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32.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352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625.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 생성 및 SLO/SLA 변경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2

개발 환경 구성: 627.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
; https://www.sysnet.pe.kr/2/0/12925

개발 환경 구성: 628.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7

개발 환경 구성: 632.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 https://www.sysnet.pe.kr/2/0/12931

개발 환경 구성: 633. Docker Desktop + k8s 환경에서 local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38

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645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대개의 경우, 컨테이너를 고려했다면 "Enable Docker Support" 옵션을 켜서 프로젝트를 생성했을 것입니다. 만약, 그 옵션을 켜지 않았더라도 다음의 글에 따라 적절한 Dockerfile을 만들면 됩니다.

Visual Studio -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의 "Enable Docker Support" 옵션으로 달라지는 점
; https://www.sysnet.pe.kr/2/0/12171

그래서, 아래와 같은 Dockerfile이 있을 것입니다.

#See https://aka.ms/containerfastmode to understand how Visual Studio uses this Dockerfile to build your images for faster debugging.

# .NET 5: FROM mcr.microsoft.com/dotnet/aspnet:5.0 AS base
FROM mcr.microsoft.com/dotnet/core/aspnet:3.1-buster-slim AS base
WORKDIR /app
EXPOSE 80

# .NET 5: FROM mcr.microsoft.com/dotnet/sdk:5.0 AS build
FROM mcr.microsoft.com/dotnet/core/sdk:3.1-buster AS build
WORKDIR /src
COPY ["dotnet_razor31_sample/dotnet_razor31_sample.csproj", "dotnet_razor31_sample/"]
RUN dotnet restore "dotnet_razor31_sample/dotnet_razor31_sample.csproj"
COPY . .
WORKDIR "/src/dotnet_razor31_sample"
RUN dotnet build "dotnet_razor31_sample.csproj" -c Release -o /app/build

FROM build AS publish
RUN dotnet publish "dotnet_razor31_sample.csproj" -c Release -o /app/publish

FROM base AS final
WORKDIR /app
COPY --from=publish /app/publish .
ENTRYPOINT ["dotnet", "dotnet_razor31_sample.dll"]

Dockerfile의 내용에 따라 간편하게 "--target final"를 대상으로 빌드합니다.

c:\temp> docker build -f aks.Dockerfile -t dotnet_razor31_sample --target final .

이렇게 해서 로컬 컴퓨터의 docker에 "dotnet_razor31_sample" 이름의 이미지가 생성되었을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일반적인 docker 배포 과정과 같습니다.




자, 이제 그다음 단계로 AKS와 연결된 ACR에 이미지를 올려야 하는데요, 이것 역시 일반적인 docker registry에 올리는 과정과 동일합니다. 그러니까, 태깅 작업과 push를 합니다.

// 아래의 ariestest.azurecr.io 주소는 여러분들의 ACR로 교체합니다.

c:\temp> docker tag dotnet_razor31_sample ariestest.azurecr.io/dotnet_razor31_sample
c:\temp> docker push ariestest.azurecr.io/dotnet_razor31_sample

ACR에 올렸으니, AKS 대시보드의 Azure Cloud Shell이나 로컬에 구성한 Azure CLI에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배포를 담은 yaml 파일을,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et-razor31-sample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dotnet-razor31-sample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dotnet-razor31-sample
    spec:
      containers:
      - name: dotnet-razor31-sample
        image: ariestest.azurecr.io/dotnet_razor31_sample
        ports:
        - containerPort: 80
---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dotnet-razor31-sample
spec:
  type: LoadBalancer
  ports:
  - port: 13502
    targetPort: 80
    protocol: TCP
    name: http
  selector:
    app: dotnet-razor31-sample

적용합니다.

C:\temp> kubectl apply -f test.yaml

C:\temp> kubectl get svc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dotnet-razor31-sample   LoadBalancer   10.0.83.129    20.196.248.89    13502:31090/TCP   23m

끝입니다, 이제 yaml의 Service에 지정했던 포트와 EXTERNAL-IP(위의 예제에서는 "http://20.196.248.89:13502/")로 접속하면 서비스가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본 김에, Pod에 볼륨도 연결해 볼까요? ^^

이전에 만들어 둔 볼륨을,

AKS/k8s의 Pod에 Volume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9

AKS/k8s의 Volume에 파일 복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30

연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추가 변경만 하면 됩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et-razor31-sample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dotnet-razor31-sample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dotnet-razor31-sample
    spec:
      containers:
      - name: dotnet-razor31-sample
        image: ariestest.azurecr.io/dotnet_razor31_sample
        ports:
        - containerPort: 80
        env:
        volumeMounts:
        - mountPath: "/my_dir"
          name: volume
      volumes:
        - name: volume
          persistentVolumeClaim:
            claimName: my-azure-file
...[생략]...

역시 변경 사항 적용하고,

C:\temp> kubectl apply -f test.yaml

실제로 볼륨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pod의 NAME으로,

C:\temp> kubectl get pod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net-razor31-sample-67cdf4584f-fpl5z   1/1     Running   0          12s

kubectl exec 명령을 실행해 shell로 진입하면,

C:\temp> kubectl exec --stdin --tty net-razor31-sample-67cdf4584f-fpl5z -- /bin/bash

yaml에 지정한 대로 루트 디렉터리 하위에 "my_dir"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temp> kubectl exec --stdin --tty net-razor31-sample-67cdf4584f-fpl5z -- /bin/bash

root@aks-agentpool-20726260-vmss000000:/app# ls /
app  bin  boot  dev  etc  home  lib  lib64  media  mnt  my_dir  opt  proc  root  run  sbin  srv  sys  tmp  usr  var




그 외에, autoscale 기능도 테스트해 보시고. ^^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27#autoscal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3/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8정성태11/15/20245263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4925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5386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4809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5277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5028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5247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4848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5374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5250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5256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4983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4901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4736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5366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5319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5692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5480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6321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4906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5505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5491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5381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5163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5261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5134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