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939

.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948

.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
; https://www.sysnet.pe.kr/2/0/12949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 https://www.sysnet.pe.kr/2/0/12956

.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 https://www.sysnet.pe.kr/2/0/12958

.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
; https://www.sysnet.pe.kr/2/0/12966

.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 https://www.sysnet.pe.kr/2/0/12970

.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 https://www.sysnet.pe.kr/2/0/12977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

지난 글에서 동영상 파일의 스트림 정보까지 조회를 했으니,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948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3026

그렇다면 해당 스트림에 맞는 코덱을 열면 됩니다. 이것은 codecpar->codec_id에 이미 코덱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쉽게 decoder (또는 encoder)를 찾을 수 있습니다.

AVFormatContext* av_context = null;
string filePath = @"D:\media_sample\output2.mp4";

int ret = ffmpeg.avformat_open_input(&av_context, filePath, null, null);
if (ret != 0)
{
    return;
}

ffmpeg.avformat_find_stream_info(av_context, null);

for (int i = 0; i < av_context->nb_streams; i++)
{
    Console.WriteLine();
    AVStream* stream = av_context->streams[i];
    AVCodecParameters* codecpar = stream->codecpar;

    AVCodec* decoder = ffmpeg.avcodec_find_decoder(codecpar->codec_id);
    if (decoder == null)
    {
        continue;
    }

    AVCodec* encoder = ffmpeg.avcodec_find_encoder(codecpar->codec_id);
    if (encoder == null)
    {
        Console.WriteLine($"No encoder: {codecName}");
    }
}

ffmpeg.avformat_close_input(&av_context);

보통 기존 파일을 여는 경우에는 당연히 decoder를 열게 될 것이고 이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string codecNam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name));
string codecLongNam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long_name));
Console.WriteLine($"{codecName} ({codecLongName})");
Console.WriteLine($"{decoder->id}");

Console.WriteLine("Profiles:");
for (int j = 0; j <= decoder->profiles->profile; j++)
{
    string profil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profiles[j].name));
    Console.WriteLine($"\t{profile}");
}

if (decoder->sample_fmts != null)
{
    Console.WriteLine("sample_fmts:" + *(decoder->sample_fmts));
}

WriteCodecCap(decoder->capabilities);

지난 글에 만든 예제 동영상에 대해,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47

코덱 정보를 조회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출력이 됩니다.

Stream #0:1 h264 (H.264 / AVC / MPEG-4 AVC / MPEG-4 part 10)
AV_CODEC_ID_H264
Profiles:
        Baseline
        Constrained Baseline
        Main
        Extended
        High
        High 10
        High 10 Intra
        High 4:2:2
        High 4:2:2 Intra
        High 4:4:4
        High 4:4:4 Predictive
        High 4:4:4 Intra
        CAVLC 4:4:4
        Multiview High
        Stereo High

        Main
        Main 10
        Main Still Picture
        Rext

        Main 10
        Main 10 4:4:4

        JPEG 2000 codestream restriction 0
        JPEG 2000 codestream restriction 1
        JPEG 2000 no codestream restrictions
        JPEG 2000 digital cinema 2K
        JPEG 2000 digital cinema 4K

        4:2:2
        High
        Spatially Scalable
        SNR Scalable
        Main
        Simple
        Reserved

        Simple Profile
        Simple Scalable Profile
        Core Profile
        Main Profile
        N-bit Profile
        Scalable Texture Profile
        Simple Face Animation Profile
        Basic Animated Texture Profile
        Hybrid Profile
        Advanced Real Time Simple Profile
        Code Scalable Profile
        Advanced Coding Profile
        Advanced Core Profile
        Advanced Scalable Texture Profile
        Simple Studio Profile
        Advanced Simple Profile

        Simple
        Main
        Complex
        Advanced

        Profile 0
        Profile 1
        Profile 2
        Profile 3

        Main
        High
Capabilities:
        AV_CODEC_CAP_DELAY
        AV_CODEC_CAP_DR1
        AV_CODEC_CAP_FRAME_THREADS
        AV_CODEC_CAP_SLICE_THREADS

Stream #0:2 aac (AAC (Advanced Audio Coding))
AV_CODEC_ID_AAC
Profiles:
        LC
        HE-AAC
sample_fmts:AV_SAMPLE_FMT_FLTP
Capabilities:
        AV_CODEC_CAP_CHANNEL_CONF
        AV_CODEC_CAP_DR1

Stream #0:3 aac (AAC (Advanced Audio Coding))
AV_CODEC_ID_AAC
Profiles:
        LC
        HE-AAC
sample_fmts:AV_SAMPLE_FMT_FLTP
Capabilities:
        AV_CODEC_CAP_CHANNEL_CONF
        AV_CODEC_CAP_DR1

No encoder: vp9
Stream #0:4 vp9 (Google VP9)
AV_CODEC_ID_VP9
Profiles:
        Profile 0
Capabilities:
        AV_CODEC_CAP_DR1
        AV_CODEC_CAP_FRAME_THREADS
        AV_CODEC_CAP_SLICE_THREADS

이렇게 스트림 정보에 맞는 decoder를 구했으면 이제 avcodec_open2로 코덱을 열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코덱 동작 시에 유지될 문맥 정보를 avcodec_alloc_context3로 할당해 놓아야 합니다. 그래서 대략 다음과 같은 식으로 코덱 작업을 열고/닫을 수 있습니다.

{
    AVCodecContext* codec_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decoder);
    ffmpeg.avcodec_open2(codec_context, decoder, null);

    // ... decoding ...

    ffmpeg.avcodec_free_context(&codec_context);
}

어떤 코드에 보면, codec의 동작을 제어하는 값들을 avcodec_parameters_to_context를 통해서 설정한다고도 합니다.

{
    AVCodecContext* codec_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decoder);
    ffmpeg.avcodec_parameters_to_context(codec_context, stream->codecpar);
    ffmpeg.avcodec_open2(codec_context, decoder, null);

    // ... decoding ...

    ffmpeg.avcodec_free_context(&codec_context);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위의 출력 결과 중에 코덱이 지원하는 "Profile" 목록을 나열하고 있는데요, 지난 글에서 ffprobe 결과를 출력했던 것에서 못 구한 내용이 나옵니다.

D:\media_sample> ffprobe output2.mp4
...[생략]...
  libpostproc    55.  9.100 / 55.  9.100
Input #0, mov,mp4,m4a,3gp,3g2,mj2, from 'output2.mp4':
  Metadata:
    major_brand     : isom
    minor_version   : 512
    compatible_brands: isomiso2avc1mp41
    encoder         : Lavf58.45.100
  Duration: 00:03:07.95, start: 0.000000, bitrate: 3553 kb/s
  Stream #0:0(und): Video: h264 (High) (avc1 / 0x31637661), yuv420p(tv, bt709), 1920x1080 [SAR 1:1 DAR 16:9], 3070 kb/s, 29.97 fps, 29.97 tbr, 16k tbn, 59.94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vendor_id       : [0][0][0][0]
  Stream #0:1(eng): Audio: aac (LC) (mp4a / 0x6134706D), 48000 Hz, stereo, fltp, 128 kb/s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SoundHandler
      vendor_id       : [0][0][0][0]
  Stream #0:2(eng): Audio: aac (LC) (mp4a / 0x6134706D), 44100 Hz, stereo, fltp, 128 kb/s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vendor_id       : [0][0][0][0]
  Stream #0:3(eng): Video: vp9 (Profile 0) (vp09 / 0x39307076), yuv420p(tv, bt709), 640x360, 212 kb/s, SAR 1:1 DAR 16:9, 29.97 fps, 29.97 tbr, 16k tbn, 16k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VideoHandler
      vendor_id       : [0][0][0][0]

위의 "High", "LC", "Profile 0"에 대한 목록을 각각의 코덱에서 지원하는 profiles 속성에서 구할 수 있는데,

Console.WriteLine("Profiles:");
for (int j = 0; j <= decoder->profiles->profile; j++)
{
    string profil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profiles[j].name));
    Console.WriteLine($"\t{profile}");
}

목록은 구할 수 있지만, 해당 프로파일을 지정하는 인덱스를 알 수가 없습니다. 가령 h264의 경우 67개의 프로파일이 나오고 그중 인덱스 4에 해당하는 값이 "High"인데 디버거를 통해 Codec 인스턴스의 값을 봐도 4라는 값이 없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05정성태11/5/201421903.NET Framework: 476. Visual Studio에서 Mono용 Profiler 개발 [3]파일 다운로드1
1804정성태11/5/201428125.NET Framework: 47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C#에서 사용하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803정성태11/4/201420226오류 유형: 261. Windows Server Backup 오류 - Error in backup of E:\$Extend\$RmMetadata\$TxfLog
1802정성태11/4/201422213오류 유형: 260. 이벤트 로그 - Windows Error Reporting / AEAPPINVW8
1801정성태11/4/201427480오류 유형: 259. 이벤트 로그 - Windows Error Reporting / IPX Assertion / KorIME.exe [1]
1800정성태11/4/201418222오류 유형: 258. 이벤트 로그 - Starting a SMART disk polling operation in Automatic mode.
1799정성태11/4/201423014오류 유형: 257. 이벤트 로그 - The WMI Performance Adapter service entered the stopped state.
1798정성태11/4/201431769오류 유형: 256. 이벤트 로그 - The WinHTTP Web Proxy Auto-Discovery Service service entered the stopped state. [1]
1797정성태11/4/201417428오류 유형: 255. 이벤트 로그 - The Adobe Flash Player Update Service service entered the stopped state.
1796정성태10/30/201424487개발 환경 구성: 249. Visual Studio 2013에서 Mono 컴파일하는 방법
1795정성태10/29/201426983개발 환경 구성: 248. Lync 2013 서버 설치 방법
1794정성태10/29/201422473개발 환경 구성: 247. "Microsoft Office 365 Enterprise E3" 서비스에 대한 간략 소개
1793정성태10/27/201423068.NET Framework: 474. C# - chromiumembedded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792정성태10/27/201423245.NET Framework: 473. WebClient 객체에 쿠키(Cookie)를 사용하는 방법
1791정성태10/22/201422961VC++: 83. G++ - 템플릿 클래스의 iterator 코드 사용에서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5]
1790정성태10/22/201418501오류 유형: 254. NETLOGON Service is paused on [... AD Server...]
1789정성태10/22/201421134오류 유형: 253. 이벤트 로그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
1788정성태10/22/201423176VC++: 82. COM 프로그래밍에서 HRESULT 타입의 S_FALSE는 실패일까요? 성공일까요? [2]
1787정성태10/22/201431360오류 유형: 252. COM 개체 등록시 0x8002801C 오류가 발생한다면?
1786정성태10/22/201432654디버깅 기술: 65.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시 "Debug Diagnostic Tool"를 이용해 덤프를 남기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85정성태10/22/201421921오류 유형: 251. 이벤트 로그 - Load control template file /_controltemplates/TaxonomyPicker.ascx failed [1]
1784정성태10/22/201429993.NET Framework: 472. C/C++과 C# 사이의 메모리 할당/해제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83정성태10/21/201423361VC++: 81. 프로그래밍에서 borrowing의 개념
1782정성태10/21/201420106오류 유형: 250. 이벤트 로그 - Application Server job failed for service instance Microsoft.Office.Server.Search.Administration.SearchServiceInstance
1781정성태10/21/201420514디버깅 기술: 64. new/delete의 짝이 맞는 경우에도 메모리 누수가 발생한다면?
1780정성태10/15/201424192오류 유형: 249. The application-specific permission settings do not grant Local Activation permission for the COM Server application with CLSID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