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VC++: 121.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Visual C++)
; https://www.sysnet.pe.kr/2/0/11385

.NET Framework: 705.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400

.NET Framework: 706.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1401

.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 https://www.sysnet.pe.kr/2/0/11407

.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
; https://www.sysnet.pe.kr/2/0/11408

.NET Framework: 9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라이브러리
; https://www.sysnet.pe.kr/2/0/12238

.NET Framework: 1123. C# - (SharpDX + DXGI)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빠르게 JPG로 변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9

.NET Framework: 1126. C# - snagit처럼 화면 캡처를 연속으로 수행해 동영상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895

.NET Framework: 1128.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2897

.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
; https://www.sysnet.pe.kr/2/0/12963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

지난 글에서,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2897

화면 캡처 동영상을 OpenCvSharp.VideoWriter로 만들었던 것을 ffmpeg로 교체했었는데요, 일단 ffmpeg.AutoGen에서 제공하는 기본 H264 예제 코드를 이용해 포팅을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화면이 깨지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 당시에는 뭘 모르니 ^^; sws_scale에 문제가 있을 거라고 판단했었는데, 근래에 관련 소스 코드를 계속 공부하면서,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61

저건 코덱 측 레벨의 문제이지, sws_scale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문제로 보입니다. 그래서, 웹상에서 여러 가지 H264 인코딩 관련 예제를 찾아봤는데,

ffmpeg libx264 AVCodecContext setting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9173012/ffmpeg-libx264-avcodeccontext-settings

위의 글에 bit_rate를 width * height * 4로 설정하는 코드가 있군요. ^^ 저게 설정을 하지 않으면 기본으로 200000 값을 가지고 있는데요, 어쨌든 저도 기존 소스 코드에서 아무것도 변경하지 않고 bit_rate만 늘렸더니,

public H264VideoStreamEncoder(Stream stream, AVCodecID codecId, AVPixelFormat destinationPixelFormat, int fps, Size frameSize)
{
    _stream = stream;
    _frameSize = frameSize;

    _pCodec = ffmpeg.avcodec_find_encoder(codecId);
    if (_pCodec == null) throw new InvalidOperationException("Codec not found.");

    _pCodecContext = ffmpeg.avcodec_alloc_context3(_pCodec);

    _pCodecContext->bit_rate = frameSize.Width * frameSize.Height * 4;
    _pCodecContext->width = frameSize.Width;
    _pCodecContext->height = frameSize.Height;
    _pCodecContext->time_base = new AVRational { num = 1, den = fps };
    _pCodecContext->pix_fmt = destinationPixelFormat;
    ffmpeg.av_opt_set(_pCodecContext->priv_data, "preset", "veryslow", 0);

    ffmpeg.avcodec_open2(_pCodecContext, _pCodec, null).ThrowExceptionIfError();

    _linesizeY = frameSize.Width;
    _linesizeU = frameSize.Width / 2;
    _linesizeV = frameSize.Width / 2;

    _ySize = _linesizeY * frameSize.Height;
    _uSize = _linesizeU * frameSize.Height / 2;
}

오~~~ 깨지는 현상이 없어졌습니다. 그런데, 일부러 캡처하는 동안 해당 영역의 비주얼 스튜디오 윈도우를 빠르게 잡고 흔들었더니... 이렇게 깨지는 장면이 나옵니다.

h264_high_encode_1.png

그러다, 윈도우를 다시 놓으면 정상적으로 깨지지 않는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테스트를 해보니, 약 12 정도 곱해서 설정하면,

_pCodecContext->bit_rate = frameSize.Width * frameSize.Height * 12;

유튜브에서 동계 올림픽 쇼트 트랙 동영상을 켜놓고 캡처를 한 것도 정상적으로 깨짐 현상이 없습니다. 그렇긴 한데, 문제가 있군요. ^^; 3분 정도 길이의 동영상인데 크기가 무려 380MB 가까이 됩니다. youtube_dl로 다운로드하면 소리 포함해도 88MB인 것을 감안하면 뭔가 또 다른 문제가 있는 듯합니다. ^^;




ffprobe로 위의 동영상 파일을 살펴보면,

C:\temp> ffprobe test.avi
...[생략]...
Input #0, h264, from 'test.avi':
  Duration: N/A, bitrate: N/A
  Stream #0:0: Video: h264 (Constrained Baseline), yuv420p(progressive), 1920x1080, 29.75 fps, 30 tbr, 1200k tbn, 60 tbc

희한하군요, bit_rate 값이 N/A가 나옵니다. 이것 때문인지 동영상의 전체 재생시간도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h264의 profile이 "Constrained Baseline"으로 나옵니다. 예전 소스 코드에서,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948

테스트한 대부분의 동영상은 "h264 (High)"였었는데요, 이 값이 어떤 대단한 역할을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쉽게 다음의 코드 설정을 했더니,

_pCodecContext->profile = ffmpeg.FF_PROFILE_H264_HIGH;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

C:\temp> ffprobe test.avi
...[생략]...
Input #0, h264, from 'test.avi':
  Duration: N/A, bitrate: N/A
  Stream #0:0: Video: h264 (High), yuv420p(progressive), 1920x1080, 30 fps, 30 tbr, 1200k tbn, 60 tbc

하지만, 딱히 저게 설정되었다고 뭔가 변화가 눈에 띄지는 않았습니다. ^^ 어쨌든, 이렇게 서서히 공부하면서 개선을 해나가면 언젠가는 쓸만한 화면 캡처 프로그램이 나오겠죠?!!!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ffmpeg.AutoGen에서 제공하는 기본 H264 예제 코드가 출력하는 avi 파일은 container가 없는 비디오 스트림입니다. 그래서 단순히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영화 및 TV" 앱을 이용해 재생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재생할 수 없음
이 파일을 재생할 수 없습니다. 파일 형식이 지원되지 않거나, 파일 확장명이 올바르지 않거나, 파일이 손상되었을 수 있습니다.
0xc00d36c4

이를 재생하려면 ffplay나 GOM 플레이어를 이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Container가 없는 유형이기 때문에 지난번에 설명한,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0

비디오 디코딩의 예제 파일로 사용해 정상적인 pgm 파일 출력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11정성태9/4/202018916.NET Framework: 937. C# - 간단하게 만들어 보는 리눅스의 nc(netcat), json_pp 프로그램 [1]
12310정성태9/3/202018174오류 유형: 644. Windows could not start the Elasticsearch 7.9.0 (elasticsearch-service-x64) service on Local Computer.
12309정성태9/3/202017453개발 환경 구성: 507. Elasticsearch 6.6부터 기본 추가된 한글 형태소 분석기 노리(nori) 사용법
12308정성태9/2/202019293개발 환경 구성: 506. Windows - 단일 머신에서 단일 바이너리로 여러 개의 ElasticSearch 노드를 실행하는 방법
12307정성태9/2/202020156오류 유형: 643. curl - json_parse_exception / Invalid UTF-8 start byte
12306정성태9/1/202017423오류 유형: 642. SQL Server 시작 오류 - error code 10013
12305정성태9/1/202019246Windows: 172. "Administered port exclusions"이 아닌 포트 범위 항목을 삭제하는 방법
12304정성태8/31/202017673개발 환경 구성: 505. 윈도우 - (네트워크 어댑터의 우선순위로 인한) 열거되는 IP 주소 순서를 조정하는 방법
12303정성태8/30/202017998개발 환경 구성: 504. ETW - 닷넷 프레임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명령행 도구 etrace 소개
12302정성태8/30/202018140.NET Framework: 936.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5) - Private Logger파일 다운로드1
12301정성태8/30/202017745오류 유형: 641. error MSB4044: The "Fody.WeavingTask" task was not given a value for the required parameter "IntermediateDir".
12300정성태8/29/202018021.NET Framework: 935.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4) CLR ETW Consumer파일 다운로드1
12299정성태8/27/202018800.NET Framework: 934.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3) ETW Consumer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298정성태8/27/202018253오류 유형: 640. livekd - Could not resolve symbols for ntoskrnl.exe: MmPfnDatabase
12297정성태8/25/202017742개발 환경 구성: 503. SHA256 테스트 인증서 생성 방법
12296정성태8/24/202018836.NET Framework: 933.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2) NT Kernel Logger파일 다운로드1
12295정성태8/24/202017724오류 유형: 639. Bitvise - Address is already in use; bind() in ListeningSocket::StartListening() failed: Windows error 10013: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
12293정성태8/24/202018684Windows: 171. "Administered port exclusions" 설명
12292정성태8/20/202021699.NET Framework: 932.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1)파일 다운로드2
12291정성태8/15/202018690오류 유형: 638. error 1297: Device driver does not install on any devices, use primitive driver if this is intended.
12290정성태8/11/202019836.NET Framework: 931. C# - IP 주소에 따른 국가별 위치 확인 [8]파일 다운로드1
12289정성태8/6/202016799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12288정성태8/5/202015995오류 유형: 637. WCF - The protocol 'net.tcp' does not have an implementation of HostedTransportConfiguration type registered.
12287정성태8/5/202017409오류 유형: 636. C# - libdl.so를 DllImport로 연결 시 docker container 내에서 System.Dll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2286정성태8/5/202018747개발 환경 구성: 501. .NET Core 용 container 이미지 만들 때 unzip이 필요한 경우
12285정성태8/4/202018417오류 유형: 635. 윈도우 10 업데이트 - 0xc1900209 [2]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