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24. C# - .NET Platform Extension의 ObjectPool<T> 사용법 소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63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478

.NET Framework: 999.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480

.NET Framework: 1124. C# - .NET Platform Extension의 ObjectPool<T> 사용법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893

.NET Framework: 1125. C# - DefaultObjectPool<T>의 IDisposable 개체에 대한 풀링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894




C# - .NET Platform Extension의 ObjectPool<T> 사용법 소개

예전에, ArrayPool과 MemoryPool에 대해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480

그렇다면 당연히 일반적인 개체에 대한 Pool 구현을 찾을 수밖에 없는데요, 재미있게도 기본적인 .NET Core/5+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의 ".NET Platform Extension"이라는 구성 요소로 나와 있습니다.

ObjectPool<T> Clas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microsoft.extensions.objectpool.objectpool-1?view=dotnet-plat-ext-6.0

저도 오늘 처음 저 문구가 눈에 들어왔는데요, ^^; 이에 대해 stackoverflow에 다음의 질문/답변이 있습니다.

What are .NET Platform Extensions on docs.microsoft.com?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3097067/what-are-net-platform-extensions-on-docs-microsoft-com

그러니까, .NET Core/5+의 프레임워크에는 추가되지 못한 "확장 구성 요소"입니다. 이름에 "Platform"이 들어가 있어 플랫폼 의존적인 것이 있지 않을까 싶어도 실제 네임스페이스나 어셈블리 명을 보면 단순히 "Microsoft.Extensions."로 시작하므로 꼭 그렇다고 볼 수는 없을 듯합니다.

그나저나 도움말 문서를 보면,

net_platform_ext_1.png

1.0부터 시작해 벌써 6.0까지 꾸준히 업데이트되었는데... 왜 저는 이제서야 그 이름을 들어본 걸까요? ^^




ObjectPool에 대한 사용법은 아래의 글에서 이미 잘 소개하고 있습니다.

Detailed Explanation of Object Pool’s Various Usages in.NET Core
; https://developpaper.com/detailed-explanation-of-object-pools-various-usages-in-net-core/

저는 그냥 위의 글을 거의 베끼는 수준으로 정리만 해보겠습니다. ^^

자, 그럼 우선 NuGet으로부터 패키지 참조 추가를 해야겠지요?

// 현재, 최신 버전의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은 요구 사항이 .NET Standard 2.0이므로 .NET Framework 환경에서도 4.6.1 이상이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 Install-Package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 -Version 6.0.1

Install-Package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

ObjectPool<T> 자체는 추상 타입입니다. 왜냐하면, 개체에 대한 생성자 호출이 제각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개체를 생성하는 작업을 제외하고는 모두 구현을 해두었고,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new 작업만 해결하면 되므로 굳이 ObjectPool을 상속해 구현할 필요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DefaultObjectPool<T> 타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DefaultObjectPool Clas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microsoft.extensions.objectpool.defaultobjectpool-1?view=dotnet-plat-ext-6.0

예를 들어, Socket 개체를 10개 풀링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DefaultObjectPool을 사용해 자신만의 ObjectPool을 만들 수 있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PooledObjectPolicy<Socket> policy = ...[생략]...;

    // 최댓수 10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은 Environment.ProcessorCount * 2
    DefaultObjectPool<Socket> pool = new DefaultObjectPool<Socket>(policy, 10);
}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것은 특정 서버로 연결된 소켓일 텐데요, 이를 위해 소켓 생성을 우리가 명시해야 하는데 이 과정을 IPooledObjectPolicy<T> 인터페이스만 구현한 코드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PooledObjectPolicy : IPooledObjectPolicy<Socket>
{
    string _host;
    int _port;

    public PooledObjectPolicy(string host, int port)
    {
        _host = host;
        _port = port;
    }

    public Socket Create()
    {
        Socket socke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socket.Connect(_host, _port);
        return socket;
    }

    public bool Return(Socket obj)
    {
        return true;
    }
}

바로 저 PooledObjectPolicy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ObjectPool의 인자에 전달하면,

IPooledObjectPolicy<Socket> policy = new PooledObjectPolicy("localhost", 39_999);

DefaultObjectPool<Socket> pool = new DefaultObjectPool<Socket>(policy, 10);

개체 풀링이 이뤄지는 것입니다.

for (int i = 0; i < 3; i++)
{
    Socket socket = pool.Get(); // 개체를 요청하고,
    pool.Return(socket); // 곧바로 반환하므로, 실제로는 1개의 Socket 개체만 생성됨
}




"풀링"에 대한 기본 동작 방식은 ArrayPool과 같습니다. 즉, "개체 풀링"이라고 해서 그동안 흔히 사용했던 ADO.NET의 연결 개체 풀링처럼 동작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위의 예제에서 최댓값 10을 지정했는데) 10개의 개체를 다 소진한 이후에도 여전히 (아무런 지연 없이) 새로운 개체를 Get 메서드를 이용해 요청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for (int i = 0; i < 11; i++)
{
    Socket socket = pool.Get(); // 11번의 Get 요청이지만 지연 없이 11개의 개체를 반환
}

단지, 10개까지는 Return을 통해 풀에 반환할 수 있는 반면 11개 이후의 개체는 반환이 되지 않고 GC 대상이 될 뿐입니다. 이에 대한 테스트를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List<Socket> sockets = new List<Socket>();
for (int i = 0; i < 11; i++)
{
    sockets.Add(pool.Get()); // 이 루프에서 11개의 Socket 개체가 생성
}

Console.WriteLine();
sockets.ForEach((elem) => pool.Return(elem)); // 11개의 개체를 반환한다고 호출해도 실제로는 10개만 반환
sockets.Clear();

for (int i = 0; i < 11; i++)
{
    sockets.Add(pool.Get()); // 이 루프에서는 10개는 풀로부터 반환되고, 1개만 새롭게 생성해 반환
}




동작 방식이 저렇기 때문에 고성능을 요구하는 환경에서 GC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설령 개체를 풀에 반환하는 동작에 버그가 있다고 해도 후속 요청에서 (DB 연결과는 달리) 지연 현상 없이 곧바로 개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근래의 C# 10과 각종 Pool 개체를 잘 조합하면 정말 GC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C# 프로그램도 꿈은 아닐 듯합니다. 아마도 위의 방식들을 조합해서 .NET 6의 ASP.NET 관련 성능을 끌어올렸을 것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5정성태6/20/200622637오류 유형: 9. [TFS] Report 관련 서비스를 조회할 때 rsErrorImpersonatingUser 오류 메시지 발생 [1]
284정성태6/19/200620387VS.NET IDE: 40. FxCop - IDE 에서 제공해 주는 SuppressMessage 코드
283정성태1/19/200721240Team Foundation Server: 8. 소스 세이프에서 TFS SourceControl 로 마이그레이션 [2]
279정성태12/27/200626667개발 환경 구성: 3. VS.NET 원격 디버깅 [1]
280정성태6/12/20062610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1. VS.NET 2003 원격 디버깅 설정
281정성태8/11/20062760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2.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315정성태8/11/20062824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3.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 ASP.NET F5 디버깅
278정성태6/11/200624767오류 유형: 8. [Outlook] 0x8004011D 에러 - "Exchange over the Internet" 환경
276정성태6/7/200618231Team Foundation Server: 7. 외부 빌드 머신 구성
287정성태6/24/200615861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7.1. 외부 빌드 머신 구성 - 다른 블로그 자료
275정성태6/7/200623803디버깅 기술: 4. VC++ 8.0 원격 디버깅 구성 - Side-by-Side DLL 문제.
269정성태6/6/200620994Team Foundation Server: 6.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0정성태6/5/200617939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1.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3정성태6/6/200620652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2. 두번째 방법 -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67정성태6/4/200619968Team Foundation Server: 5. 인터넷으로 Team Server 접근 [2]
266정성태6/8/200616545오류 유형: 7. [설치] mpoai9.dll 관련 오류
265정성태6/1/200624267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314정성태8/11/200621354    답변글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264정성태6/1/200630435오류 유형: 6. [VC++ 컴파일] already defined in ntdll.lib(ntdll.dll)
263정성태6/1/200631439디버깅 기술: 2. 커널 구조체 살펴보기 [5]
262정성태6/1/200623771오류 유형: 5. [설치] WinFX Beta2 - 설치시 문제점 해결
261정성태6/1/200620231웹: 3. IIS 6.0 - AppPool을 활용하여 실 서버(운영 서버)에서 디버깅
258정성태6/1/200628159디버깅 기술: 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1]파일 다운로드1
274정성태6/7/200621061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 on Vista )
254정성태6/1/200617551개발 환경 구성: 2. VPC에 Vista 설치하는 방법 [2]
255정성태6/1/20061722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1. msconfig 설정과 Windows Activa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