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898

.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24

.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 https://www.sysnet.pe.kr/2/0/12932

.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3

.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35

.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
; https://www.sysnet.pe.kr/2/0/12936

.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7

.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1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2

.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9

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0

.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61

.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64

.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1

.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5

.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8

.NET Framework: 116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4

.NET Framework: 116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demuxing_de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7

.NET Framework: 117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e_aa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91

.NET Framework: 117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http_multiclient.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2

.NET Framework: 118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6

.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3

.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5

.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302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제가 ffmpeg 라이브러리는 처음이라, 아직은 뭘 만들지는 못하고 ^^ 그저 만들어진 소스 코드가 있으면 따라 하는 수준으로 가능합니다.

그런데, ffmpeg 라이브러리의 하위 호환성이... 정말 좋지 않습니다. 실제로 웹에 퍼진 블로그의 자료들을 참고하는 경우 현재 FFmpeg.AutoGen이 지원하는 4.4.1 버전으로는 빌드되는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 (그렇게 보면, 제가 지금 쓰는 글 역시 나중에는 deprecated 함수의 사용 예에 불과할 수 있다는 점!)

따라서, 블로그 등에서 ffmpeg 사용법을 찾기보다는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예제를 보는 것이 더 좋습니다.

FFmpeg - Examples
; https://ffmpeg.org/doxygen/trunk/examples.html

물론 ^^ 저 모든 예제를 포팅하진 못하고 그중에서 encode_video.c 파일만,

decoding_encoding.c
; https://ffmpeg.org/doxygen/trunk/encode_video_8c-example.html

다음과 같이 C#으로 변환했습니다.

using FFmpeg.AutoGen;
using FFmpeg.AutoGen.Example;
using System;
using System.IO;

namespace FFmpegApp1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FmpegBinariesHelper.RegisterFFmpegBinaries();

#if DEBUG
            Console.WriteLine("Current directory: " + Environment.CurrentDirectory);
            Console.WriteLine("Running in {0}-bit mode.", Environment.Is64BitProcess ? "64" : "32");
            Console.WriteLine($"FFmpeg version info: {ffmpeg.av_version_info()}");
#endif
            Console.WriteLine();

            video_encode_example("C:\\temp\\test.h264", AVCodecID.AV_CODEC_ID_H264);
        }

        static unsafe void encode(AVCodecContext* enc_ctx, AVFrame* frame, AVPacket* pkt, BinaryWriter output)
        {
            int ret;

            /* send the frame to the encoder */
            if (frame != null)
            {
                Console.WriteLine($"Send frame {frame->pts}");
            }

            ret = ffmpeg.avcodec_send_frame(enc_ctx, frame);
            if (ret < 0)
            {
                Console.WriteLine("Error sending a frame for encoding");
                return;
            }

            while (ret >= 0)
            {
                ret = ffmpeg.avcodec_receive_packet(enc_ctx, pkt);
                if (ret == ffmpeg.AVERROR(ffmpeg.EAGAIN) || ret == ffmpeg.AVERROR_EOF)
                {
                    return;
                }
                else if (ret < 0)
                {
                    Console.WriteLine("Error during encoding");
                    return;
                }

                Console.WriteLine($"Write packet {pkt->pts} (size={pkt->size})");
                output.Write(new ReadOnlySpan<byte>(pkt->data, pkt->size));

                ffmpeg.av_packet_unref(pkt);
            }
        }

        static unsafe void video_encode_example(string filename, AVCodecID codec_id)
        {
            AVCodec* _pCodec = null;
            AVCodecContext* _pCodecContext = null;
            AVFrame* frame = null;
            AVPacket* pkt = null;
            byte[] end_code = new byte[] { 0, 0, 1, 0xb7 };

            using BinaryWriter output = new BinaryWriter(new FileStream(filename, FileMode.Create));

            do
            {
                Console.WriteLine($"Encode video file {filename}");
                _pCodec = ffmpeg.avcodec_find_encoder(codec_id);

                if (_pCodec == null)
                {
                    Console.WriteLine($"Codec not found: {codec_id}");
                    break;
                }

                _pCodec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_pCodec);
                if (_pCodecContext == null)
                {
                    Console.WriteLine($"Could not allocate video codec context: {codec_id}");
                    break;
                }

                pkt = ffmpeg.av_packet_alloc();
                if (pkt == null)
                {
                    break;
                }

                _pCodecContext->bit_rate = 400000;
                _pCodecContext->width = 352;
                _pCodecContext->height = 288;
                /* frames per second */
                _pCodecContext->time_base = new AVRational { num = 1, den = 25 };
                _pCodecContext->framerate = new AVRational { num = 25, den = 1 };

                _pCodecContext->gop_size = 10; /* emit one intra frame every ten frames */
                _pCodecContext->max_b_frames = 1;
                _pCodecContext->pix_fmt = AVPixelFormat.AV_PIX_FMT_YUV420P;

                if (codec_id == AVCodecID.AV_CODEC_ID_H264)
                {
                    ffmpeg.av_opt_set(_pCodecContext->priv_data, "preset", "slow", 0);
                }

                /* open it */
                if (ffmpeg.avcodec_open2(_pCodecContext, _pCodec, null) < 0)
                {
                    Console.WriteLine("Could not open codec");
                    break;
                }

                frame = ffmpeg.av_frame_alloc();

                if (frame == null)
                {
                    Console.WriteLine("Could not allocate video frame");
                    break;
                }

                frame->format = (int)_pCodecContext->pix_fmt;
                frame->width = _pCodecContext->width;
                frame->height = _pCodecContext->height;

                int ret = ffmpeg.av_frame_get_buffer(frame, 0);
                if (ret < 0)
                {
                    Console.WriteLine("Could not allocate raw picture buffer");
                    break;
                }

                int x = 0;
                int y = 0;

                for (int i = 0; i < 25 * 10; i++)
                {
                    ret = ffmpeg.av_frame_make_writable(frame);
                    if (ret < 0)
                    {
                        break;
                    }

                    for (y = 0; y < _pCodecContext->height; y++)
                    {
                        for (x = 0; x < _pCodecContext->width; x++)
                        {
                            frame->data[0][y * frame->linesize[0] + x] = (byte)(x + y + i * 3);
                        }
                    }

                    /* Cb and Cr */
                    for (y = 0; y < _pCodecContext->height / 2; y++)
                    {
                        for (x = 0; x < _pCodecContext->width / 2; x++)
                        {
                            frame->data[1][y * frame->linesize[1] + x] = (byte)(128 + y + i * 2);
                            frame->data[2][y * frame->linesize[2] + x] = (byte)(64 + x + i * 5);
                        }
                    }

                    frame->pts = i;

                    encode(_pCodecContext, frame, pkt, output);
                }

                // flush the encoder
                encode(_pCodecContext, null, pkt, output);

            } while (false);

            if (_pCodec->id == AVCodecID.AV_CODEC_ID_MPEG1VIDEO || _pCodec->id == AVCodecID.AV_CODEC_ID_MPEG2VIDEO)
            {
                output.Write(end_code, 0, end_code.Length);
            }

            if (frame != null)
            {
                ffmpeg.av_frame_free(&frame);
            }
            
            if (pkt != null)
            {
                ffmpeg.av_packet_free(&pkt);
            }

            if (_pCodecContext != null)
            {
                ffmpeg.avcodec_free_context(&_pCodecContext);
            }
        }
    }
}

video_encode_example 메서드의 중간에 나오는 for 루프는 25fps * 10초만큼의 비디오 영상을 YUV420P 포맷으로 직접 생성해, encode 메서드에서 AV_CODEC_ID_H264 코덱으로 파일에 쓰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의 코드로 생성된 "C:\\temp\\test.h264" 파일을 재생하면 다음과 같은 식의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code_video_sample_1.png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단지, 압축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해 ./FFmpeg/bin/x64 하위의 DLL은 제거했습니다.)
(이 글의 소스 코드는 github에 올려져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1-03 10시59분
[이승준] 위의 소스는 나중에도 별 문제 없을 겁니다.
encoder2같은 프레임을 한번에 압축하는 api는 삭제된지 오래되었고
위의 소스 방식으로 바뀐지는 상당히 오래 되었습니다.
그리고 deprecated 처리가 되더라도 오류만 안나게 하면
대부분은 빌드 됩니다. ffmpeg이 api나 변수 삭제를 엄청나게 안하더라고요.
[guest]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55정성태10/3/20208356오류 유형: 661. Hyper-V Linux VM의 Internal 유형의 가상 Switch에 대한 IP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12354정성태10/2/202021302오류 유형: 660. Web Deploy (msdeploy.axd) 실행 시 오류 기록 [1]
12353정성태10/2/202011076개발 환경 구성: 518.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IIS 웹 서버로 "Web Deploy"를 이용해 배포하는 방법
12352정성태10/2/202011638개발 환경 구성: 517. Hyper-V Internal 네트워크에 NAT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 제공
12351정성태10/2/202011167오류 유형: 659. Nox 실행이 안 되는 경우 - Unable to bind to the underlying transport for ...
12350정성태9/25/202014666Windows: 175.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2]파일 다운로드1
12349정성태9/25/20209473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12348정성태9/25/202010223오류 유형: 658. 리눅스 docker - Got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at unix:///var/run/docker.sock
12347정성태9/25/202024555Windows: 174.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4]
12346정성태9/25/20209499오류 유형: 657. IIS - http://localhost 방문 시 Service Unavailable 503 오류 발생
12345정성태9/25/20209121오류 유형: 656. iisreset 실행 시 "Restart attempt failed." 오류가 발생하지만 웹 서비스는 정상적인 경우파일 다운로드1
12344정성태9/25/202010338Windows: 173. 서비스 관리자에 "IIS Admin Service"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12343정성태9/24/202020139.NET Framework: 94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패턴 [5]
12342정성태9/24/202011335디버깅 기술: 171. windbg - 인스턴스가 살아 있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12341정성태9/23/202010335.NET Framework: 944. C# - 인스턴스가 살아 있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340정성태9/23/202010075.NET Framework: 943. WPF - WindowsFormsHost를 담은 윈도우 생성 시 메모리 누수
12339정성태9/21/202010185오류 유형: 655. 코어 모드의 윈도우는 GUI 모드의 윈도우로 교체가 안 됩니다.
12338정성태9/21/20209652오류 유형: 654. 우분투 설치 시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 오류 발생
12337정성태9/21/202011051오류 유형: 653. Windows - Time zone 설정을 바꿔도 반영이 안 되는 경우
12336정성태9/21/202013529.NET Framework: 942. C# - WOL(Wake On Lan) 구현
12335정성태9/21/202022894Linux: 31. 우분투 20.04 초기 설정 - 고정 IP 및 SSH 설치
12334정성태9/21/20208283오류 유형: 652.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12333정성태9/20/20208622.NET Framework: 941.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
12332정성태9/18/202010800.NET Framework: 940. C# - Windows Forms ListView와 DataGridView의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331정성태9/18/20209929오류 유형: 651. repadmin /syncall - 0x80090322 The target principal name is incorrect.
12330정성태9/18/202010969.NET Framework: 939.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