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s 10+에서 WMI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 제거

아래의 글을 쓸 때만 해도,

WMI Namespace를 열거하고, 그 안에 정의된 클래스를 열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51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가 있었는데, 근래의 Windows 10+에서 실습해 보니까 없어졌습니다.

PS C:\Windows\System32>  Get-WmiObject -Namespace Root/Microsoft/Windows -Class __Namespace | Select-Object -Property Name

Name
----
RemoteAccess
Dns
Powershellv3
Hgs
DeviceGuard
TaskScheduler
DesiredStateConfigurationProxy
SmbWitness
Wdac
winrm
AppBackgroundTask
PS_MMAgent
Storage
HardwareManagement
SMB
EventTracingManagement
DesiredStateConfiguration
Attestation
CI
DeliveryOptimization
Defender

다음의 글에 보면,

Windows update change in Server 1709
; https://richardspowershellblog.wordpress.com/2017/11/17/windows-update-change-in-server-1709/

Scan, download and install Windows Updates with PowerShell
; https://4sysops.com/archives/scan-download-and-install-windows-updates-with-powershell/

1709 업데이트에서 변화가 있긴 하지만, 그래도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가 있는 것으로는 나옵니다. 실제로, Windows Server 2019에서는 위의 내용이 그대로 잘 실행이 됩니다.

PS C:\> Get-Module -Name *Update*

ModuleType Version    Name                                ExportedCommands
---------- -------    ----                                ----------------
Manifest   1.0.0.2    WindowsUpdateProvider               {Get-WUAVersion, Get-WUIsPendingReboot, Get-WULastInstalla...

PS C:\> Get-Command -Module WindowsUpdateProvider

CommandType     Name                                               Version    Source
-----------     ----                                               -------    ------
Function        Get-WUAVersion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Get-WUIsPendingReboot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Get-WULastInstallationDate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Get-WULastScanSuccessDate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Install-WUUpdates                                  1.0.0.2    WindowsUpdateProvider
Function        Start-WUScan                                       1.0.0.2    WindowsUpdateProvider

하지만 좀 더 살펴 보면,

start-wuscan cmdlet is not avialble to run on few Windows 10
; https://docs.microsoft.com/en-us/answers/questions/212035/start-wuscan-cmdlet-is-not-avialble-to-run-on-few.html

2004 (20H1) 버전부터 PowerShell에서 제공하던 "WindowsUpdateProvider"가 제거되었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것은 WMI 네임스페이스에서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항목이 없어진 것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WindowsUpdateProvider의 "MSFT_WUOperations.psm1" 소스 코드를 보면,

# This function's purpose is to take the output of the MI provider, an array of fixed size, and convert it to an array list of non-fixed size.
# The reason for this is so that a caller of this module is able to easily select which updates they wish to download & install
function Start-WUScan
{
    param
    (
        [parameter(Mandatory = $false)]
        $SearchCriteria
    )

    If($SearchCriteria -eq $null)
    {
        $scanres = Invoke-CimMethod -Namespace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ClassName MSFT_WUOperations -MethodName ScanForUpdates
    }
    else
    {
        $scanres = Invoke-CimMethod -Namespace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ClassName MSFT_WUOperations -MethodName ScanForUpdates -Arguments @{SearchCriteria=$SearchCriteria}
    }
    
    if($scanres.ReturnValue -eq 0)
    {
        $arrlist = New-Object System.Collections.ArrayList
        $arrlist.AddRange($scanres.Updates) | out-null

        # Comma is added to prevent powershell from converting return to an array
        return ,$arrlist
    }
    else
    {
        Write-Error "Scan hit error: $scanres.ReturnValue"
    }
}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있는데, 이러한 PowerShell 모듈을 없앤 데에는 아무래도 그것이 사용하는 WMI 클래스가 없어진 이유 때문이 아닌가 짐작을 하게 됩니다.

이와 함께 "start-wuscan cmdlet is not avialble to run on few Windows 10" 글에서는 우회 방법으로 "Microsoft.Update.Session" COM 개체를 사용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Session = new-object -com "Microsoft.Update.Session"
$ctr = "(IsInstalled=0 and DeploymentAction=*) or (IsInstalled=1 and DeploymentAction=*) or (IsHidden=1 and DeploymentAction=*)"
$Result = $Session.CreateupdateSearcher().Search($ctr).Updates
$Result | Select Title,Identity,IsHidden,LastDeploymentChangeTime,KBArticleIDs | Format-List -Property Title,@{l='UpdateID';e={$_.Identity.UpdateID}},@{l='PublishedDate';e={$_.LastDeploymentChangeTime.ToString('yyyy-MM-dd')}},@{l='KBArticle';e={$_.KBArticleIDs}},IsHidden

음... 어쩔 수 없을 것 같습니다. WindowsUpdate 클래스가 사라진 이상, 원래의 COM 개체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는 수밖에.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52정성태10/18/201811652오류 유형: 498. SQL 서버 - Database source is not a supported version of SQL Server
11751정성태10/18/201811741오류 유형: 497. Visual Studio 실행 시 그래픽이 투명해진다거나, 깨진다면?
11750정성태10/18/201810472오류 유형: 496. 비주얼 스튜디오 - One or more projects in the solution were not loaded correctly.
11749정성태10/18/201811944개발 환경 구성: 413.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작성한 프로그램을 빌드하는 가장 쉬운 방법
11748정성태10/18/201812877개발 환경 구성: 412. Arduino IDE를 Store App으로 설치한 경우 컴파일만 되고 배포가 안 되는 문제
11747정성태10/17/201813037.NET Framework: 799. C# - DLL에도 EXE처럼 Main 메서드를 넣어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46정성태10/15/201812283개발 환경 구성: 411. Bitvise SSH Client의 인증서 모드에서 자동 로그인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45정성태10/15/201810877오류 유형: 495. TFS 파일/폴더 삭제 - The item [...] could not be found in your workspace, or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it.
11744정성태10/15/201811359개발 환경 구성: 410. msbuild로 .pubxml 설정에 따른 배포 파일을 만드는 방법
11743정성태10/15/201812054웹: 37. Bootstrap의 dl/dt/dd 조합에서 문자열이 잘리지 않도록 CSS 설정
11742정성태10/15/201817784스크립트: 13. 윈도우 배치(Batch) 스크립트에서 날짜/시간 문자열을 구하는 방법
11741정성태10/15/201812053Phone: 13. Android - LinearLayout 간략 설명
11740정성태10/15/201814256사물인터넷: 51. Synology NAS(DS216+II)를 이용한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
11739정성태10/15/201815651Windows: 151. 윈도우 10의 전원 관리가 "균형 조정(Balanced)"으로 바뀌는 문제
11738정성태10/15/201814402오류 유형: 494. docker - 윈도우에서 실행 시 "unknown shorthand flag" 오류 [1]
11737정성태10/13/201810292오류 유형: 493. Azure Kudu - There are ... items in this directory, but maxViewItems is set to 299
11736정성태10/12/201811514오류 유형: 492. Visual Studio 로딩 시 오류 - The 'Scc Display Information'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1735정성태10/12/201817195VS.NET IDE: 129. Visual Studio - 특정 문자(열)를 개행 문자로 바꾸는 방법
11734정성태10/10/201812237Linux: 4. Synology NAS(DS216+II)에 FTDI 장치 연결 후 C#(.NET Core)으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33정성태10/10/201814132Linux: 3. Synology NAS(DS216+II)에서 FTDI 장치를 C/C++로 제어
11732정성태10/10/201814209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731정성태10/9/201813516개발 환경 구성: 409.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웹 앱 확장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30정성태10/9/201812592개발 환경 구성: 408.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파일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29정성태10/9/201814651Windows: 150. 윈도우에서 ARP Cache 목록 확인 및 삭제하는 방법
11728정성태10/9/201813407사물인터넷: 50.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1]
11727정성태10/8/201814110오류 유형: 491. Visual Studio의 리눅스 SSH 원격 연결 - "Connectivity Failure. Please make sure host name and port number are correct."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