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898

.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24

.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 https://www.sysnet.pe.kr/2/0/12932

.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3

.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35

.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
; https://www.sysnet.pe.kr/2/0/12936

.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7

.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1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2

.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9

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0

.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61

.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64

.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1

.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5

.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8

.NET Framework: 116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4

.NET Framework: 116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demuxing_de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7

.NET Framework: 117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e_aa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91

.NET Framework: 117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http_multiclient.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2

.NET Framework: 118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6

.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3

.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5

.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302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

지난 예제에 이어,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61

이번에는 ffmpeg 예제 중 "avio_reading.c" 파일을 FFmpeg.AutoGen으로 포팅하겠습니다.

using FFmpeg.AutoGen;
using FFmpeg.AutoGen.Example;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Security.Cryptography;

namespace FFmpegApp1
{
    internal unsafe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EntryPoint = "RtlMoveMemory", SetLastError = false)]
        static extern void MoveMemory(IntPtr dest, IntPtr src, int size);

        static unsafe int Main(string[] args)
        {
            FFmpegBinariesHelper.RegisterFFmpegBinaries();

#if DEBUG
            Console.WriteLine("Current directory: " + Environment.CurrentDirectory);
            Console.WriteLine("Running in {0}-bit mode.", Environment.Is64BitProcess ? "64" : "32");
            Console.WriteLine($"FFmpeg version info: {ffmpeg.av_version_info()}");
#endif
            Console.WriteLine();

            AVFormatContext* fmt_ctx = null;
            AVIOContext* avio_ctx = null;

            byte* buffer = null;
            byte* avio_ctx_buffer = null;
            ulong buffer_size;
            ulong avio_ctx_buffer_size = 4096;
            
            int ret = 0;
            buffer_data bd = new buffer_data();

            string input_filename = @"D:\media_sample\test.mkv";
            ret = ffmpeg.av_file_map(input_filename, &buffer, &buffer_size, 0, null);
            if (ret < 0)
            {
                return ret;
            }

            bd.ptr = buffer;
            bd.size = (int)buffer_size;

            do
            {
                fmt_ctx = ffmpeg.avformat_alloc_context();
                if (fmt_ctx == null)
                {
                    ret = ffmpeg.AVERROR(ffmpeg.ENOMEM);
                    break;
                }

                avio_ctx_buffer = (byte*)ffmpeg.av_malloc(avio_ctx_buffer_size);
                if (avio_ctx_buffer == null)
                {
                    ret = ffmpeg.AVERROR(ffmpeg.ENOMEM);
                    break;
                }

                avio_ctx = ffmpeg.avio_alloc_context(avio_ctx_buffer, (int)avio_ctx_buffer_size, 0, &bd, 
                    (avio_alloc_context_read_packet_func)read_packet, null, null);
                if (avio_ctx == null)
                {
                    ret = ffmpeg.AVERROR(ffmpeg.ENOMEM);
                    break;
                }

                fmt_ctx->pb = avio_ctx;

                ret = ffmpeg.avformat_open_input(&fmt_ctx, null, null, null);
                if (ret < 0)
                {
                    Console.WriteLine("Could not open input");
                    break;
                }

                ret = ffmpeg.avformat_find_stream_info(fmt_ctx, null);
                if (ret < 0)
                {
                    Console.WriteLine("Could not find stream information");
                    break;
                }

                ffmpeg.av_dump_format(fmt_ctx, 0, input_filename, 0);

            } while (false);

            if (fmt_ctx != null)
            {
                ffmpeg.avformat_close_input(&fmt_ctx);
            }

            if (avio_ctx != null)
            {
                ffmpeg.av_freep(&avio_ctx->buffer);
                ffmpeg.avio_context_free(&avio_ctx);
            }

            ffmpeg.av_file_unmap(buffer, buffer_size);

            return ret;
        }

        static unsafe int read_packet(void *opaque, byte* buf, int buf_size)
        {
            buffer_data* bd = (buffer_data*)opaque;
            buf_size = (int)Math.Min(buf_size, bd->size);

            if (buf_size == 0)
            {
                return ffmpeg.AVERROR_EOF;
            }

            Console.WriteLine($"ptr:{new IntPtr(bd->ptr):x} size:{bd->size}");

            MoveMemory(new IntPtr(buf), new IntPtr(bd->ptr), buf_size);
            bd->ptr += buf_size;
            bd->size -= buf_size;

            return buf_size;
        }
    }

    public unsafe struct buffer_data
    {
        public byte* ptr;
        public int size;
    }
}

이런 식의 제어가 언제 필요한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실행하면 avformat_find_stream_info 등의 함수를 실행하는 중에 read_packet 메서드가 콜백이 되어 다음과 같은 출력이 나옵니다.

ptr:1b27a880000 size:75337278
ptr:1b27a881000 size:75333182
ptr:1b27a88acff size:75292991
ptr:1b27a88bcff size:75288895
ptr:1b27a8907bb size:75269763
ptr:1b27a8917bb size:75265667

그리고 av_dump_format의 호출에 대한 출력은 예제의 특성과는 별 상관이 없습니다.

Input #0, matroska,webm, from 'D:\media_sample\test.mkv':
  Metadata:
    COMPATIBLE_BRANDS: iso6avc1mp41
    MAJOR_BRAND     : dash
    MINOR_VERSION   : 0
    ENCODER         : Lavf58.45.100
  Duration: 00:03:07.98, start: -0.007000, bitrate: N/A
  Stream #0:0: Video: h264 (High), yuv420p(tv, bt709, progressive), 1920x1080 [SAR 1:1 DAR 16:9], 29.97 fps, 29.97 tbr, 1k tbn, 59.94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DURATION        : 00:03:07.954000000
  Stream #0:1(eng): Audio: opus, 48000 Hz, stereo, fltp (default)
    Metadata:
      DURATION        : 00:03:07.981000000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의 소스 코드는 github에 올려져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55정성태2/10/201520747개발 환경 구성: 256. WebDAV Redirector - Sysinternals 폴더 연결 시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오류 해결 방법
1854정성태2/10/201521720Windows: 104. 폴더는 삭제할 수 없지만, 그 하위 폴더/파일은 생성/삭제/변경하는 보안 설정
1853정성태2/6/201552045웹: 29. 여신금융협회 웹 사이트의 "Netscape 6.0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메시지 [5]
1852정성태2/5/201522441.NET Framework: 492. .NET CLR Memory 성능 카운터의 의미파일 다운로드1
1851정성태2/5/201523368VC++: 88. 하룻밤의 꿈 - 인텔 하스웰의 TSX Instruction 지원 [2]
1850정성태2/4/201544168Windows: 103. 작업 관리자에서의 "Commit size"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의미 [4]
1849정성태2/4/201524131기타: 51. DropBox의 CPU 100%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848정성태2/4/201519370.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2]
1847정성태2/3/201522681기타: 50. C# - 윈도우에서 dropbox 동기화 폴더 경로 및 종료하는 방법
1846정성태2/2/201531987Windows: 10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수동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1]
1845정성태1/26/201532865Windows: 101. 제어판의 "Windows 자격 증명 관리(Manage your credentials)"를 금지시키는 방법
1844정성태1/26/201530830오류 유형: 269.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7]
1843정성태1/24/201521864VC++: 87. 무시할 수 없는 Visual C++ 런타임 함수 성능
1842정성태1/23/201544349개발 환경 구성: 255. 노트북 키보드에 없는 BREAK 키를 다른 키로 대체하는 방법
1841정성태1/21/201519330오류 유형: 268. Win32 핸들 관련 CLR4 보안 오류 사례
1840정성태1/8/201527558오류 유형: 267. Visual Studio - CodeLens 사용 시 CPU 100% 현상
1839정성태1/5/201520445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
1838정성태1/4/201540198기타: 49.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4]
1837정성태1/4/201526319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1]
1836정성태1/4/201526322디버깅 기술: 67.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1835정성태1/3/201526798개발 환경 구성: 254. SQL 서버 역시 SSL 3.0/TLS 1.0만을 지원하는 듯!
1834정성태1/3/201551430개발 환경 구성: 253. TLS 1.2를 적용한 IIS 웹 사이트 구성
1833정성태1/3/201527482.NET Framework: 490. System.Data.SqlClient는 SSL 3.0/TLS 1.0만 지원하는 듯! [3]
1832정성태1/2/201520563오류 유형: 266. Azure에 응용 프로그램 게시 중 로그인 오류
1831정성태1/1/201528452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1830정성태1/1/201527492오류 유형: 265. svchost.exe 프로세스(IP Helper: IPHLPSVC)의 CPU 100% 현상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