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478

.NET Framework: 999.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480

.NET Framework: 1124. C# - .NET Platform Extension의 ObjectPool<T> 사용법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893

.NET Framework: 1125. C# - DefaultObjectPool<T>의 IDisposable 개체에 대한 풀링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894




C# - DefaultObjectPool<T>의 IDisposable 개체에 대한 풀링 문제

(2021-12-31 업데이트) 덧글에 달린 dimohy 님의 의견을 꼭 읽어 주세요. 이 글에서 설명한 모든 문제가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들어둔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DisposableObjectPool<T>로 해결이 됩니다. 단지, 해당 클래스의 접근자가 internal이기 때문에 docs 공식 문서에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지난 글에,

C# - .NET Platform Extension의 ObjectPool<T> 사용법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893

ObjectPool을 간단하게 살펴봤는데요, 제가 아직 이 타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지는 모르겠지만 DefaultObjectPool의 경우 IDisposable 개체를 풀링 시에는 약간의 문제가 있습니다. 말로 설명하면 복잡하니, 곧바로 예제 코드로 작성해 보면,

IPooledObjectPolicy<Socket> policy = new PooledObjectPolicy("localhost", 39_999);
DefaultObjectPool<Socket> pool = new DefaultObjectPool<Socket>(policy, 10);

Socket socket1 = pool.Get(); // PooledObjectPolicy.Create로 생성된 Socket 하나를 가져와서 사용.
Socket socket2 = pool.Get(); // PooledObjectPolicy.Create로 생성된 Socket 하나를 가져와서 사용.
// ...
pool.Return(socket1); // 풀에 반환
pool.Return(socket2); // 풀에 반환

현재, 위의 경우 10개까지 보관할 수 있는 ObjectPool 내에 2개의 Socket 연결 개체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이제 해당 풀이 필요 없을 시점이 되면, 그 Socket 자원을 Dispose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다는 점입니다.

물론 명확하게 2개의 개체가 풀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그냥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for (int i = 0; i < 2; i ++)
{
    Socket socket = pool.Get();
    socket.Dispose();
}

하지만, 저런 가정은 현실에서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더욱 심각한 것은, Pool에 반환되지 않은 개체는 Memory Leak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가령, 다음과 같이 2개의 max를 가진 풀링 상황에서 풀의 용량 이상에 해당하는 개체를 반환하는 경우,

IPooledObjectPolicy<Socket> policy = new PooledObjectPolicy("localhost", 39_999);
DefaultObjectPool<Socket> pool = new DefaultObjectPool<Socket>(policy, 2);

Socket socket1 = pool.Get(); // PooledObjectPolicy.Create로 생성된 Socket 하나를 가져와서 사용.
Socket socket2 = pool.Get(); // PooledObjectPolicy.Create로 생성된 Socket 하나를 가져와서 사용.
Socket socket3 = pool.Get(); // PooledObjectPolicy.Create로 생성된 Socket 하나를 가져와서 사용.
// ...
pool.Return(socket1); // 풀에 반환
pool.Return(socket2); // 풀에 반환
pool.Return(socket3); // 풀에 반환되지 않음.
                      // 하지만 사용자 측에서 Dispose 호출 여부를 결정할 수도 없음.

당연히 3번째 개체는 풀에 반환되지 않는데, 그렇다면 그것을 사용자 측에서 소켓 연결을 끊는 작업을 해야 하지만 그것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마땅하게 없습니다. 왜냐하면 DefaultObjectPool이 외부에 공개하는 것은 Get, Return 2개뿐이고 부모 클래스에 접근 가능한 protected/public 멤버가 하나도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Get/Return 메서드를 override해도 딱히 더 사용자 정의할 것이 없습니다.

public class MyPool<T>: DefaultObjectPool<T> where T: class
{
    public MyPool(IPooledObjectPolicy<T> policy) : base(policy) { }

    public override T Get()
    {
        return base.Get(); // 해당 개체가 풀링으로부터 온 것인지, 새롭게 생성된 것인지 알 수 없고,
    }

    public override void Return(T obj)
    {
        base.Return(obj); // 해당 개체가 풀로 반환이 된 것인지, 무시된 것인지 알 수 없고!
    }
}

이로 인해, 풀링이 되지 않을 개체를 해제하기 위한 어떠한 조건도 얻어낼 수 없는 것입니다.




현실적인 기준으로 봤을 때, 사실 개체 풀링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Dispose를 요구하는 개체입니다. DB 연결 개체를 포함한 소켓 연결이 그 좋은 사례인데요, 막상 사용하려니 저렇게 자원 해제 문제가 걸리는 것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일단, 저는 잘 모르겠고 어쩔 수 없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직접 ObjectPool을 상속해 구현하는 식으로 해결했습니다. (물론, 굳이 ObjectPool을 상속할 필요는 없습니다.)

public class DisposableObjectPool<T> : ObjectPool<T>, IDisposable where T : class, IDisposable
{
    int _maxItems = 0;
    Queue<T> _queue;
    Func<T> _createDelegate;
    object _objLock = new object();

    public DisposableObjectPool(int maxItems, Func<T> createDelegate)
    {
        _maxItems = maxItems;
        _createDelegate = createDelegate;
        _queue = new Queue<T>(_maxItems);
    }

    public void Dispose()
    {
        lock (_queue)
        {
            while (_queue.Count > 0)
            {
                T result = _queue.Dequeue();
                result.Dispose();
            }
        }
    }

    public override T Get()
    {
        lock (_objLock)
        {
            if (_queue.Count != 0)
            {
                return _queue.Dequeue();
            }
        }

        return _createDelegate();
    }

    public override void Return(T item)
    {
        lock (_queue)
        {
            if (_queue.Count < _maxItems)
            {
                _queue.Enqueue(item);
                return;
            }
        }

        item.Dispose();
    }
}

그래서 대충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sing (DisposableObjectPool<Socket> pool = new DisposableObjectPool<Socket>(1,
        () =>
        {
            Socket socke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socket.Connect("127.0.01", 39999);
            return socket;
        }))
    {
        Socket socket1 = pool.Get();
        Socket socket2 = pool.Get();

        Console.WriteLine(socket1.Connected); // True
        Console.WriteLine(socket2.Connected); // True

        pool.Return(socket1); // max == 1이므로, 풀에 반환
        pool.Return(socket2); // 풀의 용량을 넘었으므로 풀에 반환하지 못하고 Dispose 호출로 자원 해제

        Console.WriteLine(socket1.Connected); // True
        Console.WriteLine(socket2.Connected); // False
    }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12-31 12시30분
[dimohy] 'DefaultObjectPoolProvider(인스턴스).Create<T>(policy)' 를 이용하면 T가 'IDisposable'를 구현했을 경우 'DisposableObjectPool<T>'를 사용합니다.

https://source.dot.net/#Microsoft.Extensions.ObjectPool/DefaultObjectPoolProvider.cs
https://source.dot.net/#Microsoft.Extensions.ObjectPool/DisposableObjectPool.cs
[guest]
2021-12-31 01시16분
@dimohy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 ^^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 네임스페이스의 클래스를 자세히 살펴봤어야 했군요. ^^;

그나저나, 그 와중에 제가 작명한 DisposableObjectPool과 이름이 같은데 ^^ 재미있게도 DisposableObjectPool은 internal이고, DefaultObjectPool은 public이라 약간 혼란스러운 듯합니다. 게다가 Create에서 풀링 개체의 상한을 지정할 수 없어서 Provider와 Create 호출을 나눠야 하는 것도 그렇고... 좀 요상하게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PooledObjectPolicy<Socket> policy = new PooledObjectPolicy("localhost", 39_999);

    var provider = new DefaultObjectPoolProvider();
    provider.MaximumRetained = 1;

    ObjectPool<Socket> pool = provider.Create(policy);
    {
        Socket socket1 = pool.Get();
        Socket socket2 = pool.Get();

        Console.WriteLine(socket1.Connected); // True
        Console.WriteLine(socket2.Connected); // True

        pool.Return(socket1);
        pool.Return(socket2);

        Console.WriteLine(socket1.Connected); // True
        Console.WriteLine(socket2.Connected); // False

        (pool as IDisposable).Dispose();

        Console.WriteLine(socket1.Connected); // False
        Console.WriteLine(socket2.Connected); // False
    }
}
정성태
2021-12-31 02시08분
[dimohy] 네. 요상한것에 저도 동의합니다;
[guest]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72정성태1/7/201124234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3814.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4332.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0407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26703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28435.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6381.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27907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3068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963정성태12/13/201027950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2]파일 다운로드1
962정성태12/10/201022768오류 유형: 110. GAC 등록 - Failure adding assembly to the cache: Invalid file or assembly name.
961정성태12/10/201099831개발 환경 구성: 90.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PostgreSQL DB [5]
960정성태12/8/201045155.NET Framework: 195. .NET에서 코어(Core) 관련 CPU 정보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959정성태12/8/201031966.NET Framework: 194. Facebook 연동 - API Error Description: Invalid OAuth 2.0 Access Token
958정성태12/7/201028978개발 환경 구성: 89. 배치(batch) 파일에서 또 다른 배치 파일을 동기 방식으로 실행 및 반환값 얻기 [2]
957정성태12/6/201031729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3]
953정성태11/28/201036967.NET Framework: 193. 페이스북(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5]
952정성태11/25/201025373.NET Framework: 192. GC의 부하는 상대적인 것! [4]
950정성태11/18/201076744.NET Framework: 191. ClickOnce - 관리자 권한 상승하는 방법 [17]파일 다운로드2
954정성태11/29/201048736    답변글 .NET Framework: 191.1. [답변] 클릭원스 -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권한 상승이 필요합니다.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2E4) [2]
949정성태11/16/201027268오류 유형: 109. System.ServiceModel.Security.SecurityNegotiationException
948정성태11/16/201036142.NET Framework: 190. 트위터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7]파일 다운로드1
947정성태11/14/201041714.NET Framework: 189. Mono Cecil로 만들어 보는 .NET Decompiler [1]파일 다운로드1
946정성태11/11/201041587.NET Framework: 188. .NET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에서 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1]파일 다운로드1
945정성태11/11/201025088VC++: 44.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944정성태11/11/201031618VC++: 43.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2872: 'IServiceProvider' : ambiguous symbol could be ...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