support targeting .NET ...
13219정성태1/18/202311436Windows: 220.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13218정성태1/17/202311293VS.NET IDE: 178. Visual Studio 17.5 (Preview 2) - 포트 터널링을 이용한 웹 응용 프로그램의 외부 접근 허용
13217정성태1/13/202312014디버깅 기술: 185. windbg - 64비트 운영체제에서 작업 관리자로 뜬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sos로 디버깅하는 방법
13216정성태1/12/202311916디버깅 기술: 184. windbg - 32비트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인 경우 !peb 명령어로 나타나지 않는 환경 변수
13215정성태1/11/202314954Linux: 56. 리눅스 - /proc/pid/stat 정보를 이용해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 구하는 방법 [1]
13214정성태1/10/202313878.NET Framework: 2087. .NET 6부터 SourceGenerator와 통합된 System.Text.Json [1]파일 다운로드1
13213정성태1/9/202312205오류 유형: 836. docker 이미지 빌드 시 "RUN apt install ..." 명령어가 실패하는 이유
13212정성태1/8/202313579기타: 85. 단정도/배정도 부동 소수점의 정밀도(Precision)에 따른 형변환 손실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