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66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939

.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948

.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
; https://www.sysnet.pe.kr/2/0/12949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 https://www.sysnet.pe.kr/2/0/12956

.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 https://www.sysnet.pe.kr/2/0/12958

.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
; https://www.sysnet.pe.kr/2/0/12966

.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 https://www.sysnet.pe.kr/2/0/12970

.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 https://www.sysnet.pe.kr/2/0/12977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기본적인 디코딩 절차를 마련했으니,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 https://www.sysnet.pe.kr/2/0/12956

이제 packet과 frame의 기본 정보를 출력해볼까요?

우선, 비디오의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프레임이 갖고 있는 이미지의 width와 height입니다.

switch (mediaType)
{
    case AVMediaType.AVMEDIA_TYPE_VIDEO:
        // 비디오 frame 처리
        Console.Write($"V {frame->width} x {frame->height}");
        Console.WriteLine();
        break;

    case AVMediaType.AVMEDIA_TYPE_AUDIO:
        // 오디오 frame 처리
        break;
}

그리고 이미지의 포맷일 텐데요, ffmpeg.AutoGen에서 format은 int 타입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형변환을 하면 좀 더 사용자에게 친숙한 문자열을 얻을 수 있습니다.

Console.Write($", {(AVPixelFormat)frame->format}");

여기까지 예제 동영상으로 준비했던 것을 대상으로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은 출력이 나옵니다.

V 1920 x 1080, AV_PIX_FMT_YUV420P
V 1920 x 1080, AV_PIX_FMT_YUV420P
...[생략]...

AV_PIX_FMT_YUV420P를 이제 좀 더 깊게 들어가 볼까요? ^^ 소스 코드 내 주석을 보면,

//     planar YUV 4:2:0, 12bpp, (1 Cr & Cb sample per 2x2 Y samples)
AV_PIX_FMT_YUV420P = 0,

YUV420은 아래 문서의 설명에 따라,

Recommended 8-Bit YUV Formats for Video Rendering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medfound/recommended-8-bit-yuv-formats-for-video-rendering

[그림 출처: Recommended 8-Bit YUV Formats for Video Rendering]
yuv-sampling-grids.png

Luma 채널(Y) 값 4개에 대해 Chroma 채널(U(Cb), V(Cr)) 1개가 할당된 방식입니다.

즉, 화면에 다음과 같이 픽셀 8개가 있을 때,

x x x x
x x x x

1바이트의 Y 값은 각각의 픽셀마다 값을 가지고,

y y y y
y y y y

그다음 개별적으로 1바이트의 u, 1바이트의 v 값이 4개의 점에 대해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y  y  y  y
 u,v  u,v
y  y  y  y

따라서 개별 pixel에 대한 u, v 값이 아닌 4개의 점에 대한 공유 u, v를 가지기 때문에 약간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반면, YUV444인 경우라면,

// planar YUV 4:4:4, 24bpp, (1 Cr & Cb sample per 1x1 Y samples)
AV_PIX_FMT_YUV444P = 5,

각각의 픽셀에 대해 u, v가 동일하게 유지하는 방식으로,

(y,u,v) (y,u,v) (y,u,v) (y,u,v)
(y,u,v) (y,u,v) (y,u,v) (y,u,v)

손실이 없는 방식입니다.

일단 YUV에 대한 의미는 그렇고, 그다음 "P" 접미사에 대한 의미는 planar를 의미하며 없으면 packed 방식을 의미합니다. planar인 경우, y, u, v에 대한 데이터를 따로 저장하는데요, ffmpeg에서는 frame의 data 포인터 배열에 각각 다음과 같이 나눠서 저장을 하게 됩니다.

data[0] = y 데이터 포인터
data[1] = u 데이터 포인터
data[2] = v 데이터 포인터

따라서 AV_PIX_FMT_YUV420P라고 하면,

// 예제 동영상의 경우 width == 1920, height == 1080이므로,
data[0] = 1920 * 1080 바이트의 y 데이터를 가리키는 포인터
data[1] = (1920 / 2) * (1080 / 2) 바이트의 u 데이터를 가리키는 포인터
data[2] = (1920 / 2) * (1080 / 2) 바이트의 v 데이터를 가리키는 포인터

라고 해석이 됩니다. 그리고 AVFrame은 y, u, v의 데이터를 담고 있는 data[0], data[1], data[2]의 각각의 stride 크기를 linesize에 담고 있습니다.

linesize[0]: data[0]이 담고 있는 데이터가 하나의 라인에 해당하는 바이트 수
linesize[1]: data[1]이 담고 있는 데이터가 하나의 라인에 해당하는 바이트 수
linesize[2]: data[2]이 담고 있는 데이터가 하나의 라인에 해당하는 바이트 수

즉 예제 데이터의 경우에는 linesize[0] == 1920, linesize[1] == linesize[2] == 960 값을 담게 됩니다.

혹시 평면 형식의 데이터가 연속으로 y, u, v가 할당돼 있는 구조일까요? 디버그로 포인터를 출력해 보면,

byte* yData = frame->data[0];
byte* uData = frame->data[1];
byte* vData = frame->data[2];

// uData == 0x00000231cb4146c0
// vData == 0x00000231cb8c0f00 (v - u = 4,900,928)
// yData == 0x00000231cc89b080 (y - v = 16,621,952)

메모리 순서 상으로 u, v, y이고, uData와 vData의 offset을 계산했을 때, 예상되는 uData의 크기가 (1920/2) * (1080/2) = 518,400 바이트인 것을 감안하면 딱히 y, u, v 모두 연속적인 공간에 할당된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이상하군요, ^^; 4:2:0 Formats, 12 Bits per Pixel 글을 보면 연속 공간에 할당한 것으로 나오는데... 게다가 메모리 순서도 y, v, u 또는 y, v, u라고 나와야 하는데, 포인터 상으로는 u, v, y로 나오고 있습니다.)




만약 P가 없다면 (planar가 아닌) packed 형식으로 데이터가 일렬로 저장된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V_PIX_FMT_YUYV422라고 하면,

//
// Summary:
//     packed YUV 4:2:2, 16bpp, Y0 Cb Y1 Cr
AV_PIX_FMT_YUYV422 = 1,

도움말에도 나오는 것처럼, (이전처럼 8개의 픽셀을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하게 되고,

(y u y v) (y u y v) (y u y v) (y u y v)

이 데이터를 그대로 data[0]에 포함하게 될 듯합니다. 하지만 이것을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아래의 글에서 설명했듯이,

ffmpeg.exe를 이용해 planar 포맷의 데이터를 packed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57

packed 포맷으로 저장하는 동영상 파일을 만들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libx264 코덱의 경우 "yuv420p yuvj420p yuv422p yuvj422p yuv444p yuvj444p nv12 nv16 nv21 yuv420p10le yuv422p10le yuv444p10le nv20le gray gray10le" 같은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기 때문에 frame을 디코딩할 때 감안해야 할 것입니다.

즉, yuv444p인 경우라면 linesize의 [0], [1], [2]에는 (1920 x 1080 동영상인 경우) 모두 1920 값을 가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YUV 데이터를 RGB 포맷으로 바꿔 윈도우 화면 상에 출력하고 싶을 텐데요, 이게 좀 문제입니다. yuv를 rgb로 해석하는 방법이 설명하는 곳마다 모두 제각각입니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문서(또는 아마도 그것을 참조한 듯한 블로그)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 Recommended 8-Bit YUV Formats for Video Rendering
//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medfound/recommended-8-bit-yuv-formats-for-video-rendering

// c++ - How to convert RGB -> YUV -> RGB (both ways)
// ; https://jike.in/?qa=712652/c-how-to-convert-rgb-yuv-rgb-both-ways

// C - yuv422와 yuv420파일을 RGB Foramt으로 변환하기
// https://junsk1016.github.io/c/YUV422&420-to-Raw/

C = Y - 16
D = U - 128
E = V - 128
R = clip( round( 1.164383 * C                   + 1.596027 * E  ) )
G = clip( round( 1.164383 * C - (0.391762 * D) - (0.812968 * E) ) )
B = clip( round( 1.164383 * C +  2.017232 * D                   ) )

제가 가진 "Visual C++ 영상 처리 프로그래밍" 책에서는 이렇게 제시합니다.

R = Y                      + 1.4075 * (V - 128)
G = Y - 0.3455 * (U - 128) - 0.7169 * (V - 128)
B = Y + 1.7790 * (U - 128)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Y 값에서 16을 뺀 것도 위의 식에서는 없습니다. 게다가 각각의 요소에 곱하는 실수도 값이 다릅니다. 그리고 이렇게 해석하는 글도 있습니다.

// 3-2.이미지 출력
// ; http://soen.kr/lecture/library/FFmpeg/3-2.htm

r = int(Y + 1.3707 * (V - 128));
g = int(Y - 0.6980 * (U - 128) - 0.3376 * (V - 128));
b = int(Y + 1.7324 * (U - 128));

찾아보면 또 얼마나 다른 값들이 나올지... ^^;

이런 다양한 방식에 혼란스럽다면, 그냥 ffmpeg에 맡기는 것도 좋겠습니다. 이를 위해 SwsContext를 사용하는데요,

// YUV <-> RGB by ffmpeg
// ; https://gist.github.com/nakaly/11eb992ebd134ee08b75e4c67afb5703

// Convert from YUV to RGB
struct SwsContext *sws_ctx = NULL;
sws_ctx = sws_getContext(inlink->w, inlink->h, inlink->format, outlink->w,
    outlink->h, AV_PIX_FMT_RGB24, SWS_BILINEAR,NULL,NULL,NULL);

uint8_t *prgb24 = calloc(3 * inlink->w * inlink->h, sizeof(uint8_t));
uint8_t *rgb24[1] = { prgb24 };
int rgb24_stride[1] = { 3 * inlink->w };
sws_scale(sws_ctx, in->data, in->linesize, 0, inlink->h, rgb24, rgb24_stride);

사실 현실적으로 보면 당연히 sws_scale을 이용해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성능상으로도 C#에서 루프로 처리하는 것보다 C/C++ 내부에서 최적화한 코드를 이용한 것이 더 좋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여기서는 공부 차원에서 하는 것이기 때문에 sws_scale을 사용하지 않고 3가지 yuv-to-rgb 코드를 테스트해 보겠습니다.

switch (mediaType)
{
    case AVMediaType.AVMEDIA_TYPE_VIDEO:
        byte* yData = frame->data[0];
        byte* uData = frame->data[1];
        byte* vData = frame->data[2];

        int yStride = frame->linesize[0];
        int uStride = frame->linesize[1];
        int vStride = frame->linesize[2];

        byte Y, U, V;
        int r, g, b;

        if ((AVPixelFormat)frame->format == AVPixelFormat.AV_PIX_FMT_YUV420P
            && frame->coded_picture_number == 300)
        {
            Bitmap bitmap = new Bitmap(frame->width, frame->height, PixelFormat.Format24bppRgb);

            for (int y = 0; y < frame->height; y++)
            {
                for (int x = 0; x < frame->width; x++)
                {
                    Y = yData[yStride * y + x];
                    U = uData[uStride * (y / 2) + x / 2];
                    V = vData[vStride * (y / 2) + x / 2];

                    ...[YUV 2 RGB]...(Y, U, V, out r, out g, out b);
                    Color pixel = Color.FromArgb(0, r, g, b);
                    bitmap.SetPixel(x, y, pixel);
                }
            }

            bitmap.Save(@"d:\temp\test.bmp");
        }
        break;

    case AVMediaType.AVMEDIA_TYPE_AUDIO:
        // 오디오 frame 처리
        break;
}

즉, 위의 ...[YUV 2 RGB]... 영역만 다음의 3가지 메서드로 테스트해보고,

// Recommended 8-Bit YUV Formats for Video Rendering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medfound/recommended-8-bit-yuv-formats-for-video-rendering
private static void YUV2RGB_ByMS(int y, int u, int v, out int r, out int g, out int b)
{
    y -= 16;
    u -= 128;
    v -= 128;

    r = (int)(1.164383 * y                + 1.596027 * v);
    g = (int)(1.164383 * y - 0.391762 * u - 0.812968 * v);
    b = (int)(1.164383 * y + 2.017232 * u);

    r = Math.Max(0, Math.Min(255, r));
    g = Math.Max(0, Math.Min(255, g));
    b = Math.Max(0, Math.Min(255, b));
}

// 3-2.이미지 출력
// ; http://soen.kr/lecture/library/FFmpeg/3-2.htm
private static void YUV2RGB_BySoen(byte y, byte u, byte v, out int r, out int g, out int b)
{
    r = (int)(y + 1.3707 * (v - 128));
    g = (int)(y - 0.6980 * (u - 128) - 0.3376 * (v - 128));
    b = (int)(y + 1.7324 * (u - 128));

    r = Math.Max(0, Math.Min(255, r));
    g = Math.Max(0, Math.Min(255, g));
    b = Math.Max(0, Math.Min(255, b));
}

// Visual C++ 영상 처리 프로그래밍
// http://www.yes24.com/Product/Goods/24310863
private static void YUV2RGB_ByBook(byte y, byte u, byte v, out int r, out int g, out int b)
{
    r = (int)(y + 1.4075 * (v - 128));
    g = (int)(y - 0.3455 * (u - 128) - 0.7169 * (v - 128));
    b = (int)(y + 1.7790 * (u - 128));

    r = Math.Max(0, Math.Min(255, r));
    g = Math.Max(0, Math.Min(255, g));
    b = Math.Max(0, Math.Min(255, b));
}

출력된 이미지를 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사진은 유튜브 영상 "디에이드"의 "안다은" 님이고 사용을 허락받고 올립니다.)
decode_yuv_to_rgb_1.png

보는 바와 같이, 어떤 yuv2rgb를 사용해도 영상의 차이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2-07 10시21분
[이승준] https://www.ffmpeg.org/ffmpeg-filters.html#toc-colorspace
여기 링크를 참고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bt709가 기본이라고 보시면 되고요. 출력 장치의 컬러 스페이스에 따른 변환 공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어차피 변환 자체는 전부 문제가 없는 것이라 확 달라지지는 않는 것 입니다.
[guest]
2022-02-07 10시49분
@이승준 님, 덧글 감사합니다, bt709라는 것이 단서가 되는군요. ^^

BT.709 YUV to RGB Conversion | Color
; https://mymusing.co/bt-709-yuv-to-rgb-conversion-color/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60정성태11/20/201915841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15329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16187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57정성태11/18/201912716오류 유형: 579.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12056정성태11/18/201917282개발 환경 구성: 464.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055정성태11/17/201912123개발 환경 구성: 463. Visual Studio의 Ctrl + Alt + M, 1 (Memory 1) 등의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054정성태11/15/201913627.NET Framework: 869. C# - 일부러 GC Heap을 깨뜨려 GC 수행 시 비정상 종료시키는 예제
12053정성태11/15/201915856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12052정성태11/15/201914932오류 유형: 578.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12051정성태11/14/201917546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1]
12050정성태11/14/201915144Windows: 165. AcLayers의 API 후킹과 FaultTolerantHeap
12049정성태11/13/201915389.NET Framework: 868. (닷넷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디버거 방식이 아닌 CLR Profiler를 이용해 procdump.exe 기능 구현
12048정성태11/12/201915927Windows: 164. GUID 이름의 볼륨에 해당하는 파티션을 찾는 방법
12047정성태11/12/201917915Windows: 163. 안전하게 eject시킨 USB 장치를 물리적인 재연결 없이 다시 인식시키는 방법
12046정성태10/29/201913286오류 유형: 577. windbg - The call to LoadLibrary(...\sos.dll) failed, Win32 error 0n193
12045정성태10/27/201912739오류 유형: 576.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12044정성태10/27/201913084오류 유형: 575. mstest.exe - System.Resources.MissingSatelliteAssemblyException: The satellite assembly named "Microsoft.VisualStudio.ProductKeyDialog.resources.dll, ..."
12043정성태10/27/201913978오류 유형: 574. Windows 10 설치 시 오류 - 0xC1900101 - 0x4001E
12042정성태10/26/201914257오류 유형: 573. OneDrive 하위에 위치한 Documents, Desktop 폴더에 대한 권한 변경 시 "Unable to display current owner"
12041정성태10/23/201914395오류 유형: 572. mstest.exe - The load test results database could not be opened.
12040정성태10/23/201914530오류 유형: 571. Unhandled Exception: System.Net.Mail.SmtpException: Transaction failed. The server response was: 5.2.0 STOREDRV.Submission.Exception:SendAsDeniedException.MapiExceptionSendAsDenied
12039정성태10/22/201912512스크립트: 16. cmd.exe의 for 문에서는 ERRORLEVEL이 설정되지 않는 문제
12038정성태10/17/201912248오류 유형: 570. SQL Server 2019 RC1 - SQL Client Connectivity SDK 설치 오류
12037정성태10/15/201919361.NET Framework: 867. C# - Encoding.Default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파일 다운로드1
12036정성태10/14/201920259.NET Framework: 866. C# - 고성능이 필요한 환경에서 GC가 발생하지 않는 네이티브 힙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035정성태10/13/201915739개발 환경 구성: 461. C# 8.0의 #nulable 관련 특성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