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478

.NET Framework: 999.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480

.NET Framework: 1124. C# - .NET Platform Extension의 ObjectPool<T> 사용법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893

.NET Framework: 1125. C# - DefaultObjectPool<T>의 IDisposable 개체에 대한 풀링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894




C# - DefaultObjectPool<T>의 IDisposable 개체에 대한 풀링 문제

(2021-12-31 업데이트) 덧글에 달린 dimohy 님의 의견을 꼭 읽어 주세요. 이 글에서 설명한 모든 문제가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들어둔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DisposableObjectPool<T>로 해결이 됩니다. 단지, 해당 클래스의 접근자가 internal이기 때문에 docs 공식 문서에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지난 글에,

C# - .NET Platform Extension의 ObjectPool<T> 사용법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893

ObjectPool을 간단하게 살펴봤는데요, 제가 아직 이 타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지는 모르겠지만 DefaultObjectPool의 경우 IDisposable 개체를 풀링 시에는 약간의 문제가 있습니다. 말로 설명하면 복잡하니, 곧바로 예제 코드로 작성해 보면,

IPooledObjectPolicy<Socket> policy = new PooledObjectPolicy("localhost", 39_999);
DefaultObjectPool<Socket> pool = new DefaultObjectPool<Socket>(policy, 10);

Socket socket1 = pool.Get(); // PooledObjectPolicy.Create로 생성된 Socket 하나를 가져와서 사용.
Socket socket2 = pool.Get(); // PooledObjectPolicy.Create로 생성된 Socket 하나를 가져와서 사용.
// ...
pool.Return(socket1); // 풀에 반환
pool.Return(socket2); // 풀에 반환

현재, 위의 경우 10개까지 보관할 수 있는 ObjectPool 내에 2개의 Socket 연결 개체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이제 해당 풀이 필요 없을 시점이 되면, 그 Socket 자원을 Dispose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다는 점입니다.

물론 명확하게 2개의 개체가 풀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그냥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for (int i = 0; i < 2; i ++)
{
    Socket socket = pool.Get();
    socket.Dispose();
}

하지만, 저런 가정은 현실에서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더욱 심각한 것은, Pool에 반환되지 않은 개체는 Memory Leak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가령, 다음과 같이 2개의 max를 가진 풀링 상황에서 풀의 용량 이상에 해당하는 개체를 반환하는 경우,

IPooledObjectPolicy<Socket> policy = new PooledObjectPolicy("localhost", 39_999);
DefaultObjectPool<Socket> pool = new DefaultObjectPool<Socket>(policy, 2);

Socket socket1 = pool.Get(); // PooledObjectPolicy.Create로 생성된 Socket 하나를 가져와서 사용.
Socket socket2 = pool.Get(); // PooledObjectPolicy.Create로 생성된 Socket 하나를 가져와서 사용.
Socket socket3 = pool.Get(); // PooledObjectPolicy.Create로 생성된 Socket 하나를 가져와서 사용.
// ...
pool.Return(socket1); // 풀에 반환
pool.Return(socket2); // 풀에 반환
pool.Return(socket3); // 풀에 반환되지 않음.
                      // 하지만 사용자 측에서 Dispose 호출 여부를 결정할 수도 없음.

당연히 3번째 개체는 풀에 반환되지 않는데, 그렇다면 그것을 사용자 측에서 소켓 연결을 끊는 작업을 해야 하지만 그것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마땅하게 없습니다. 왜냐하면 DefaultObjectPool이 외부에 공개하는 것은 Get, Return 2개뿐이고 부모 클래스에 접근 가능한 protected/public 멤버가 하나도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Get/Return 메서드를 override해도 딱히 더 사용자 정의할 것이 없습니다.

public class MyPool<T>: DefaultObjectPool<T> where T: class
{
    public MyPool(IPooledObjectPolicy<T> policy) : base(policy) { }

    public override T Get()
    {
        return base.Get(); // 해당 개체가 풀링으로부터 온 것인지, 새롭게 생성된 것인지 알 수 없고,
    }

    public override void Return(T obj)
    {
        base.Return(obj); // 해당 개체가 풀로 반환이 된 것인지, 무시된 것인지 알 수 없고!
    }
}

이로 인해, 풀링이 되지 않을 개체를 해제하기 위한 어떠한 조건도 얻어낼 수 없는 것입니다.




현실적인 기준으로 봤을 때, 사실 개체 풀링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Dispose를 요구하는 개체입니다. DB 연결 개체를 포함한 소켓 연결이 그 좋은 사례인데요, 막상 사용하려니 저렇게 자원 해제 문제가 걸리는 것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일단, 저는 잘 모르겠고 어쩔 수 없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직접 ObjectPool을 상속해 구현하는 식으로 해결했습니다. (물론, 굳이 ObjectPool을 상속할 필요는 없습니다.)

public class DisposableObjectPool<T> : ObjectPool<T>, IDisposable where T : class, IDisposable
{
    int _maxItems = 0;
    Queue<T> _queue;
    Func<T> _createDelegate;
    object _objLock = new object();

    public DisposableObjectPool(int maxItems, Func<T> createDelegate)
    {
        _maxItems = maxItems;
        _createDelegate = createDelegate;
        _queue = new Queue<T>(_maxItems);
    }

    public void Dispose()
    {
        lock (_queue)
        {
            while (_queue.Count > 0)
            {
                T result = _queue.Dequeue();
                result.Dispose();
            }
        }
    }

    public override T Get()
    {
        lock (_objLock)
        {
            if (_queue.Count != 0)
            {
                return _queue.Dequeue();
            }
        }

        return _createDelegate();
    }

    public override void Return(T item)
    {
        lock (_queue)
        {
            if (_queue.Count < _maxItems)
            {
                _queue.Enqueue(item);
                return;
            }
        }

        item.Dispose();
    }
}

그래서 대충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sing (DisposableObjectPool<Socket> pool = new DisposableObjectPool<Socket>(1,
        () =>
        {
            Socket socke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socket.Connect("127.0.01", 39999);
            return socket;
        }))
    {
        Socket socket1 = pool.Get();
        Socket socket2 = pool.Get();

        Console.WriteLine(socket1.Connected); // True
        Console.WriteLine(socket2.Connected); // True

        pool.Return(socket1); // max == 1이므로, 풀에 반환
        pool.Return(socket2); // 풀의 용량을 넘었으므로 풀에 반환하지 못하고 Dispose 호출로 자원 해제

        Console.WriteLine(socket1.Connected); // True
        Console.WriteLine(socket2.Connected); // False
    }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12-31 12시30분
[dimohy] 'DefaultObjectPoolProvider(인스턴스).Create<T>(policy)' 를 이용하면 T가 'IDisposable'를 구현했을 경우 'DisposableObjectPool<T>'를 사용합니다.

https://source.dot.net/#Microsoft.Extensions.ObjectPool/DefaultObjectPoolProvider.cs
https://source.dot.net/#Microsoft.Extensions.ObjectPool/DisposableObjectPool.cs
[guest]
2021-12-31 01시16분
@dimohy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 ^^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 네임스페이스의 클래스를 자세히 살펴봤어야 했군요. ^^;

그나저나, 그 와중에 제가 작명한 DisposableObjectPool과 이름이 같은데 ^^ 재미있게도 DisposableObjectPool은 internal이고, DefaultObjectPool은 public이라 약간 혼란스러운 듯합니다. 게다가 Create에서 풀링 개체의 상한을 지정할 수 없어서 Provider와 Create 호출을 나눠야 하는 것도 그렇고... 좀 요상하게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PooledObjectPolicy<Socket> policy = new PooledObjectPolicy("localhost", 39_999);

    var provider = new DefaultObjectPoolProvider();
    provider.MaximumRetained = 1;

    ObjectPool<Socket> pool = provider.Create(policy);
    {
        Socket socket1 = pool.Get();
        Socket socket2 = pool.Get();

        Console.WriteLine(socket1.Connected); // True
        Console.WriteLine(socket2.Connected); // True

        pool.Return(socket1);
        pool.Return(socket2);

        Console.WriteLine(socket1.Connected); // True
        Console.WriteLine(socket2.Connected); // False

        (pool as IDisposable).Dispose();

        Console.WriteLine(socket1.Connected); // False
        Console.WriteLine(socket2.Connected); // False
    }
}
정성태
2021-12-31 02시08분
[dimohy] 네. 요상한것에 저도 동의합니다;
[guest]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54정성태5/31/201326333Java: 15. Java 7 Control Panel 실행시키는 방법
1453정성태5/22/201325357기타: 32. Microsoft FTP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
1452정성태5/21/201333082Windows: 73. TabProcGrowth 값 삭제 후 IE를 실행시키면 다시 복원되는 경우 [3]
1451정성태5/17/201331987Windows: 72. 윈도우 서버 2012 기초 사용법
1450정성태5/16/201322750오류 유형: 176. SQL10007N Message "0" could not be retrieved. Reason code: "3"
1449정성태5/15/201329848오류 유형: 175. SpeechRecognitionEngine 사용 시 오류 유형 2가지
1448정성태5/14/201324842VC++: 68. #pragma warning(disable: ...)로 오류 제어가 안된다면?
1447정성태5/3/201326536개발 환경 구성: 191. Debugging Tools for Windows 독립 설치 버전 [1]
1446정성태4/30/201327343.NET Framework: 368. Encoding 타입의 대체(fallback) 메카니즘 [1]
1445정성태4/26/201325563디버깅 기술: 54. NT 서비스의 Main 메서드 안에서 Process.GetProcessesByName 호출 시 멈춤 현상 [1]
1444정성태4/26/201329573기타: 31. Internet Explorer: 자바스크립트로 숨겨진 파일 다운로드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
1443정성태4/24/201325255개발 환경 구성: 190. Azure PaaS 웹 응용 프로그램 배포 후 SMTP 서버 구성 [2]
1442정성태4/21/201328825기타: 30.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CPU 점유 현상으로 글자 입력이 느려졌다면? [1]
1441정성태4/21/201335421.NET Framework: 367.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14]
1440정성태4/19/201324169오류 유형: 174. dumpbin.exe 실행시 mspdb110.dll 로드 오류
1439정성태4/18/201328030VS.NET IDE: 76. Visual Studio 2012와 Itanium 빌드 옵션 [2]
1438정성태4/17/201327446.NET Framework: 366.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437정성태4/17/201327680VC++: 67.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1436정성태4/17/201333064.NET Framework: 365. Local SYSTEM 권한으로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35정성태4/15/201341943Windows: 71. ad-hoc 보다 더 편리한 "가상 Wifi" 를 이용한 인터넷 공유 [2]
1434정성태4/9/201323226오류 유형: 173. TFS 서버의 이벤트 로그 오류 - WebHost failed to process a request. Parameter name: certificate
1433정성태4/9/201323535개발 환경 구성: 189. TFS에 설치된 SharePoint 의 PowerShell 콘솔 띄우는 방법
1432정성태4/5/201324550오류 유형: 172. System.Web.PipelineModuleStepContainer.GetEventCount 에서 NullReferenceException 이 발생한다면?
1431정성태4/5/201325159기타: 29. 부팅 가능한 (외장) HDD를 기존 부팅 메뉴에 추가하는 방법
1430정성태4/4/201327043제니퍼 .NET: 23. 모바일용 웹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응답 시간 지연 현상 [5]파일 다운로드1
1429정성태3/29/201323403개발 환경 구성: 188. SCOM 2012 - ASP.NET 모니터링 방법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