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939

.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948

.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
; https://www.sysnet.pe.kr/2/0/12949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 https://www.sysnet.pe.kr/2/0/12956

.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 https://www.sysnet.pe.kr/2/0/12958

.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
; https://www.sysnet.pe.kr/2/0/12966

.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 https://www.sysnet.pe.kr/2/0/12970

.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 https://www.sysnet.pe.kr/2/0/12977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

지난 글에서 동영상 파일의 스트림 정보까지 조회를 했으니,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948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3026

그렇다면 해당 스트림에 맞는 코덱을 열면 됩니다. 이것은 codecpar->codec_id에 이미 코덱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쉽게 decoder (또는 encoder)를 찾을 수 있습니다.

AVFormatContext* av_context = null;
string filePath = @"D:\media_sample\output2.mp4";

int ret = ffmpeg.avformat_open_input(&av_context, filePath, null, null);
if (ret != 0)
{
    return;
}

ffmpeg.avformat_find_stream_info(av_context, null);

for (int i = 0; i < av_context->nb_streams; i++)
{
    Console.WriteLine();
    AVStream* stream = av_context->streams[i];
    AVCodecParameters* codecpar = stream->codecpar;

    AVCodec* decoder = ffmpeg.avcodec_find_decoder(codecpar->codec_id);
    if (decoder == null)
    {
        continue;
    }

    AVCodec* encoder = ffmpeg.avcodec_find_encoder(codecpar->codec_id);
    if (encoder == null)
    {
        Console.WriteLine($"No encoder: {codecName}");
    }
}

ffmpeg.avformat_close_input(&av_context);

보통 기존 파일을 여는 경우에는 당연히 decoder를 열게 될 것이고 이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string codecNam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name));
string codecLongNam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long_name));
Console.WriteLine($"{codecName} ({codecLongName})");
Console.WriteLine($"{decoder->id}");

Console.WriteLine("Profiles:");
for (int j = 0; j <= decoder->profiles->profile; j++)
{
    string profil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profiles[j].name));
    Console.WriteLine($"\t{profile}");
}

if (decoder->sample_fmts != null)
{
    Console.WriteLine("sample_fmts:" + *(decoder->sample_fmts));
}

WriteCodecCap(decoder->capabilities);

지난 글에 만든 예제 동영상에 대해,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47

코덱 정보를 조회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출력이 됩니다.

Stream #0:1 h264 (H.264 / AVC / MPEG-4 AVC / MPEG-4 part 10)
AV_CODEC_ID_H264
Profiles:
        Baseline
        Constrained Baseline
        Main
        Extended
        High
        High 10
        High 10 Intra
        High 4:2:2
        High 4:2:2 Intra
        High 4:4:4
        High 4:4:4 Predictive
        High 4:4:4 Intra
        CAVLC 4:4:4
        Multiview High
        Stereo High

        Main
        Main 10
        Main Still Picture
        Rext

        Main 10
        Main 10 4:4:4

        JPEG 2000 codestream restriction 0
        JPEG 2000 codestream restriction 1
        JPEG 2000 no codestream restrictions
        JPEG 2000 digital cinema 2K
        JPEG 2000 digital cinema 4K

        4:2:2
        High
        Spatially Scalable
        SNR Scalable
        Main
        Simple
        Reserved

        Simple Profile
        Simple Scalable Profile
        Core Profile
        Main Profile
        N-bit Profile
        Scalable Texture Profile
        Simple Face Animation Profile
        Basic Animated Texture Profile
        Hybrid Profile
        Advanced Real Time Simple Profile
        Code Scalable Profile
        Advanced Coding Profile
        Advanced Core Profile
        Advanced Scalable Texture Profile
        Simple Studio Profile
        Advanced Simple Profile

        Simple
        Main
        Complex
        Advanced

        Profile 0
        Profile 1
        Profile 2
        Profile 3

        Main
        High
Capabilities:
        AV_CODEC_CAP_DELAY
        AV_CODEC_CAP_DR1
        AV_CODEC_CAP_FRAME_THREADS
        AV_CODEC_CAP_SLICE_THREADS

Stream #0:2 aac (AAC (Advanced Audio Coding))
AV_CODEC_ID_AAC
Profiles:
        LC
        HE-AAC
sample_fmts:AV_SAMPLE_FMT_FLTP
Capabilities:
        AV_CODEC_CAP_CHANNEL_CONF
        AV_CODEC_CAP_DR1

Stream #0:3 aac (AAC (Advanced Audio Coding))
AV_CODEC_ID_AAC
Profiles:
        LC
        HE-AAC
sample_fmts:AV_SAMPLE_FMT_FLTP
Capabilities:
        AV_CODEC_CAP_CHANNEL_CONF
        AV_CODEC_CAP_DR1

No encoder: vp9
Stream #0:4 vp9 (Google VP9)
AV_CODEC_ID_VP9
Profiles:
        Profile 0
Capabilities:
        AV_CODEC_CAP_DR1
        AV_CODEC_CAP_FRAME_THREADS
        AV_CODEC_CAP_SLICE_THREADS

이렇게 스트림 정보에 맞는 decoder를 구했으면 이제 avcodec_open2로 코덱을 열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코덱 동작 시에 유지될 문맥 정보를 avcodec_alloc_context3로 할당해 놓아야 합니다. 그래서 대략 다음과 같은 식으로 코덱 작업을 열고/닫을 수 있습니다.

{
    AVCodecContext* codec_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decoder);
    ffmpeg.avcodec_open2(codec_context, decoder, null);

    // ... decoding ...

    ffmpeg.avcodec_free_context(&codec_context);
}

어떤 코드에 보면, codec의 동작을 제어하는 값들을 avcodec_parameters_to_context를 통해서 설정한다고도 합니다.

{
    AVCodecContext* codec_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decoder);
    ffmpeg.avcodec_parameters_to_context(codec_context, stream->codecpar);
    ffmpeg.avcodec_open2(codec_context, decoder, null);

    // ... decoding ...

    ffmpeg.avcodec_free_context(&codec_context);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위의 출력 결과 중에 코덱이 지원하는 "Profile" 목록을 나열하고 있는데요, 지난 글에서 ffprobe 결과를 출력했던 것에서 못 구한 내용이 나옵니다.

D:\media_sample> ffprobe output2.mp4
...[생략]...
  libpostproc    55.  9.100 / 55.  9.100
Input #0, mov,mp4,m4a,3gp,3g2,mj2, from 'output2.mp4':
  Metadata:
    major_brand     : isom
    minor_version   : 512
    compatible_brands: isomiso2avc1mp41
    encoder         : Lavf58.45.100
  Duration: 00:03:07.95, start: 0.000000, bitrate: 3553 kb/s
  Stream #0:0(und): Video: h264 (High) (avc1 / 0x31637661), yuv420p(tv, bt709), 1920x1080 [SAR 1:1 DAR 16:9], 3070 kb/s, 29.97 fps, 29.97 tbr, 16k tbn, 59.94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vendor_id       : [0][0][0][0]
  Stream #0:1(eng): Audio: aac (LC) (mp4a / 0x6134706D), 48000 Hz, stereo, fltp, 128 kb/s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SoundHandler
      vendor_id       : [0][0][0][0]
  Stream #0:2(eng): Audio: aac (LC) (mp4a / 0x6134706D), 44100 Hz, stereo, fltp, 128 kb/s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vendor_id       : [0][0][0][0]
  Stream #0:3(eng): Video: vp9 (Profile 0) (vp09 / 0x39307076), yuv420p(tv, bt709), 640x360, 212 kb/s, SAR 1:1 DAR 16:9, 29.97 fps, 29.97 tbr, 16k tbn, 16k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VideoHandler
      vendor_id       : [0][0][0][0]

위의 "High", "LC", "Profile 0"에 대한 목록을 각각의 코덱에서 지원하는 profiles 속성에서 구할 수 있는데,

Console.WriteLine("Profiles:");
for (int j = 0; j <= decoder->profiles->profile; j++)
{
    string profil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profiles[j].name));
    Console.WriteLine($"\t{profile}");
}

목록은 구할 수 있지만, 해당 프로파일을 지정하는 인덱스를 알 수가 없습니다. 가령 h264의 경우 67개의 프로파일이 나오고 그중 인덱스 4에 해당하는 값이 "High"인데 디버거를 통해 Codec 인스턴스의 값을 봐도 4라는 값이 없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3정성태12/17/201922250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0537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22388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19532.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21414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21224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20329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8838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9626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9278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0850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7655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1159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3082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9473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28128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9540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9189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7504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0404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9356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8859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9294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20885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20046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20699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