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s 10+에서 WMI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 제거

아래의 글을 쓸 때만 해도,

WMI Namespace를 열거하고, 그 안에 정의된 클래스를 열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51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가 있었는데, 근래의 Windows 10+에서 실습해 보니까 없어졌습니다.

PS C:\Windows\System32>  Get-WmiObject -Namespace Root/Microsoft/Windows -Class __Namespace | Select-Object -Property Name

Name
----
RemoteAccess
Dns
Powershellv3
Hgs
DeviceGuard
TaskScheduler
DesiredStateConfigurationProxy
SmbWitness
Wdac
winrm
AppBackgroundTask
PS_MMAgent
Storage
HardwareManagement
SMB
EventTracingManagement
DesiredStateConfiguration
Attestation
CI
DeliveryOptimization
Defender

다음의 글에 보면,

Windows update change in Server 1709
; https://richardspowershellblog.wordpress.com/2017/11/17/windows-update-change-in-server-1709/

Scan, download and install Windows Updates with PowerShell
; https://4sysops.com/archives/scan-download-and-install-windows-updates-with-powershell/

1709 업데이트에서 변화가 있긴 하지만, 그래도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가 있는 것으로는 나옵니다. 실제로, Windows Server 2019에서는 위의 내용이 그대로 잘 실행이 됩니다.

PS C:\> Get-Module -Name *Update*

ModuleType Version    Name                                ExportedCommands
---------- -------    ----                                ----------------
Manifest   1.0.0.2    WindowsUpdateProvider               {Get-WUAVersion, Get-WUIsPendingReboot, Get-WULastInstalla...

PS C:\> Get-Command -Module WindowsUpdateProvider

CommandType     Name                                               Version    Source
-----------     ----                                               -------    ------
Function        Get-WUAVersion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Get-WUIsPendingReboot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Get-WULastInstallationDate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Get-WULastScanSuccessDate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Install-WUUpdates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Start-WUScan                                       1.0.0.2    WindowsUpdateProvider

하지만 좀 더 살펴 보면,

start-wuscan cmdlet is not avialble to run on few Windows 10
; https://docs.microsoft.com/en-us/answers/questions/212035/start-wuscan-cmdlet-is-not-avialble-to-run-on-few.html

2004 (20H1) 버전부터 PowerShell에서 제공하던 "WindowsUpdateProvider"가 제거되었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것은 WMI 네임스페이스에서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항목이 없어진 것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WindowsUpdateProvider의 "MSFT_WUOperations.psm1" 소스 코드를 보면,

# This function's purpose is to take the output of the MI provider, an array of fixed size, and convert it to an array list of non-fixed size.
# The reason for this is so that a caller of this module is able to easily select which updates they wish to download & install
function Start-WUScan
{
    param
    (
        [parameter(Mandatory = $false)]
        $SearchCriteria
    )

    If($SearchCriteria -eq $null)
    {
        $scanres = Invoke-CimMethod -Namespace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ClassName MSFT_WUOperations -MethodName ScanForUpdates
    }
    else
    {
        $scanres = Invoke-CimMethod -Namespace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ClassName MSFT_WUOperations -MethodName ScanForUpdates -Arguments @{SearchCriteria=$SearchCriteria}
    }
    
    if($scanres.ReturnValue -eq 0)
    {
        $arrlist = New-Object System.Collections.ArrayList
        $arrlist.AddRange($scanres.Updates) | out-null

        # Comma is added to prevent powershell from converting return to an array
        return ,$arrlist
    }
    else
    {
        Write-Error "Scan hit error: $scanres.ReturnValue"
    }
}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있는데, 이러한 PowerShell 모듈을 없앤 데에는 아무래도 그것이 사용하는 WMI 클래스가 없어진 이유 때문이 아닌가 짐작을 하게 됩니다.

이와 함께 "start-wuscan cmdlet is not avialble to run on few Windows 10" 글에서는 우회 방법으로 "Microsoft.Update.Session" COM 개체를 사용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Session = new-object -com "Microsoft.Update.Session"
$ctr = "(IsInstalled=0 and DeploymentAction=*) or (IsInstalled=1 and DeploymentAction=*) or (IsHidden=1 and DeploymentAction=*)"
$Result = $Session.CreateupdateSearcher().Search($ctr).Updates
$Result | Select Title,Identity,IsHidden,LastDeploymentChangeTime,KBArticleIDs | Format-List -Property Title,@{l='UpdateID';e={$_.Identity.UpdateID}},@{l='PublishedDate';e={$_.LastDeploymentChangeTime.ToString('yyyy-MM-dd')}},@{l='KBArticle';e={$_.KBArticleIDs}},IsHidden

음... 어쩔 수 없을 것 같습니다. WindowsUpdate 클래스가 사라진 이상, 원래의 COM 개체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는 수밖에.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60정성태12/18/202017820기타: 78. 도서 소개 - C#으로 배우는 암호학
12459정성태12/16/202019082Linux: 35. C# - 리눅스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58정성태12/16/202016719오류 유형: 694. C# - Task.Start 메서드 호출 시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Start may not be called on a task that has completed.'" 예외 발생 [1]
12457정성태12/15/202016954Windows: 185. C# - Windows 10/2019부터 추가된 SIO_TCP_INFO파일 다운로드1
12456정성태12/15/202017855VS.NET IDE: 156. Visual Studio - "Migrate packages.config to PackageReference"
12455정성태12/15/202017261오류 유형: 693. DLL 로딩 시 0x800704ec - This Program is Blocked by Group Policy [1]
12454정성태12/15/202017805Windows: 184. Windows - AppLocker의 "DLL Rules"를 이용해 임의 경로에 설치한 DLL의 로딩을 막는 방법 [1]
12453정성태12/14/202018733.NET Framework: 984. C# - bool / BOOL / VARIANT_BOOL에 대한 Interop [1]파일 다운로드1
12452정성태12/14/202019138Windows: 183. 설정은 가능하지만 구할 수는 없는 TcpTimedWaitDelay 값
12451정성태12/14/202017144Windows: 182. WMI Namespace를 열거하고, 그 안에 정의된 클래스를 열거하는 방법 [5]
12450정성태12/13/202018267.NET Framework: 983. C# - TIME_WAIT과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49정성태12/11/202019269.NET Framework: 982. C# - HttpClient에서의 ephemeral port 재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2448정성태12/11/202020668.NET Framework: 981. C# - HttpWebRequest, WebClient와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47정성태12/10/202018739.NET Framework: 980. C# - CopyFileEx API 사용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446정성태12/10/202019819.NET Framework: 979. C# - CoCreateInstanceEx 사용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445정성태12/8/202015644오류 유형: 692. C# Marshal.PtrToStructure - The structure must not be a value class.파일 다운로드1
12444정성태12/8/202017104.NET Framework: 978. C# - GUID 타입 전용의 UnmanagedType.LPStruct [1]파일 다운로드1
12443정성태12/8/202016507.NET Framework: 977. C# PInvoke - C++의 매개변수에 대한 마샬링을 tlbexp.exe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
12442정성태12/4/202015406오류 유형: 691. Visual Studio - Build Events에 robocopy를 사용할때 "Invalid Parameter #1" 오류가 발행하는 경우
12441정성태12/4/202014865오류 유형: 690. robocopy - ERROR : No Destination Directory Specified.
12440정성태12/4/202016404오류 유형: 689. SignTool Error: Invalid option: /as
12439정성태12/4/202018461디버깅 기술: 176. windbg - 특정 Win32 API에서 BP가 안 걸리는 경우 (2) [1]
12438정성태12/2/202017720오류 유형: 688. .Visual C++ - Error C2011 'sockaddr': 'struct' type redefinition
12437정성태12/1/202017945VS.NET IDE: 155. pfx의 암호 키 파일을 Visual Studio 없이 등록하는 방법
12436정성태12/1/202018077오류 유형: 687. .NET Core 2.2 빌드 - error MSB4018: The "RazorTagHelper" task failed unexpectedly.
12435정성태12/1/202025182Windows: 181.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4) - ReuseUnicastPort를 이용한 포트 고갈 문제 해결 [1]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