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46. .NET 6에 추가되지 않은 Generic Math (예: INumber<T>)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54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ET 6에 추가되지 않은 Generic Math (예: INumber<T>)

예전에, (C# 10의 새로운 문법이 적용된) INumber<T>와 관련한 Generic Math에 대한 설명을 했는데요,

.NET 6 Preview 7에 추가된 숫자 형식에 대한 제네릭 연산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2785

아쉽게도 정식 버전의 .NET 6.0에 Generic Math가 추가되지 않아서 현재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여전히 해당 기능은 preview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csproj에 다음의 2가지 설정을 추가해야 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EnablePreviewFeatures>true</EnablePreviewFeatures>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6.0</TargetFramework>
        <Nullable>enable</Nullable>
    </Property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System.Runtime.Experimental" Version="6.0.2-mauipre.1.22054.8" />
    </ItemGroup>

</Project>

참고로, 예전에는 System.Runtime.Experimental 어셈블리의 버전을 "6.0.0-preview.7.21377.19"라고 설정했는데요, 현재 6.0 정식 버전이 나왔기 때문에 그 버전으로 참조 추가를 하면 6.0 정식 버전의 System.Runtime 어셈블리가 우선순위를 가지기 때문에 System.Runtime.Experimental의 모든 타입이 무시됩니다.

따라서, "6.0.2-mauipre.1.22054.8" 버전의 "6.0.2"로 더 높은 버전으로 새롭게 지정해야 6.0 정식 버전의 참조를 무시할 수 있습니다. (불과 12일 전에 6.0.2 버전이 릴리스가 되어 그동안 INumber<T> 등의 타입을 테스트할 수 없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08정성태7/26/202220205Linux: 53. container에 실행 중인 Golang 프로세스를 디버깅하는 방법 [1]
13107정성태7/25/202220218Linux: 52. Debian/Ubuntu 계열의 docker container에서 자주 설치하게 되는 명령어 [1]
13106정성태7/24/202217184오류 유형: 819. 닷넷 6 프로젝트의 "Conditional compilation symbols" 기본값 오류
13105정성태7/23/202221955.NET Framework: 2034. .NET Core/5+ 환경에서 (프로젝트가 아닌) C# 코드 파일을 입력으로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
13104정성태7/23/202225607Linux: 51. WSL - init에서 systemd로 전환하는 방법
13103정성태7/22/202220695오류 유형: 818. WSL - systemd-genie와 관련한 2가지(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에러
13102정성태7/19/202219792.NET Framework: 2033. .NET Core/5+에서는 구할 수 없는 HttpRuntime.AppDomainAppId
13101정성태7/15/202234210도서: 시작하세요! C# 10 프로그래밍
13100정성태7/15/202222362.NET Framework: 2032.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Relaxing Shift Operator)
13099정성태7/14/202220740.NET Framework: 2031.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파일 다운로드1
13098정성태7/13/202218606개발 환경 구성: 647. Azure - scale-out 상태의 App Service에서 특정 인스턴스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1]
13097정성태7/12/202217811오류 유형: 817. Golang - binary.Read: invalid type int32
13096정성태7/8/202220636.NET Framework: 2030.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13095정성태7/7/202217853Windows: 208. AD 도메인에 참여하지 않은 컴퓨터에서 Kerberos 인증을 사용하는 방법
13094정성태7/6/202216978오류 유형: 816. Golang - "short write" 오류 원인
13093정성태7/5/202217983.NET Framework: 2029. C# - HttpWebRequest로 localhost 접속 시 2초 이상 지연
13092정성태7/3/202220937.NET Framework: 2028. C# - HttpWebRequest의 POST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3091정성태7/3/202220316.NET Framework: 2027. C# - IPv4, IPv6를 모두 지원하는 서버 소켓 생성 방법 [1]
13090정성태6/29/202219525오류 유형: 815. PyPI에 업로드한 패키지가 반영이 안 되는 경우
13089정성태6/28/202219474개발 환경 구성: 646. HOSTS 파일 변경 시 Edge 브라우저에 반영하는 방법
13088정성태6/27/202218004개발 환경 구성: 645.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 2022" 명령행 환경의 폰트를 바꾸는 방법
13087정성태6/23/202220428스크립트: 41. 파이썬 - FastAPI / uvicorn 호스팅 환경에서 asyncio 사용하는 방법 [1]
13086정성태6/22/202221009.NET Framework: 2026.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파일 다운로드1
13085정성태6/22/202219819.NET Framework: 2025.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raw string literals)파일 다운로드1
13084정성태6/21/202220186개발 환경 구성: 644. Windows - 파이썬 2.7을 msi 설치 없이 구성하는 방법
13083정성태6/20/202220082.NET Framework: 2024. .NET 7에 도입된 GC의 메모리 해제에 대한 segment와 region의 차이점 [2]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