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31. AKS/k8s의 Volume에 파일 복사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09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AKS/k8s의 Volume에 파일 복사하는 방법

지난 글에서, Volume을 생성 후 Pod에 연결해 봤는데요,

AKS/k8s의 Pod에 Volume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9

이번에는 해당 볼륨에 파일을 어떻게 복사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docker의 경우에는 볼륨이 호스트 환경에 매핑이 되기 때문에 그곳에 파일을 복사하면 되지만 k8s 환경에서는 컨테이너가 Pod로 한번 감싸졌기 때문에 PV/PVC의 매핑을 확인해야 하고, 게다가 그것을 호스팅하는 Azure 환경이라면 저장소 서비스까지 찾아내야 합니다.

AKS 환경에서, PV 측에 파일을 복사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바로, 현재 볼륨이 Pod에 연결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입니다.

우선, Pod에 연결된 상태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위한 복사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kubectl cp some_file <some-namespace>/<some-pod>:/volume_mounted/directory/in/pod

따라서 로컬 PC의 파일 하나를 볼륨에 올리려면 pod의 식별자를 먼저 알아낸 뒤,

c:\temp> kubectl get pod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sample-back-56bf7ff864-frbbc          1/1     Running   0          24h
sample-front-7b4f94df4-kgxv9          1/1     Running   0          24h
sample-front-7b4f94df4-sh6wx          1/1     Running   0          24h

해당 pod가 다음과 같이 PVC 연결을 설정했다고 가정하면,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생략]...
spec:
  ...[생략]...
  template:
    ...[생략]...
    spec:
      containers:
        ...[생략]...
        volumeMounts:
        - mountPath: "/test_dir"
          name: volume
      volumes:
        - name: volume
          persistentVolumeClaim:
            claimName: my-azure-file

cp 명령어를 사용해 복사할 수 있습니다.

c:\temp> kubectl cp trouble_shoot.txt /sample-front-7b4f94df4-sh6wx:/test_dir

디렉터리를 복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윈도우 환경에 대한 지원이 미흡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절대 경로를 지정하면 안 됩니다.

c:\temp> kubectl cp C:\app\mydir /sample-front-7b4f94df4-sh6wx:/test_dir
error: one of src or dest must be a local file specification

c:\temp> kubectl cp C:/app/mydir /sample-front-7b4f94df4-sh6wx:/test_dir
error: one of src or dest must be a local file specification

위와 같은 상황에서 mydir 디렉터리를 복사하고 싶다면 그것의 부모 디렉터리로 이동한 다음 상대 경로로 명령을 내려야 합니다.

c:\temp> cd c:\app

c:\temp> kubectl cp mydir /sample-front-7b4f94df4-sh6wx:/test_dir

그럼, 원격 볼륨에는 /test_dir/mydir 디렉터리가 생성되고 그 하위에 mydir 내의 모든 파일 및 서브 디렉터리들이 복사됩니다.

만약, 원격에 "mydir" 디렉터리가 생성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마찬가지로 상대 경로를 이용해 명령을 내리면 됩니다.

c:\temp> cd mydir

c:\temp\mydir> kubectl cp . /sample-front-7b4f94df4-sh6wx:/test_dir




정상적으로 파일이 복사되었는지도 볼까요? ^^ 다음의 글에 설명한 방법을 이용해,

AKS/Kubernetes에서 호스팅 중인 pod에 shell(/bin/bash)로 진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8

볼륨이 매핑된 pod로 (docker exec처럼) kubectl exec 명령어로 들어가, ls 명령어 등으로 복사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c:\temp> kubectl exec --stdin --tty sample-front-7b4f94df4-sh6wx -- /bin/bash
root@sample-front-7b4f94df4-sh6wx:/app# ls /test_dir
bin        trouble_shoot.txt




그런데, pod에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PV에 파일(및 디렉터리)를 복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위의 내용 중에, 결국 azurefile이나 managed disk는 Azure의 "MC_..." 리소스 그룹에 속한 "Storage Account" 자원이라고 했는데요, 따라서 간단하게는 azcopy나,

Get started with AzCopy
; https://learn.microsoft.com/en-us/azure/storage/common/storage-use-azcopy-v10

Azure Storage Explorer를 이용해 복사할 수 있습니다.

Azure Storage Explorer
; https://azure.microsoft.com/en-us/features/storage-explorer/

아래의 화면은 Azure Storage Explorer를 실행해 위에서 생성했던 azurefile (File Shares) 볼륨을 찾아가 "extracted"라는 디렉터리를 복사한 것을 보여줍니다.

aks_volume_file_3.png

그런데, 화면에서 보이는 "f0ae5f59e9e7a4036b1d8cb"와 "pvc-5cef2cb5-a37b-483e-9138-d08ff1ef74d4" 식별자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제가 확인한 바로는 "kubectl describe pv"의 출력 결과에서만 얻을 수 있었습니다.

C:\docker_test\> kubectl get pv
NAME                                       CAPACITY   ACCESS MODES   RECLAIM POLICY   STATUS   CLAIM                   STORAGECLASS   REASON   AGE
pvc-5cef2cb5-a37b-483e-9138-d08ff1ef74d4   1Gi        RWX            Delete           Bound    default/my-azure-file   azurefile               20h

C:\docker_test\> kubectl describe pv pvc-5cef2cb5-a37b-483e-9138-d08ff1ef74d4
Name:            pvc-5cef2cb5-a37b-483e-9138-d08ff1ef74d4
Labels:          <none>
Annotations:     pv.kubernetes.io/provisioned-by: file.csi.azure.com
Finalizers:      [kubernetes.io/pv-protection]
StorageClass:    azurefile
Status:          Bound
Claim:           default/my-azure-file
Reclaim Policy:  Delete
Access Modes:    RWX
VolumeMode:      Filesystem
Capacity:        1Gi
Node Affinity:   <none>
Message:
Source:
    Type:              CSI (a Container Storage Interface (CSI) volume source)
    Driver:            file.csi.azure.com
    FSType:
    VolumeHandle:      mc_testaks_aks-jennifer-demo_koreacentral#f0ae5f59e9e7a4036b1d8cb#pvc-5cef2cb5-a37b-483e-9138-d08ff1ef74d4#
    ReadOnly:          false
    VolumeAttributes:      csi.storage.k8s.io/pv/name=pvc-5cef2cb5-a37b-483e-9138-d08ff1ef74d4
                           csi.storage.k8s.io/pvc/name=my-azure-file
                           csi.storage.k8s.io/pvc/namespace=default
                           secretnamespace=default
                           skuName=Standard_LRS
                           storage.kubernetes.io/csiProvisionerIdentity=1642477173769-8081-file.csi.azure.com
Events:                <none>

뭐... 대충 이 정도면, AKS 환경에서 PV/PVC를 다루는데 어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 나머지는 이제 각각의 Storage Class 유형에 따른 아키텍처적인 차이점 정도만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90정성태10/22/201420287오류 유형: 254. NETLOGON Service is paused on [... AD Server...]
1789정성태10/22/201423769오류 유형: 253. 이벤트 로그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
1788정성태10/22/201425358VC++: 82. COM 프로그래밍에서 HRESULT 타입의 S_FALSE는 실패일까요? 성공일까요? [2]
1787정성태10/22/201433757오류 유형: 252. COM 개체 등록시 0x8002801C 오류가 발생한다면?
1786정성태10/22/201435173디버깅 기술: 65.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시 "Debug Diagnostic Tool"를 이용해 덤프를 남기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85정성태10/22/201424320오류 유형: 251. 이벤트 로그 - Load control template file /_controltemplates/TaxonomyPicker.ascx failed [1]
1784정성태10/22/201431319.NET Framework: 472. C/C++과 C# 사이의 메모리 할당/해제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83정성태10/21/201425508VC++: 81. 프로그래밍에서 borrowing의 개념
1782정성태10/21/201422392오류 유형: 250. 이벤트 로그 - Application Server job failed for service instance Microsoft.Office.Server.Search.Administration.SearchServiceInstance
1781정성태10/21/201423289디버깅 기술: 64. new/delete의 짝이 맞는 경우에도 메모리 누수가 발생한다면?
1780정성태10/15/201427191오류 유형: 249. The application-specific permission settings do not grant Local Activation permission for the COM Server application with CLSID
1779정성태10/15/201422295오류 유형: 248. Active Directory에서 OU가 지워지지 않는 경우
1778정성태10/10/201420497오류 유형: 247. The Netlogon service could not create server share C:\Windows\SYSVOL\sysvol\[도메인명]\SCRIPTS.
1777정성태10/10/201423655오류 유형: 246. The processing of Group Policy failed. Windows attempted to read the file \\[도메인]\sysvol\[도메인]\Policies\{...GUID...}\gpt.ini
1776정성태10/10/201420626오류 유형: 245. 이벤트 로그 - Name resolution for the name _ldap._tcp.dc._msdcs.[도메인명]. timed out after none of the configured DNS servers responded.
1775정성태10/9/201422101오류 유형: 244. Visual Studio 디버깅 (2)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1774정성태10/9/201428790개발 환경 구성: 246. IIS 작업자 프로세스의 20분 자동 재생(Recycle)을 끄는 방법
1773정성태10/8/201432171.NET Framework: 471. 웹 브라우저로 다운로드가 되는 파일을 왜 C# 코드로 하면 안되는 걸까요? [1]
1772정성태10/3/201421094.NET Framework: 470. C# 3.0의 기본 인자(default parameter)가 .NET 1.1/2.0에서도 실행될까? [3]
1771정성태10/2/201429818개발 환경 구성: 245. 실행된 프로세스(EXE)의 명령행 인자를 확인하고 싶다면 - Sysmon [4]
1770정성태10/2/201423792개발 환경 구성: 244. 매크로 정의를 이용해 파일 하나로 C++과 C#에서 공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69정성태10/1/201426909개발 환경 구성: 243. Scala 개발 환경 구성(JVM, 닷넷) [1]
1768정성태10/1/201421177개발 환경 구성: 242. 배치 파일에서 Thread.Sleep 효과를 주는 방법 [5]
1767정성태10/1/201426712VS.NET IDE: 94. Visual Studio 2012/2013에서의 매크로 구현 - Visual Commander [2]
1766정성태10/1/201425172개발 환경 구성: 241. 책 "프로그래밍 클로저: Lisp"을 읽고 나서. [1]
1765정성태9/30/201428877.NET Framework: 469. Unity3d에서 transform을 변수에 할당해 사용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