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898

.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24

.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 https://www.sysnet.pe.kr/2/0/12932

.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3

.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35

.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
; https://www.sysnet.pe.kr/2/0/12936

.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7

.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1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2

.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9

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0

.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61

.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64

.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1

.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5

.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8

.NET Framework: 116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4

.NET Framework: 116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demuxing_de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7

.NET Framework: 117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e_aa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91

.NET Framework: 117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http_multiclient.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2

.NET Framework: 118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6

.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3

.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5

.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302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지난 글에 의견을 주신 이승준 님 덕분에,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9#15570

드디어 decode_video.c의 동작을 확인했습니다. ^^ 댓글 의견이 정답인데요, 어쨌든 컨테이너 없이 저장된 유형이면 디코딩이 되었습니다.

Pure version of FFmpeg to decode av_parser_parse2
; https://titanwolf.org/Network/Articles/Article?AID=d650b07d-cc80-4c8b-be0c-cf04e0da6435

simplest_ffmpeg_player/simplest_ffmpeg_decoder_pure/
; https://github.com/leixiaohua1020/simplest_ffmpeg_player/tree/master/simplest_ffmpeg_decoder_pure

"
Mainly through to get AVPaket data av_parser_parse2, similar with av_read_frame.
Input must contain only the video encoded data "naked flow" (e.g. H.264, HEVC code stream file), but not containing encapsulated media data format (e.g., AVI, MKV, MP4).
"


decode_video.c 소스 코드를 테스트하기 위한 동영상은 ffmpeg.exe를 이용해 확장자만 m1v로 지정해 생성할 수 있습니다.

d:\media_sample> ffmpeg -i the-ade-changed.mkv -q:v 0 mpeg1video_q0.m1v
ffmpeg version 4.3.2-2021-02-27-full_build-www.gyan.dev Copyright (c) 2000-2021 the FFmpeg developers
  built with gcc 10.2.0 (Rev6, Built by MSYS2 project)
  configuration: ...[생략]...
  libpostproc    55.  7.100 / 55.  7.100
Input #0, matroska,webm, from 'the-ade-changed.mkv':
  Metadata:
    COMPATIBLE_BRANDS: iso6avc1mp41
    MAJOR_BRAND     : dash
    MINOR_VERSION   : 0
    ENCODER         : Lavf58.45.100
  Duration: 00:03:02.38, start: -0.007000, bitrate: 1256 kb/s
    Stream #0:0: Video: h264 (High), yuv420p(tv, bt709, progressive), 1920x1080 [SAR 1:1 DAR 16:9], 23.98 fps, 23.98 tbr, 1k tbn, 47.95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DURATION        : 00:03:02.349000000
    Stream #0:1(eng): Audio: opus, 48000 Hz, stereo, fltp (default)
    Metadata:
      DURATION        : 00:03:02.381000000
Stream mapping:
  Stream #0:0 -> #0:0 (h264 (native) -> mpeg1video (native))
Press [q] to stop, [?] for help
Output #0, mpeg1video, to 'mpeg1video_q0.m1v':
  Metadata:
    COMPATIBLE_BRANDS: iso6avc1mp41
    MAJOR_BRAND     : dash
    MINOR_VERSION   : 0
    encoder         : Lavf58.45.100
    Stream #0:0: Video: mpeg1video, yuv420p, 1920x1080 [SAR 1:1 DAR 16:9], q=2-31, 200 kb/s, 23.98 fps, 23.98 tbn, 23.98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DURATION        : 00:03:02.349000000
      encoder         : Lavc58.91.100 mpeg1video
    Side data:
      cpb: bitrate max/min/avg: 0/0/200000 buffer size: 0 vbv_delay: N/A
frame= 4372 fps=949 q=0.0 Lsize=  135220kB time=00:03:02.30 bitrate=6076.1kbits/s speed=39.6x
video:135220kB audio:0kB subtitle:0kB other streams:0kB global headers:0kB muxing overhead: 0.000000%

ffprobe로 확인해 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D:\media_sample> ffprobe mpeg1video_q0.m1v
ffprobe version 4.4.1 Copyright (c) 2007-2021 the FFmpeg developers
  built with Microsoft (R) C/C++ Optimizing Compiler Version 19.30.30705 for x64
  configuration: ...[생략]...
  libpostproc    55.  9.100 / 55.  9.100
[mpegvideo @ 0000026C8DCEF0C0] Estimating duration from bitrate, this may be inaccurate
Input #0, mpegvideo, from 'mpeg1video_q0.m1v':
  Duration: 00:00:10.56, bitrate: 104857 kb/s
  Stream #0:0: Video: mpeg1video, yuv420p(tv), 1920x1080 [SAR 1:1 DAR 16:9], 104857 kb/s, 23.98 fps, 23.98 tbr, 1200k tbn, 23.98 tbc

이렇게 생성한 동영상을 지난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글에 첨부한 소스 코드에 그대로 적용하면 아무런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pgm 파일 출력이 됩니다.

아래는 그렇게 출력한 PGM 파일을 viewer로 본 것입니다. ^^

(사진은 유튜브 영상 "디에이드"의 "안다은" 님이고 사용을 허락받고 올립니다.)
decode_video_3rd_1.png

휴~~~ 속이 다 시원하네요. ^^




참고로, 다음과 같이 h264 확장자로 변환해 주면,

d:\media_sample> ffmpeg -i the-ade-changed.mkv -q:v 0 h264video_q0.h264

소스 코드에서 코덱 ID만 다음과 같이 바꿔 역시 pgm 파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video_decode_example(@"D:\media_sample\h264video_q0.h264", AVCodecID.AV_CODEC_ID_H264, outputPath);

또한, ffmpeg에서 출력 파일의 확장자를 hevc로 저장하면 코덱 ID를 AV_CODEC_ID_HEVC로 바꾸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8정성태8/20/201233294개발 환경 구성: 163. IIS 7 - "MIME Types" 설정 아이콘이 없는 경우
1327정성태8/19/201238031Windows: 58. Windows 8 정식 버전을 설치해 보고... [14]
1326정성태8/19/201224340오류 유형: 160. Visual Studio 2010 Team Explorer 설치 오류
1325정성태8/15/201224358개발 환경 구성: 162. 닷넷 개발자가 컴파일해 본 리눅스
1324정성태8/15/201226388.NET Framework: 332. 함수형 언어의 코드가 그렇게 빠를까? [4]파일 다운로드1
1323정성태8/4/201228161.NET Framework: 331. C# - 클래스 안에 구조체를 포함하는 경우 발생하는 dynamic 키워드의 부작용 [2]
1322정성태8/3/201227810개발 환경 구성: 161. Ubuntu 리눅스의 Hyper-V 지원 (마우스, 네트워크)
1321정성태7/31/201227086개발 환경 구성: 160. Azure - Virtual Machine의 VHD 파일 다운로드 [2]
1320정성태7/30/201229075Math: 10. C# - (타)원 영역의 마우스 클릭 판단파일 다운로드1
1319정성태7/26/201227607개발 환경 구성: 159. Azure - 네트워크 포트 여는 방법 [1]
1317정성태7/24/201226464오류 유형: 159. SpeechRecognitionEngine.SetInputToDefaultAudioDevice 호출 시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316정성태7/18/201284582개발 환경 구성: 158.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Oracle XE 11g 사용
1315정성태7/17/201229381개발 환경 구성: 157. Azure - Virtual Machine 구성 [2]
1314정성태7/16/201224407개발 환경 구성: 156. Azure - 2개 이상의 서비스 계정을 가지고 있을 때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방법
1313정성태7/16/201236569오류 유형: 158. Hyper-V 설치 후 VM 시작이 안되는 경우
1312정성태7/15/201236444Math: 9. 황금비율 증명
1311정성태7/15/201229149Math: 8. C# - 피보나치 수열의 사각형과 황금 나선(Golden spiral) 그리기파일 다운로드1
1310정성태7/13/201232593Math: 7. C# - 펜타그램(Pentagram) 그리기파일 다운로드1
1309정성태7/13/201230666개발 환경 구성: 155.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압축 해제 방법
1308정성태7/3/201226047.NET Framework: 330. IEnumerator는 언제나 읽기 전용일까?파일 다운로드1
1307정성태6/30/201228291개발 환경 구성: 154. Sysnet, Azure를 만나다. [5]
1306정성태6/29/201228877제니퍼 .NET: 22. 눈으로 확인하는 connectionManagement의 maxconnection 설정값 [4]
1305정성태6/28/201227055오류 유형: 157. IIS 6 - WCF svc 호출 시 404 Not Found 발생
1304정성태6/27/201227825개발 환경 구성: 153. sysnet 첨부 파일을 Azure Storage에 마이그레이션 [3]파일 다운로드1
1303정성태6/26/201227348개발 환경 구성: 152. sysnet DB를 SQL Azure 데이터베이스로 마이그레이션
1302정성태6/25/201229326개발 환경 구성: 151. Azure 웹 사이트에 사용자 도메인 네임 연결하는 방법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