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28.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13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625.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 생성 및 SLO/SLA 변경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2

개발 환경 구성: 627.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
; https://www.sysnet.pe.kr/2/0/12925

개발 환경 구성: 628.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7

개발 환경 구성: 632.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 https://www.sysnet.pe.kr/2/0/12931

개발 환경 구성: 633. Docker Desktop + k8s 환경에서 local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38

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645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AKS도 만들었고,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의 SLO/SLA 변경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2

ACR 서비스도 만들어 여러분들의 docker 이미지를 등록했으니,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
; https://www.sysnet.pe.kr/2/0/12925

이제 AKS에 실제로 여러분들의 앱을 실행할 차례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동영상 강의에 나와 있습니다.

AKS 활용법 101 | ep6. Application 배포하기 | 애저 듣고보는 잡학지식
; https://www.youtube.com/watch?v=-kVXhaf_as8

자, 그럼 따라 해 볼까요? ^^ 모든 정보는 AKS 대시보드의 "Connect" 링크를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aks_run_1.png

명령어 실행을 위해 대시보드에서 Shell을 실행시키거나,

aks_run_2.png

아니면 Azure CLI를 다운로드해,

Azure CLI를 설치하는 방법
; https://docs.microsoft.com/ko-kr/cli/azure/install-azure-cli

여러분들의 로컬 PC에서 실습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실습에서는 Azure CLI를 설치한 로컬 컴퓨터에서 진행하겠습니다.




자, 그럼 우선 원격 AKS에 연결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먼저 구성 후,

C:\docker_test> az login
The default web browser has been opened at https://login.microsoftonline.com/organizations/oauth2/v2.0/authorize. Please continue the login in the web browser. If no web browser is available or if the web browser fails to open, use device code flow with `az login --use-device-code`.
[
  {
    "cloudName": "AzureCloud",
    // ...[생략]...
  }
]

C:\docker_test> az account set --subscription [...your_sub_id...]

C:\docker_test> az aks get-credentials --resource-group [...your_res_group...] --name [...your_aks_name...]
Merged "aks-jennifer-demo" as current context in %USERPROFILE%\.kube\config

인증 과정을 마쳤으면, 이후 여느 k8s와 다름없이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KS 생성 시 만들었던 agentpool 노드
C:\docker_test> kubectl get nodes -o wide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INTERNAL-IP   EXTERNAL-IP   OS-IMAGE             KERNEL-VERSION     CONTAINER-RUNTIME
aks-agentpool-20726260-vmss000000   Ready    agent   2d22h   v1.21.7   10.240.0.4    <none>        Ubuntu 18.04.6 LTS   5.4.0-1064-azure   containerd://1.4.9+azure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 글에서 실습했던 voting app을 AKS에 실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yaml 파일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sample-back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sample-back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sample-back
    spec:
      containers:
      - name: sample-back
        image: ariestest.azurecr.io/oss/bitnami/redis
        env:
        - name: ALLOW_EMPTY_PASSWORD
          value: "yes"
        ports:
        - containerPort: 6379
          name: redis
---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sample-back
spec:
  ports:
  - port: 6379
  selector:
    app: sample-back          
---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sample-front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sample-front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sample-front
    spec:
      containers:
      - name: sample-front
        image: ariestest.azurecr.io/azuredocs/azure-vote-front
        ports:
        - containerPort: 80
        env:
        - name: REDIS
          value: "sample-back"
---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sample-front
spec:
  type: LoadBalancer
  ports:
  - port: 80
  selector:
    app: sample-front

(위에서, 이미지 주소만 여러분들의 ACR로 바꿉니다.)

적용하고,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apply -f test.yaml
deployment.apps/sample-back created
service/sample-back created
deployment.apps/sample-front created
service/sample-front created

확인합니다.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get deployments
NAME           READY   UP-TO-DATE   AVAILABLE   AGE
sample-back    1/1     1            1           25s
sample-front   1/1     1            1           25s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get pods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sample-back-56bf7ff864-frbbc   1/1     Running   0          32s
sample-front-7b4f94df4-sh6wx   1/1     Running   0          31s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get svc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kubernetes     ClusterIP      10.0.0.1       <none>           443/TCP        2d23h
sample-back    ClusterIP      10.0.62.4      <none>           6379/TCP       38s
sample-front   LoadBalancer   10.0.169.139   20.200.227.213   80:31051/TCP   37s

그리고 실제로 서비스가 수행 중인지, 위의 "get svc" 명령의 결과로 보이는 "EXTERNAL-IP"를 이용해 "http://20.200.227.213" 주소로 웹 브라우저를 접속하면 정상적으로 voting app이 동작합니다. ^^




자, 이제 autoscale 기능을 맛볼 수 있습니다.

즉, 위의 경우 "sample-front"에 대해 최소 2개의 pod를 유지하고 최대 5개까지 자동으로 늘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명령을 줄 수 있습니다.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autoscale deployment --max=5 sample-front --min=2
horizontalpodautoscaler.autoscaling/sample-front autoscaled

메시지를 보면 "horizontal pod autoscaler" 문자열이 보이는데, 줄여서 hpa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get hpa
NAME           REFERENCE                 TARGETS         MINPODS   MAXPODS   REPLICAS   AGE
sample-front   Deployment/sample-front   <unknown>/80%   2         5         2          79s

당연히 sample-front에 대한 pod도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get deployments
NAME           READY   UP-TO-DATE   AVAILABLE   AGE
sample-back    1/1     1            1           18m
sample-front   2/2     2            2           18m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get pods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sample-back-56bf7ff864-frbbc   1/1     Running   0          18m
sample-front-7b4f94df4-kgxv9   1/1     Running   0          113s
sample-front-7b4f94df4-sh6wx   1/1     Running   0          18m

이제부터는 최소 2개의 서비스가 유지되고, 이후 부하가 증가하면 최대 5개의 서비스가 뜨게 됩니다.

만약 autoscale 기능을 끄고 싶다면 다음의 명령어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delete hpa sample-front
horizontalpodautoscaler.autoscaling "sample-front" deleted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get hpa
No resources found in default namespace.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hpa의 경우 설정을 삭제해도 이미 늘어나 있는 pod를 제거하진 않습니다. 따라서 만약 이것을 초기화하고 싶다면 test.yaml 파일을 다시 적용해야 합니다.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apply -f test.yaml
deployment.apps/sample-back unchanged
service/sample-back unchanged
deployment.apps/sample-front configured
service/sample-front unchanged

C:\docker_test\azure-voting-app-redis> kubectl get deployments
NAME                 READY   UP-TO-DATE   AVAILABLE   AGE
net-razor31-sample   1/1     1            1           5h9m
sample-back          1/1     1            1           30h
sample-front         1/1     1            1           30h




참고로, "AKS 활용법 101 | ep6. Application 배포하기 | 애저 듣고보는 잡학지식" 동영상의 마지막 즈음에 보면, hap를 테스트하기 위해 일부러 부하를 주는 container를 하나 소개하고 있습니다.

c:\temp> az container create -g [...resource_group...] -n aries-load-test-1 --image azch/loadtest -e SERVICE_ENDPOINT=http://... --restart-policy Never -no-wait

위의 SERVICE_ENDPOINT에 부하를 줄 대상 URL을 지정하는 식입니다. 그리고, 부하를 주는 컨테이너의 상태는 로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temp> az container logs -g [...resource_group...] -n aries-load-test-1

물론, 부하가 진행되면서 hpa에 따른 pod의 증가가 나타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12정성태7/15/202116118개발 환경 구성: 579. Azure - 리눅스 호스팅의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1정성태7/15/202116131개발 환경 구성: 578. Azure - Java Web App Service를 위한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0정성태7/15/202118762개발 환경 구성: 577. MQTT - emqx.io 서비스 소개
12709정성태7/14/202114289Linux: 42. 실행 중인 docker 컨테이너에 대한 구동 시점의 docker run 명령어를 확인하는 방법
12708정성태7/14/202118507Linux: 41. 리눅스 환경에서 디스크 용량 부족 시 원인 분석 방법
12707정성태7/14/202185732오류 유형: 734.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12706정성태7/14/202116915.NET Framework: 1076. C# - AsyncLocal 기능을 CallContext만으로 구현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705정성태7/13/202117304VS.NET IDE: 168.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2704정성태7/12/202116095개발 환경 구성: 576. Azure VM의 서비스를 Azure Web App Service에서만 접근하도록 NSG 설정을 제한하는 방법
12703정성태7/11/202121469개발 환경 구성: 575. Azure VM에 (ICMP) ping을 허용하는 방법
12702정성태7/11/202117181오류 유형: 733. TaskScheduler에 등록된 wacs.exe의 Let's Encrypt 인증서 업데이트 문제
12701정성태7/9/202116728.NET Framework: 1075. C# - ThreadPool의 스레드는 반환 시 ThreadStatic과 AsyncLocal 값이 초기화 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2700정성태7/8/202117163.NET Framework: 1074. RuntimeType의 메모리 누수? [1]
12699정성태7/8/202115697VS.NET IDE: 167. Visual Studio 디버깅 중 GC Heap 상태를 보여주는 "Show Diagnostic Tools" 메뉴 사용법
12698정성태7/7/202119951오류 유형: 732. Windows 11 업데이트 시 3% 또는 0%에서 다운로드가 멈춘 경우
12697정성태7/7/202115016개발 환경 구성: 574. Windows 11 (Insider Preview) 설치하는 방법
12696정성태7/6/202115972VC++: 146. 운영체제의 스레드 문맥 교환(Context Switch)을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2695정성태7/3/202116010VC++: 145. C 언어의 setjmp/longjmp 기능을 Thread Context를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94정성태7/2/202117943Java: 24. Azure - Spring Boot 앱을 Java SE(Embedded Web Server)로 호스팅 시 로그 파일 남기는 방법 [1]
12693정성태6/30/202114884오류 유형: 731. Azure Web App Site Extension - Failed to install web app extension [...]. {1}
12692정성태6/30/202115374디버깅 기술: 180.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
12691정성태6/30/202115623개발 환경 구성: 573. 테스트 용도이지만 테스트에 적합하지 않은 Azure D1 공유(shared) 요금제
12690정성태6/28/202116633Java: 23.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Tomcat 호스팅
12689정성태6/25/202118339오류 유형: 730. Windows Forms 디자이너 - The class Form1 can be designed, but is not the first class in the file. [1]
12688정성태6/24/202117654.NET Framework: 1073. C# - JSON 역/직렬화 시 리플렉션 손실을 없애는 JsonSrcGen [2]파일 다운로드1
12687정성태6/22/202114977오류 유형: 729. Invalid data: Invalid artifact, java se app service only supports .jar artifact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