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898

.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24

.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 https://www.sysnet.pe.kr/2/0/12932

.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3

.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35

.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
; https://www.sysnet.pe.kr/2/0/12936

.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7

.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1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2

.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9

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0

.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61

.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64

.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1

.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5

.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8

.NET Framework: 116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4

.NET Framework: 116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demuxing_de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7

.NET Framework: 117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e_aa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91

.NET Framework: 117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http_multiclient.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2

.NET Framework: 118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6

.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3

.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5

.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302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

지난 예제에 이어,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61

이번에는 ffmpeg 예제 중 "avio_reading.c" 파일을 FFmpeg.AutoGen으로 포팅하겠습니다.

using FFmpeg.AutoGen;
using FFmpeg.AutoGen.Example;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Security.Cryptography;

namespace FFmpegApp1
{
    internal unsafe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EntryPoint = "RtlMoveMemory", SetLastError = false)]
        static extern void MoveMemory(IntPtr dest, IntPtr src, int size);

        static unsafe int Main(string[] args)
        {
            FFmpegBinariesHelper.RegisterFFmpegBinaries();

#if DEBUG
            Console.WriteLine("Current directory: " + Environment.CurrentDirectory);
            Console.WriteLine("Running in {0}-bit mode.", Environment.Is64BitProcess ? "64" : "32");
            Console.WriteLine($"FFmpeg version info: {ffmpeg.av_version_info()}");
#endif
            Console.WriteLine();

            AVFormatContext* fmt_ctx = null;
            AVIOContext* avio_ctx = null;

            byte* buffer = null;
            byte* avio_ctx_buffer = null;
            ulong buffer_size;
            ulong avio_ctx_buffer_size = 4096;
            
            int ret = 0;
            buffer_data bd = new buffer_data();

            string input_filename = @"D:\media_sample\test.mkv";
            ret = ffmpeg.av_file_map(input_filename, &buffer, &buffer_size, 0, null);
            if (ret < 0)
            {
                return ret;
            }

            bd.ptr = buffer;
            bd.size = (int)buffer_size;

            do
            {
                fmt_ctx = ffmpeg.avformat_alloc_context();
                if (fmt_ctx == null)
                {
                    ret = ffmpeg.AVERROR(ffmpeg.ENOMEM);
                    break;
                }

                avio_ctx_buffer = (byte*)ffmpeg.av_malloc(avio_ctx_buffer_size);
                if (avio_ctx_buffer == null)
                {
                    ret = ffmpeg.AVERROR(ffmpeg.ENOMEM);
                    break;
                }

                avio_ctx = ffmpeg.avio_alloc_context(avio_ctx_buffer, (int)avio_ctx_buffer_size, 0, &bd, 
                    (avio_alloc_context_read_packet_func)read_packet, null, null);
                if (avio_ctx == null)
                {
                    ret = ffmpeg.AVERROR(ffmpeg.ENOMEM);
                    break;
                }

                fmt_ctx->pb = avio_ctx;

                ret = ffmpeg.avformat_open_input(&fmt_ctx, null, null, null);
                if (ret < 0)
                {
                    Console.WriteLine("Could not open input");
                    break;
                }

                ret = ffmpeg.avformat_find_stream_info(fmt_ctx, null);
                if (ret < 0)
                {
                    Console.WriteLine("Could not find stream information");
                    break;
                }

                ffmpeg.av_dump_format(fmt_ctx, 0, input_filename, 0);

            } while (false);

            if (fmt_ctx != null)
            {
                ffmpeg.avformat_close_input(&fmt_ctx);
            }

            if (avio_ctx != null)
            {
                ffmpeg.av_freep(&avio_ctx->buffer);
                ffmpeg.avio_context_free(&avio_ctx);
            }

            ffmpeg.av_file_unmap(buffer, buffer_size);

            return ret;
        }

        static unsafe int read_packet(void *opaque, byte* buf, int buf_size)
        {
            buffer_data* bd = (buffer_data*)opaque;
            buf_size = (int)Math.Min(buf_size, bd->size);

            if (buf_size == 0)
            {
                return ffmpeg.AVERROR_EOF;
            }

            Console.WriteLine($"ptr:{new IntPtr(bd->ptr):x} size:{bd->size}");

            MoveMemory(new IntPtr(buf), new IntPtr(bd->ptr), buf_size);
            bd->ptr += buf_size;
            bd->size -= buf_size;

            return buf_size;
        }
    }

    public unsafe struct buffer_data
    {
        public byte* ptr;
        public int size;
    }
}

이런 식의 제어가 언제 필요한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실행하면 avformat_find_stream_info 등의 함수를 실행하는 중에 read_packet 메서드가 콜백이 되어 다음과 같은 출력이 나옵니다.

ptr:1b27a880000 size:75337278
ptr:1b27a881000 size:75333182
ptr:1b27a88acff size:75292991
ptr:1b27a88bcff size:75288895
ptr:1b27a8907bb size:75269763
ptr:1b27a8917bb size:75265667

그리고 av_dump_format의 호출에 대한 출력은 예제의 특성과는 별 상관이 없습니다.

Input #0, matroska,webm, from 'D:\media_sample\test.mkv':
  Metadata:
    COMPATIBLE_BRANDS: iso6avc1mp41
    MAJOR_BRAND     : dash
    MINOR_VERSION   : 0
    ENCODER         : Lavf58.45.100
  Duration: 00:03:07.98, start: -0.007000, bitrate: N/A
  Stream #0:0: Video: h264 (High), yuv420p(tv, bt709, progressive), 1920x1080 [SAR 1:1 DAR 16:9], 29.97 fps, 29.97 tbr, 1k tbn, 59.94 tbc (default)
    Metadata:
      HANDLER_NAME    : ISO Media file produced by Google Inc.
      DURATION        : 00:03:07.954000000
  Stream #0:1(eng): Audio: opus, 48000 Hz, stereo, fltp (default)
    Metadata:
      DURATION        : 00:03:07.981000000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의 소스 코드는 github에 올려져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4정성태9/17/201126411.NET Framework: 240. System.Collections.ArrayList가 .NET 4.5에서 지원이 안된다??? [2]
1123정성태9/17/201165250Windows: 53. 2가지 모드의 Internet Explorer 10과 ActiveX [6]
1122정성태9/16/201132927Windows: 52. 새롭게 지원되는 WinRT 응용 프로그램 [7]
1121정성태9/12/201127697Java: 5. WTP 내에서 서블릿을 실행하는 환경
1120정성태9/11/201127621.NET Framework: 239. IHttpHandler.IsReusable 속성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19정성태9/11/201126713Java: 4. 이클립스에 WTP SDK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2]
1118정성태9/11/201138357Java: 3. 이클립스에서 서블릿 디버깅하는 방법 [4]
1117정성태9/9/201125626제니퍼 .NET: 17.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2) - 웹 애플리케이션 hang의 원인을 알려주다.
1116정성태9/8/201156676Java: 2. 자바에서 "Microsoft SQL Server JDBC Driver" 사용하는 방법
1115정성태9/4/201130224Java: 1. 닷넷 개발자가 처음 실습해 본 서블릿
1114정성태9/4/201134729Math: 2. "Zhang Suen 알고리즘(세선화, Thinning/Skeletonization)"의 C# 버전 [4]파일 다운로드1
1113정성태9/2/201134309개발 환경 구성: 129. Hyper-V에 CentOS 설치하기
1112정성태9/2/201151074Linux: 1. 리눅스 <-> 윈도우 원격 접속 프로그램 사용 [3]
1111정성태8/29/201125441제니퍼 .NET: 16. 적용 사례 (1) - DB Connection Pooling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성능 저하를 알려주다. [1]
1110정성태8/26/201126813오류 유형: 136. RDP 접속이 불연속적으로 끊기는 문제
1109정성태8/26/201129703오류 유형: 135. 어느 순간 Active Directory 접속이 안되는 문제
1108정성태8/22/201131173오류 유형: 134. OLE/COM Object Viewer - DllRegisterServer in IVIEWERS.DLL failed. [1]
1107정성태8/21/201128990디버깅 기술: 43. Windows Form의 Load 이벤트에서 발생하는 예외가 Visual Studio에서 잡히지 않는 문제
1106정성태8/20/201127290웹: 26. FailedRequestTracing 설정으로 인한 iisexpress.exe 비정상 종료 문제
1105정성태8/19/201127237.NET Framework: 238. Web Site Model 프로젝트에서 Trace.WriteLine 출력이 dbgview.exe에서 확인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04정성태8/19/201127426웹: 25. WebDev보다 IIS Express가 더 나은 점 - 다중 가상 디렉터리 매핑 [1]
1103정성태8/19/201133325오류 유형: 133. WCF 포트 바인딩 실패 오류 - TCP error(10013) [1]
1102정성태8/19/201131043Math: 1. 방탈출3 - Room 10의 '중복가능한 조합' 문제를 위한 C# 프로그래밍 [2]파일 다운로드1
1101정성태8/19/201129688.NET Framework: 237. WCF AJAX 서비스와 JavaScript 간의 DateTime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1100정성태8/17/201128803.NET Framework: 236. SqlDbType - DateTime, DateTime2, DateTimeOffset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099정성태8/15/201128247오류 유형: 132. 어느 순간 갑자기 접속이 안 되는 TFS 서버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