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939

.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948

.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
; https://www.sysnet.pe.kr/2/0/12949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 https://www.sysnet.pe.kr/2/0/12956

.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 https://www.sysnet.pe.kr/2/0/12958

.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
; https://www.sysnet.pe.kr/2/0/12966

.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 https://www.sysnet.pe.kr/2/0/12970

.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 https://www.sysnet.pe.kr/2/0/12977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

지난 글에서 동영상 파일의 스트림 정보까지 조회를 했으니,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948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3026

그렇다면 해당 스트림에 맞는 코덱을 열면 됩니다. 이것은 codecpar->codec_id에 이미 코덱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쉽게 decoder (또는 encoder)를 찾을 수 있습니다.

AVFormatContext* av_context = null;
string filePath = @"D:\media_sample\output2.mp4";

int ret = ffmpeg.avformat_open_input(&av_context, filePath, null, null);
if (ret != 0)
{
    return;
}

ffmpeg.avformat_find_stream_info(av_context, null);

for (int i = 0; i < av_context->nb_streams; i++)
{
    Console.WriteLine();
    AVStream* stream = av_context->streams[i];
    AVCodecParameters* codecpar = stream->codecpar;

    AVCodec* decoder = ffmpeg.avcodec_find_decoder(codecpar->codec_id);
    if (decoder == null)
    {
        continue;
    }

    AVCodec* encoder = ffmpeg.avcodec_find_encoder(codecpar->codec_id);
    if (encoder == null)
    {
        Console.WriteLine($"No encoder: {codecName}");
    }
}

ffmpeg.avformat_close_input(&av_context);

보통 기존 파일을 여는 경우에는 당연히 decoder를 열게 될 것이고 이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string codecNam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name));
string codecLongNam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long_name));
Console.WriteLine($"{codecName} ({codecLongName})");
Console.WriteLine($"{decoder->id}");

Console.WriteLine("Profiles:");
for (int j = 0; j <= decoder->profiles->profile; j++)
{
    string profil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profiles[j].name));
    Console.WriteLine($"\t{profile}");
}

if (decoder->sample_fmts != null)
{
    Console.WriteLine("sample_fmts:" + *(decoder->sample_fmts));
}

WriteCodecCap(decoder->capabilities);

지난 글에 만든 예제 동영상에 대해,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47

코덱 정보를 조회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출력이 됩니다.

Stream #0:1 h264 (H.264 / AVC / MPEG-4 AVC / MPEG-4 part 10)
AV_CODEC_ID_H264
Profiles:
        Baseline
        Constrained Baseline
        Main
        Extended
        High
        High 10
        High 10 Intra
        High 4:2:2
        High 4:2:2 Intra
        High 4:4:4
        High 4:4:4 Predictive
        High 4:4:4 Intra
        CAVLC 4:4:4
        Multiview High
        Stereo High

        Main
        Main 10
        Main Still Picture
        Rext

        Main 10
        Main 10 4:4:4

        JPEG 2000 codestream restriction 0
        JPEG 2000 codestream restriction 1
        JPEG 2000 no codestream restrictions
        JPEG 2000 digital cinema 2K
        JPEG 2000 digital cinema 4K

        4:2:2
        High
        Spatially Scalable
        SNR Scalable
        Main
        Simple
        Reserved

        Simple Profile
        Simple Scalable Profile
        Core Profile
        Main Profile
        N-bit Profile
        Scalable Texture Profile
        Simple Face Animation Profile
        Basic Animated Texture Profile
        Hybrid Profile
        Advanced Real Time Simple Profile
        Code Scalable Profile
        Advanced Coding Profile
        Advanced Core Profile
        Advanced Scalable Texture Profile
        Simple Studio Profile
        Advanced Simple Profile

        Simple
        Main
        Complex
        Advanced

        Profile 0
        Profile 1
        Profile 2
        Profile 3

        Main
        High
Capabilities:
        AV_CODEC_CAP_DELAY
        AV_CODEC_CAP_DR1
        AV_CODEC_CAP_FRAME_THREADS
        AV_CODEC_CAP_SLICE_THREADS

Stream #0:2 aac (AAC (Advanced Audio Coding))
AV_CODEC_ID_AAC
Profiles:
        LC
        HE-AAC
sample_fmts:AV_SAMPLE_FMT_FLTP
Capabilities:
        AV_CODEC_CAP_CHANNEL_CONF
        AV_CODEC_CAP_DR1

Stream #0:3 aac (AAC (Advanced Audio Coding))
AV_CODEC_ID_AAC
Profiles:
        LC
        HE-AAC
sample_fmts:AV_SAMPLE_FMT_FLTP
Capabilities:
        AV_CODEC_CAP_CHANNEL_CONF
        AV_CODEC_CAP_DR1

No encoder: vp9
Stream #0:4 vp9 (Google VP9)
AV_CODEC_ID_VP9
Profiles:
        Profile 0
Capabilities:
        AV_CODEC_CAP_DR1
        AV_CODEC_CAP_FRAME_THREADS
        AV_CODEC_CAP_SLICE_THREADS

이렇게 스트림 정보에 맞는 decoder를 구했으면 이제 avcodec_open2로 코덱을 열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코덱 동작 시에 유지될 문맥 정보를 avcodec_alloc_context3로 할당해 놓아야 합니다. 그래서 대략 다음과 같은 식으로 코덱 작업을 열고/닫을 수 있습니다.

{
    AVCodecContext* codec_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decoder);
    ffmpeg.avcodec_open2(codec_context, decoder, null);

    // ... decoding ...

    ffmpeg.avcodec_free_context(&codec_context);
}

어떤 코드에 보면, codec의 동작을 제어하는 값들을 avcodec_parameters_to_context를 통해서 설정한다고도 합니다.

{
    AVCodecContext* codec_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decoder);
    ffmpeg.avcodec_parameters_to_context(codec_context, stream->codecpar);
    ffmpeg.avcodec_open2(codec_context, decoder, null);

    // ... decoding ...

    ffmpeg.avcodec_free_context(&codec_context);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위의 출력 결과 중에 코덱이 지원하는 "Profile" 목록을 나열하고 있는데요, 지난 글에서 ffprobe 결과를 출력했던 것에서 못 구한 내용이 나옵니다.

D:\media_sample> ffprobe output2.mp4
...[생략]...
  libpostproc    55.  9.100 / 55.  9.100
Input #0, mov,mp4,m4a,3gp,3g2,mj2, from 'output2.mp4':
  Metadata:
    major_brand     : isom
    minor_version   : 512
    compatible_brands: isomiso2avc1mp41
    encoder         : Lavf58.45.100
  Duration: 00:03:07.95, start: 0.000000, bitrate: 3553 kb/s
  Stream #0:0(und): Video: h264 (High) (avc1 / 0x31637661), yuv420p(tv, bt709), 1920x1080 [SAR 1:1 DAR 16:9], 3070 kb/s, 29.97 fps, 29.97 tbr, 16k tbn, 59.94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vendor_id       : [0][0][0][0]
  Stream #0:1(eng): Audio: aac (LC) (mp4a / 0x6134706D), 48000 Hz, stereo, fltp, 128 kb/s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SoundHandler
      vendor_id       : [0][0][0][0]
  Stream #0:2(eng): Audio: aac (LC) (mp4a / 0x6134706D), 44100 Hz, stereo, fltp, 128 kb/s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vendor_id       : [0][0][0][0]
  Stream #0:3(eng): Video: vp9 (Profile 0) (vp09 / 0x39307076), yuv420p(tv, bt709), 640x360, 212 kb/s, SAR 1:1 DAR 16:9, 29.97 fps, 29.97 tbr, 16k tbn, 16k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VideoHandler
      vendor_id       : [0][0][0][0]

위의 "High", "LC", "Profile 0"에 대한 목록을 각각의 코덱에서 지원하는 profiles 속성에서 구할 수 있는데,

Console.WriteLine("Profiles:");
for (int j = 0; j <= decoder->profiles->profile; j++)
{
    string profile = Marshal.PtrToStringAnsi(new IntPtr(decoder->profiles[j].name));
    Console.WriteLine($"\t{profile}");
}

목록은 구할 수 있지만, 해당 프로파일을 지정하는 인덱스를 알 수가 없습니다. 가령 h264의 경우 67개의 프로파일이 나오고 그중 인덱스 4에 해당하는 값이 "High"인데 디버거를 통해 Codec 인스턴스의 값을 봐도 4라는 값이 없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85정성태7/17/201917009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1]
11984정성태7/9/201925538개발 환경 구성: 451. Microsoft Edge (Chromium)을 대상으로 한 Selenium WebDriver 사용법 [1]
11983정성태7/8/201914891오류 유형: 556. nodemon - 'mocha' is not recognized as an internal or external command, operable program or batch file.
11982정성태7/8/201914980오류 유형: 555. Visual Studio 빌드 오류 - result: unexpected exception occured (-1002 - 0xfffffc16)
11981정성태7/7/201918075Math: 64. C# - 3층 구조의 신경망(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80정성태7/7/201928175개발 환경 구성: 450. Visual Studio Code의 Java 확장을 이용한 간단한 프로젝트 구축파일 다운로드1
11979정성태7/7/201918428개발 환경 구성: 449. TFS에서 gitlab/github등의 git 서버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방법
11978정성태7/6/201917688Windows: 161. 계정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PC 간의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1]
11977정성태7/6/201922290오류 유형: 554. git push - error: RPC failed; HTTP 413 curl 22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11976정성태7/4/201916624오류 유형: 553. (잘못 인증 한 후) 원격 git repo 재인증 시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오류 발생
11975정성태7/4/201925424개발 환경 구성: 448. Visual Studio Code에서 콘솔 응용 프로그램 개발 시 "입력"받는 방법
11974정성태7/4/201921156Linux: 22. "Visual Studio Code + Remote Development"로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CentOS 7) C/C++ 개발
11973정성태7/4/201919898Linux: 21. 리눅스에서 공유 라이브러리가 로드되지 않는다면?
11972정성태7/3/201923679.NET Framework: 847. JAVA와 .NET 간의 AES 암호화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11971정성태7/3/201919970개발 환경 구성: 447. Visual Studio Code에서 OpenCvSharp 개발 환경 구성
11970정성태7/2/201918569오류 유형: 552. 웹 브라우저에서 파일 다운로드 후 "Running security scan"이 끝나지 않는 문제
11969정성태7/2/201919034Math: 63. C# - 3층 구조의 신경망파일 다운로드1
11968정성태7/1/201925729오류 유형: 551. Visual Studio Code에서 Remote-SSH 연결 시 "Opening Remote..." 단계에서 진행되지 않는 문제 [1]
11967정성태7/1/201919779개발 환경 구성: 446. Synology NAS를 Windows 10에서 iSCSI로 연결하는 방법
11966정성태6/30/201918721Math: 62. 활성화 함수에 따른 뉴런의 출력을 그리드 맵으로 시각화파일 다운로드1
11965정성태6/30/201919309.NET Framework: 846. C# - 2차원 배열을 1차원 배열로 나열하는 확장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1964정성태6/30/201920861Linux: 20. C# - Linux에서의 Named Pipe를 이용한 통신
11963정성태6/29/201920603Linux: 19. C# - .NET Core Unix Domain Socket 사용 예제
11962정성태6/27/201918287Math: 61.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선형분리 불가능 문제의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61정성태6/27/201917820Graphics: 37. C# - PLplot - 출력 모음(Family File Output)
11960정성태6/27/201918868Graphics: 36. C# - PLplot의 16색 이상을 표현하는 방법과 subpage를 이용한 그리드 맵 표현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