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939

.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948

.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
; https://www.sysnet.pe.kr/2/0/12949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 https://www.sysnet.pe.kr/2/0/12956

.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 https://www.sysnet.pe.kr/2/0/12958

.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
; https://www.sysnet.pe.kr/2/0/12966

.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 https://www.sysnet.pe.kr/2/0/12970

.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 https://www.sysnet.pe.kr/2/0/12977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

지난 글에서 동영상 파일의 스트림 정보까지 조회를 했으니,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948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3026

그렇다면 해당 스트림에 맞는 코덱을 열면 됩니다. 이것은 codecpar->codec_id에 이미 코덱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쉽게 decoder (또는 encoder)를 찾을 수 있습니다.

AVFormatContext* av_context = null;
string filePath = @"D:\media_sample\output2.mp4";

int ret = ffmpeg.avformat_open_input(&av_context, filePath, null, null);
if (ret != 0)
{
    return;
}

ffmpeg.avformat_find_stream_info(av_context, null);

for (int i = 0; i < av_context->nb_streams; i++)
{
    Console.WriteLine();
    AVStream* stream = av_context->streams[i];
    AVCodecParameters* codecpar = stream->codecpar;

    AVCodec* decoder = ffmpeg.avcodec_find_decoder(codecpar->codec_id);
    if (decoder == null)
    {
        continue;
    }

    AVCodec* encoder = ffmpeg.avcodec_find_encoder(codecpar->codec_id);
    if (encoder == null)
    {
        Console.WriteLine($"No encoder: {codecName}");
    }
}

ffmpeg.avformat_close_input(&av_context);

보통 기존 파일을 여는 경우에는 당연히 decoder를 열게 될 것이고 이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string codecNam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name));
string codecLongNam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long_name));
Console.WriteLine($"{codecName} ({codecLongName})");
Console.WriteLine($"{decoder->id}");

Console.WriteLine("Profiles:");
for (int j = 0; j <= decoder->profiles->profile; j++)
{
    string profil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profiles[j].name));
    Console.WriteLine($"\t{profile}");
}

if (decoder->sample_fmts != null)
{
    Console.WriteLine("sample_fmts:" + *(decoder->sample_fmts));
}

WriteCodecCap(decoder->capabilities);

지난 글에 만든 예제 동영상에 대해,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47

코덱 정보를 조회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출력이 됩니다.

Stream #0:1 h264 (H.264 / AVC / MPEG-4 AVC / MPEG-4 part 10)
AV_CODEC_ID_H264
Profiles:
        Baseline
        Constrained Baseline
        Main
        Extended
        High
        High 10
        High 10 Intra
        High 4:2:2
        High 4:2:2 Intra
        High 4:4:4
        High 4:4:4 Predictive
        High 4:4:4 Intra
        CAVLC 4:4:4
        Multiview High
        Stereo High

        Main
        Main 10
        Main Still Picture
        Rext

        Main 10
        Main 10 4:4:4

        JPEG 2000 codestream restriction 0
        JPEG 2000 codestream restriction 1
        JPEG 2000 no codestream restrictions
        JPEG 2000 digital cinema 2K
        JPEG 2000 digital cinema 4K

        4:2:2
        High
        Spatially Scalable
        SNR Scalable
        Main
        Simple
        Reserved

        Simple Profile
        Simple Scalable Profile
        Core Profile
        Main Profile
        N-bit Profile
        Scalable Texture Profile
        Simple Face Animation Profile
        Basic Animated Texture Profile
        Hybrid Profile
        Advanced Real Time Simple Profile
        Code Scalable Profile
        Advanced Coding Profile
        Advanced Core Profile
        Advanced Scalable Texture Profile
        Simple Studio Profile
        Advanced Simple Profile

        Simple
        Main
        Complex
        Advanced

        Profile 0
        Profile 1
        Profile 2
        Profile 3

        Main
        High
Capabilities:
        AV_CODEC_CAP_DELAY
        AV_CODEC_CAP_DR1
        AV_CODEC_CAP_FRAME_THREADS
        AV_CODEC_CAP_SLICE_THREADS

Stream #0:2 aac (AAC (Advanced Audio Coding))
AV_CODEC_ID_AAC
Profiles:
        LC
        HE-AAC
sample_fmts:AV_SAMPLE_FMT_FLTP
Capabilities:
        AV_CODEC_CAP_CHANNEL_CONF
        AV_CODEC_CAP_DR1

Stream #0:3 aac (AAC (Advanced Audio Coding))
AV_CODEC_ID_AAC
Profiles:
        LC
        HE-AAC
sample_fmts:AV_SAMPLE_FMT_FLTP
Capabilities:
        AV_CODEC_CAP_CHANNEL_CONF
        AV_CODEC_CAP_DR1

No encoder: vp9
Stream #0:4 vp9 (Google VP9)
AV_CODEC_ID_VP9
Profiles:
        Profile 0
Capabilities:
        AV_CODEC_CAP_DR1
        AV_CODEC_CAP_FRAME_THREADS
        AV_CODEC_CAP_SLICE_THREADS

이렇게 스트림 정보에 맞는 decoder를 구했으면 이제 avcodec_open2로 코덱을 열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코덱 동작 시에 유지될 문맥 정보를 avcodec_alloc_context3로 할당해 놓아야 합니다. 그래서 대략 다음과 같은 식으로 코덱 작업을 열고/닫을 수 있습니다.

{
    AVCodecContext* codec_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decoder);
    ffmpeg.avcodec_open2(codec_context, decoder, null);

    // ... decoding ...

    ffmpeg.avcodec_free_context(&codec_context);
}

어떤 코드에 보면, codec의 동작을 제어하는 값들을 avcodec_parameters_to_context를 통해서 설정한다고도 합니다.

{
    AVCodecContext* codec_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decoder);
    ffmpeg.avcodec_parameters_to_context(codec_context, stream->codecpar);
    ffmpeg.avcodec_open2(codec_context, decoder, null);

    // ... decoding ...

    ffmpeg.avcodec_free_context(&codec_context);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위의 출력 결과 중에 코덱이 지원하는 "Profile" 목록을 나열하고 있는데요, 지난 글에서 ffprobe 결과를 출력했던 것에서 못 구한 내용이 나옵니다.

D:\media_sample> ffprobe output2.mp4
...[생략]...
  libpostproc    55.  9.100 / 55.  9.100
Input #0, mov,mp4,m4a,3gp,3g2,mj2, from 'output2.mp4':
  Metadata:
    major_brand     : isom
    minor_version   : 512
    compatible_brands: isomiso2avc1mp41
    encoder         : Lavf58.45.100
  Duration: 00:03:07.95, start: 0.000000, bitrate: 3553 kb/s
  Stream #0:0(und): Video: h264 (High) (avc1 / 0x31637661), yuv420p(tv, bt709), 1920x1080 [SAR 1:1 DAR 16:9], 3070 kb/s, 29.97 fps, 29.97 tbr, 16k tbn, 59.94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vendor_id       : [0][0][0][0]
  Stream #0:1(eng): Audio: aac (LC) (mp4a / 0x6134706D), 48000 Hz, stereo, fltp, 128 kb/s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SoundHandler
      vendor_id       : [0][0][0][0]
  Stream #0:2(eng): Audio: aac (LC) (mp4a / 0x6134706D), 44100 Hz, stereo, fltp, 128 kb/s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vendor_id       : [0][0][0][0]
  Stream #0:3(eng): Video: vp9 (Profile 0) (vp09 / 0x39307076), yuv420p(tv, bt709), 640x360, 212 kb/s, SAR 1:1 DAR 16:9, 29.97 fps, 29.97 tbr, 16k tbn, 16k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VideoHandler
      vendor_id       : [0][0][0][0]

위의 "High", "LC", "Profile 0"에 대한 목록을 각각의 코덱에서 지원하는 profiles 속성에서 구할 수 있는데,

Console.WriteLine("Profiles:");
for (int j = 0; j <= decoder->profiles->profile; j++)
{
    string profil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profiles[j].name));
    Console.WriteLine($"\t{profile}");
}

목록은 구할 수 있지만, 해당 프로파일을 지정하는 인덱스를 알 수가 없습니다. 가령 h264의 경우 67개의 프로파일이 나오고 그중 인덱스 4에 해당하는 값이 "High"인데 디버거를 통해 Codec 인스턴스의 값을 봐도 4라는 값이 없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2정성태12/21/201126017오류 유형: 144. The database '...' cannot be opened because it is version 661.
1201정성태12/14/201141104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4]
1200정성태12/11/201126949디버깅 기술: 46. Windbg 확장 DLL 만들기 (2) - Debugger Extension API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99정성태12/11/201128366VC++: 55. JNI DLL 컴파일 시 x86과 x64의 Export된 함수의 이름이 왜 다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98정성태12/9/201132172디버깅 기술: 45. Windbg 확장 DLL 만들기 (1) - 스레드를 강제 종료시키는 명령어 [2]파일 다운로드1
1197정성태12/9/201129944.NET Framework: 282.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2) - RenderMonkey의 Shader/Model 파일 연동파일 다운로드2
1196정성태12/9/201133136.NET Framework: 281.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1) - 기초 프로그램 구조 [3]파일 다운로드2
1195정성태12/8/201147794오류 유형: 143. DXSDK_Jun10.exe 설치 시 "Error Code: S1023" 오류 해결하는 방법 [4]
1194정성태12/8/201135545개발 환경 구성: 137. Visual C++ 런타임 구성요소에 대한 디버그 버전 설치하는 방법
1193정성태12/8/201122585오류 유형: 142. Windows Phone SDK 7.1 설치 시 Expression Blend 제거를 요구하는 경우
1192정성태12/8/201125608개발 환경 구성: 136. Windows 7 SP1의 IIS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로드하는 방법
1191정성태12/6/201126738.NET Framework: 280. MVC3에서 JavaScriptSerializer 재정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0정성태12/6/201129890오류 유형: 141.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75: 'xxxxx' : illegal use of this type as an expression [1]
1189정성태12/6/201137033VS.NET IDE: 70.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로드가 안된다면?
1188정성태12/3/201126124개발 환경 구성: 135. 마이크로소프트 TFS 호스팅 서비스 - Preview [3]
1187정성태12/2/201130792개발 환경 구성: 134.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1186정성태12/1/201132615.NET Framework: 279. WPF - 그리기 성능 및 Blurring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85정성태11/29/201123397.NET Framework: 278. WPF - Content의 Changed 이벤트에 해당하는게 뭔가요?파일 다운로드1
1184정성태11/29/201126199.NET Framework: 277. F#과 WPF가 어울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 [2]
1183정성태11/26/201121650오류 유형: 140. Visual Studio 2010 -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2]
1182정성태11/25/201157411.NET Framework: 276. 중복 없는 숫자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81정성태11/24/201127875디버깅 기술: 44.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1180정성태11/23/201137687.NET Framework: 275.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79정성태11/22/201128280.NET Framework: 274. ReaderWriterLockSlim은 언제 쓰는 걸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178정성태11/19/201124757.NET Framework: 273.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77정성태11/18/201130005.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